• 제목/요약/키워드: 에볼라 바이러스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2초

치사율 90% 공포의 에볼라 바이러스

  • 김양수
    • 레드리본
    • /
    • 통권5호
    • /
    • pp.20-20
    • /
    • 1995
  • 바이러스의 이름은 유행지역에서 멀리 떨어지지 않은 자이르의 에볼라강에서 유래되었다. 현재까지는 영장류만이 병을 앓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바이러스 및 감염원은 아직도 모르고 있는데 다만 거미, 진드기, 박쥐, 원숭이 등이 숙주로서 의심되고 있을 뿐이다.

  • PDF

에볼라 바이러스 진단법과 개발 동향에 관한 고찰 연구 (Study on Laboratory Diagnosis of the Ebola Virus and Its Current Trends)

  • 정혜선;강윤정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105-111
    • /
    • 2015
  • 2013년 12월 말, 에볼라 바이러스는 서아프리카에서 발발했다. 기니를 시작으로 라이베리아, 시에라리온으로 빠르게 퍼지게 되었다. 에볼라 바이러스(자이르형 에볼라 바이러스)는 외피, 비분절, 음성단일가닥 RNA바이러스이다. 에볼라 바이러스는 인수공통 전염병이다. 바이러스는 처음 감염된 야생동물과 접촉 한 후, 혈액, 땀, 소변, 정액, 모유 등의 체액과의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사람 대 사람으로 전염된다. 그러나 공기로 전염되지는 않는다. 잠복기는 2~21일이다. 에볼라 바이러스는 내피세포, 단핵 식세포, 간세포를 감염시킨다. 감염 후 바이러스가 숙주의 면역 시스템을 회피하기 위해 여러 메커니즘을 사용한다. 이것은 혈관, 간 등의 내부 조직 및 기관에 막대한 피해를 주어 죽음에 이르게 한다. RNA 바이러스에 대한 대부분의 실험은 역전사 중합효소 연쇄반응(RT-PCR)라 기술에 의존한다. 이 방법은 매우 민감하지만 숙련된 과학자, 전원 공급 장치 요구하며 비싸다. 스트립 분석기법(효소면역분석법, ELISA)은 에볼라 바이러스 항원 또는 항체를 검출한다. 이 기법은 저렴하며, 전기, 냉장 장치가 필요하지 않다. 실험적인 치료 및 백신 개발에 관한 지속적인 노력에도 불구하고, 에볼라 바이러스 질환은 현재 치료법에 제한이 있다. 그러므로 신속하고 정확한 진단이 환자관리, 감염예방, 관리대책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실시간 에볼라 바이러스 전염병 모형의 전염확률분포추정 (A transmission distribution estimation for real time Ebola virus disease epidemic model)

  • 최일수;이성석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6권1호
    • /
    • pp.161-168
    • /
    • 2015
  • 전염병은 기초 감염 재생산 수가 시간에 따라 달라져서 상황을 관리하기 어렵기 때문에 확산을 통제하기 어려울 뿐 아니라 정확한 예측은 더욱 어렵다고 알려져 있다. 최근에 많은 모형들이 새롭게 제시되고 있으며 그에 따라 현저하게 다른 결과가 도출되고 있다. 연속된 시간에서 기초 감염 재생산 수는 일반적으로 확률과정이론이 적용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에볼라 바이러스 전염병 모형에서 전염확률분포의 추정 방법을 제시하였다. 이 방법은 대규모 전염병 발생에서 실시간 추정을 가능하게 함으로 적절한 질병관리를 용이하게 한다. 기니에서 발생한 에볼라 바이러스 자료를 제시한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에볼라 출혈열 발병 : 효과적인 전염병 관리 및 통제를 위한 진단 (Ebola Hemorrhagic Fever Outbreaks: Diagnosis for Effective Epidemic Disease Management and Control)

  • 강보람;김효진;도나 메리 멕코이;김민갑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87-92
    • /
    • 2017
  • 첫 번째 에볼라 출혈열 발발은 1976년 콩고 민주 공화국과 수단에서 발생했으며, 이후 2014년서 아프리카에서 27,741건, 11,284건의 사망자가 발생했다. 발열은 Filoviridae 계열에 속하며 ssRNA 게놈을 가진 에볼라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했다. 바이러스의 알려진 아형은 Bundibugyo ebolavirus, Reston ebolavirus, Sudan ebolavirus, Tai Forest ebolavirus 및 Zaire ebolavirus이다. 역사적으로 에볼라의 주요 발생 지역은 동부 및 중부 아프리카 열대 지방에서 발생했다. 서아프리카에서의 발발로 인해 전세계 사회에서 수많은 사망과 공포가 확산되었다. 효과적인 치료와 백신이 없는 상황에서 전염병을 관리하고 통제하는 가장 중요한 방법은 정확한 진단을 통해서이다. WHO(세계 보건기구)는 체외진단(IVD) 검사에서 에볼라의 선택과 사용에 관한 긴급 지침을 발표했다. RealStar Ebolavirus Screen RT-PCR 키트 1.0 (Altona), Liferiver-Ebola Virus (EBOV) 실시간 RT-PCR 키트, Xpert 에볼라 검사 및 ReEBOV 항원 검사를 통해 수많은 회사 및 연구 기관에서 진단을 받고 4가지 WHO 조달 승인 진단을 확인했다. 또한, 신속한 검사 키트 Rapid Diagnosis Test (RDT)와 같은 새로운 진단법이 현재 연구 중이다.

텍스트 마이닝을 이용한 매체별 에볼라 주제 분석 - 바이오 분야 연구논문과 뉴스 텍스트 데이터를 이용하여 - (Text Mining Driven Content Analysis of Ebola on News Media and Scientific Publications)

  • 안주영;안규빈;송민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0권2호
    • /
    • pp.289-307
    • /
    • 2016
  • 에볼라 바이러스(Ebola virus disease)와 같은 전염병들은 사회적으로 큰 이슈가 되어 언론의 관심을 받으며 동시에 많은 연구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 이에 따라 국내외로 전염병과 관련된 텍스트 마이닝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나,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사용하여 상이한 특성을 가진 매체 간 주제를 분석한 연구는 아직까지 진행되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염병 중 하나인 에볼라를 키워드로 하여 사회적 특성을 지닌 뉴스 기사와 바이오 분야의 전문적 특성을 지닌 연구 논문 간의 주제 분석을 진행하였다. 텍스트 분석에는 매체별 문헌 데이터로부터 다양한 토픽들을 추출하기 위해 토픽모델링 기법을 적용하였고, 매체 간의 구체적인 내용 분석을 위해 중요 개체를 선정하고 이를 중심으로 동시출현 단어 네트워크 분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각 매체별로 등장하는 주제를 시각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토픽맵을 구축하였다. 분석 결과, 두 매체에서 다루는 주제의 차이점과 공통점을 발견할 수 있었으며 동시 출현 주제의 시계열 분석을 통해 매체 간 특성의 차이를 찾을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상이한 특성을 지닌 매체들의 주제와 개체들을 함께 제시하고, 매체 간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보여줌으로써 매체별 정보 생산자들이 연구 및 현상 분석을 진행하는 데 있어 관점의 다양성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에볼라 바이러스 감염의 전신 및 구강내 소견 (Systemic and oral manifestations of Ebola virus disease)

  • 김민지;김희영;김성민;명훈;이종호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54권1호
    • /
    • pp.67-83
    • /
    • 2016
  • Ebola virus disease is a lethal viral hemorrhagic fever that has been boiling in sub-Saharan Africa since 1970s. Last year, The Ebola virus epidemic that has spread not only mainly in West Africa, but also in locals such as USA, Europe and the Antipodes via infected travelers, was brought up. Human-to-human transmission of Ebola virus disease is known only through direct contact with the blood, secretions, tissues or other bodily fluids, including saliva. Although there has not been reported infection cases in the dental healthcare settings, the fact that the infection of the Ebola virus may be made from human secretions such as saliva suggests that there is a high risk of infection for the Ebola virus of dental healthcare workers. Therefore, it is important dental healthcare workers to identify infection-suspected patients through the oral findings for infection prevention. This article will review the oral signs and symptoms of Ebola virus disease and discuss the pathogenesis, treatment and prevention. Furthermore, Infection control guidelines for oral healthcare workers are also proposed.

  • PDF

감염병 관련 법적 분쟁과 규제에 관한 합리적 해결방안 (Reasonable Solutions for Legal Disputes and Regulations on Epidemics)

  • Lee, Kyunghwan;Kim, Taehwan;Kim, Mannoh;Han, Sunwoo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2권2호
    • /
    • pp.150-166
    • /
    • 2016
  • 최근의 MERS 사태를 통하여 감염병의 창궐은 사회의 재난이라는 인식과 함께 감염병의 확산과 관련한 법적인 문제가 사회적인 이슈로 떠올랐다. 감염병환자의 발생에 따르는 손해배상문제, 격리 대상자 및 의료기관의 전부 또는 일부 폐쇄 등으로 인한 보상문제, 감염병과 관련한 정보공개와 관한 문제가 대두되었다. 감염병과 관련한 부분은 지금까지 사회적으로 크게 문제가 된 적이 많지 않았기 때문에 관련된 법적인 이슈에 대한 연구가 다른 분야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게 이루어진 것으로 보인다. MERS 사태로 인하여 해당 분야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고조된 만큼 감염병과 관련한 법적인 이슈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져, 사회적 재난으로 확대될 수 있는 감염병(신종 홍콩독감, 에볼라, 지카 바이러스 등)을 조기에 예방하고 이에 대비할 수 있도록 만전을 기하여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