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에너지 효율적인 라우팅 프로토콜

Search Result 216, Processing Time 0.065 seconds

A Design of Enhanced Lower-Power Data Dissemination Protocol for Wireless Sensor Networks (무선 센서 네트워크를 위한 개선된 저전력형 데이터 확산 프로토콜 설계)

  • Choi Nak-Sun;Kim Hyun-Tae;Kim Hyoung-Jin;Ra In-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06.05a
    • /
    • pp.437-441
    • /
    • 2006
  • Wireless sensor network consists of sensor nodes which are disseminated closely to each other to collect informations for the various requests of a sensor application applied for sensing phenomenons in real world. Each sensor node delivers sensing informations to an end user by conducting cooperative works such as processing and communicating between sensor nodes. In general, the power supply of a sensor node is depends on a battery so that the power consumption of a sensor node decides the entire life time of a sensor network. To resolve the problem, optimal routing algorithm can be used for prolong the entire life time of a sensor network based on the information on the energy level of each sensor node. In this paper, different from the existing Directed Diffusion and SPTN method, we presents a data dissemination protocol based on lower-power consumption that effectively maximizes the whole life time of a sensor network using the informations on the energy level of a sensor node and shortest-path hops. With the proposed method, a data transfer path is established using the informations on the energy levels and hops, and the collected sensing information from neighboring nodes in the event-occurring area is merged with others and delivered to users through the shortest path.

  • PDF

A Reliable Group Key Re-transmission Mechanism in Ad-hoc Environment (Ad-hoc 환경에서 신뢰적인 그룹 키 재전송 기법)

  • Hong, Suk-Hyung;Kim, Kyung-Min;Lee, Kwang-Kyum;Sin, Young-Tae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6.10d
    • /
    • pp.370-374
    • /
    • 2006
  • Ad-hoc 환경의 응용은 재난구조나 회의실 또는 강의실에서의 정보 교환과 같은 그룹 통에서 이용된다. Ad-hoc 환경은 무선 채널을 이용하므로 상대적인 낮은 대역폭과 높은 오류 발생률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Ad-hoc 네트워크에서는 신뢰적인 전송이 요구된다. 이동 노드는 상대적으로 낮은 성능과 에너지의 제한으로 인해 유선 환경과 같은 신뢰적인 전송 기법을 Ad-hoc 환경에 적용하기에는 문제가 발생한다. Ad-hoc 환경의 무선 채널이 가지는 보안적인 취약성과 높은 에러율을 극복하는 신뢰적인 그룹 키 전송을 위한 재전송 기법을 제안한다. 신뢰적인 트리 형성하기 위해 n차 트리 구조를 이용한다. 손실 감지를 위한 ACK 메시지를 이용하고 손실 복구를 위한 재전송 기법에 대해 연구를 한다. 제안한 신뢰적인 그룹 키 전송을 위한 재전송 기법은 트리의 깊이의 차수가 루트 관리 노드, 서브 관리 노드와 로컬 멤버 노드로 구성되기 때문에 손실 감지와 손실 복구에 대한 연산의 오버헤드가 적다. 루트 관리 노드는 멤버 노드로부터 받은 개인키 정보를 이용하여 그룹 키를 생성하고 그룹 키 부분 정보를 서브 관리 노드에게 전송하고 서브 관리 노드에 대한 신뢰성을 책임진다. 서브 관리 노드는 루트 관리 노드로부터 받은 그룹 키 부분 정보를 로컬 멤버 노드에게 전송하고 로컬 멤버 노드에 대한 신뢰성을 책임진다. 루트 관리 노드와 서브 관리 노드를 관리 노드라 한다. 관리 노드가 신뢰적인 전송을 위해 관리하는 멤버 노드는 전체 그룹에 독립적으로 유지 가능하므로 확장성 및 효율성이 좋다. 관리 노드는 동적인 그룹에 따른 타이머를 설정함으로써 손실 감지에 대한 시간을 줄임으로써 효율적인 손실 감지 및 손실 복구를 한다. 임계값 설정으로 인한 중복 수신에 대한 오버헤드를 줄일 수 있다.신뢰성을 향상 시킬 수 있는 Load Balancing System을 제안한다.할 때 가장 효과적인 라우팅 프로토콜이라고 할 수 있다.iRNA 상의 의존관계를 분석할 수 있었다.수안보 등 지역에서 나타난다 이러한 이상대 주변에는 대개 온천이 발달되어 있었거나 새로 개발되어 있는 곳이다. 온천에 이용하고 있는 시추공의 자료는 배제하였으나 온천이응으로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지 않은 시추공의 자료는 사용하였다 이러한 온천 주변 지역이라 하더라도 실제는 온천의 pumping 으로 인한 대류현상으로 주변 일대의 온도를 올려놓았기 때문에 비교적 높은 지열류량 값을 보인다. 한편 한반도 남동부 일대는 이번 추가된 자료에 의해 새로운 지열류량 분포 변화가 나타났다 강원 북부 오색온천지역 부근에서 높은 지열류량 분포를 보이며 또한 우리나라 대단층 중의 하나인 양산단층과 같은 방향으로 발달한 밀양단층, 모량단층, 동래단층 등 주변부로 NNE-SSW 방향의 지열류량 이상대가 발달한다. 이것으로 볼 때 지열류량은 지질구조와 무관하지 않음을 파악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단층대 주변은 지열수의 순환이 깊은 심도까지 가능하므로 이러한 대류현상으로 지표부근까지 높은 지온 전달이 되어 나타나는 것으로 판단된다.의 안정된 방사성표지효율을 보였다. $^{99m}Tc$-transferrin을 이용한 감염영상을 성공적으로 얻을 수 있었으며, $^{67}Ga$-citrate 영상과 비교하여 더 빠른 시간 안에 우수한 영상을 얻을 수 있었다. 그러므로 $^{99m}Tc$-transierrin이 감염 병소의 영상진단에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리를 정량화 하였다. 특히 선조체에서의 도파민 유리에 의한 수용체 결합능의 감소는 흡연에 의한 혈중 니코틴의 축

  • PDF

Load-Balancing and Fairness Support Mechanisms in Mobile Ad Hoc Networks (이동 애드혹 네트워크에서의 부하 균등화 및 공평성 지원 방법)

  • Ahn Sanghyun;Yoo Younghwan;Lim Yujin
    • The KIPS Transactions:PartC
    • /
    • v.11C no.7 s.96
    • /
    • pp.889-894
    • /
    • 2004
  • Most ad-hoc routing protocols such as AODV(Ad Hoc On-Demand Distance Vector) and DSR(Dynamic Source Routing) do not try to search for new routes if the network topology does not change. Hence, with low node mobility, traffic may be concentrated on several nodes, which results in long end-to-end delay due to congestion at the nodes. Furthermore, since some specific nodes are continuously used for long duration, their battery power may be rapidly exhausted. Expiration of nodes causes connections traversing the nodes to be disrupted and makes many routing requests be generated at the same time. Therefore, we propose a load balancing approach called Simple Load-balancing Approach (SLA), which resolves the traffic concentration problem by allowing each node to drop RREQ (Route Request Packet) or to give up packet forwarding depending on its own traffic load. Meanwhile, mobile nodes nay deliberately give up forwarding packets to save their own energy. To make nodes volunteer in packet forwarding. we also suggest a payment scheme called Protocol-Independent Fairness Algorithm (PIEA) for packet forwarding.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SLA, we compare two cases where AODV employs SLA or not.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SLA can distribute traffic load well and improve performance of entire ad-hoc networks.

Key Update Protocols in Hierarchical Sensor Networks (계층적 센서 네트워크에서 안전한 통신을 위한 키 갱신 프로토콜)

  • Lee, Joo-Young;Park, So-Young;Lee, Sang-Ho
    • The KIPS Transactions:PartC
    • /
    • v.13C no.5 s.108
    • /
    • pp.541-548
    • /
    • 2006
  • Sensor network is a network for realizing the ubiquitous computing circumstances, which aggregates data by means of observation or detection deployed at the inaccessible places with the capacities of sensing and communication. To realize this circumstance, data which sensor nodes gathered from sensor networks are delivered to users, in which it is required to encrypt the data for the guarantee of secure communications. Therefore, it is needed to design key management scheme for encoding appropriate to the sensor nodes which feature continual data transfer, limited capacity of computation and storage and battery usage. We propose a key management scheme which is appropriate to sensor networks organizing hierarchical architecture. Because sensor nodes send data to their parent node, we can reduce routing energy. We assume that sensor nodes have different security levels by their levels in hierarchy. Our key management scheme provides different key establishment protocols according to the security levels of the sensor nodes. We reduce the number of sensor nodes which share the same key for encryption so that we reduce the damage by key exposure. Also, we propose key update protocols which take different terms for each level to update established keys efficiently for secure data encoding.

Stochastic Mobility Model Design in Mobile WSN (WSN 노드 이동 환경에서 stochastic 모델 설계)

  • Yun, Dai Yeol;Yoon, Chang-Pyo;Hwang, Chi-Gon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25 no.8
    • /
    • pp.1082-1087
    • /
    • 2021
  • In MANET(mobile ad hoc network), Mobility models vary according to the application-specific goals. The most widely used Random WayPoint Mobility Model(RWPMM) is advantageous because it is simple and easy to implement, but the random characteristic of nodes' movement is not enough to express the mobile characteristics of the entire sensor nodes' movements. The random mobility model is insufficient to express the inherent movement characteristics of the entire sensor nodes' movements. In the proposed Stochastic mobility model, To express the overall nodes movement characteristics of the network, the moving nodes are treated as random variables having a specific probability distribution characteristic. The proposed Stochastic mobility model is more stable and energy-efficient than the existing random mobility model applies to the routing protocol to ensure improved performances in terms of energy efficiency.

Development of Value-added Service Application for ESP based on Consumer Portal System (수용가 포탈 시스템 기반의 전력부가서비스 구축 방안 연구)

  • Yang, Won-Chul;Kim, Jae-Hee;Kim, Sang-S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6.10d
    • /
    • pp.350-355
    • /
    • 2006
  • 선진 전력시장의 경우, 전력산업의 환경변화에 따라 소비자의 역할이 증대되고 있으며 이와 더불어 IT 기반의 다양한 소비자 중심의 전력부가서비스의 개발이 시도되고 있거나 일부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서비스의 발전은 시간이 흐르면서 단방향이 아닌 양방향 통신 기반의 소비자 중심 서비스에 대한 연구로 확대되고 있다. 특히, 미국 EPRI의 IntelliGrid 컨소시엄에서 제시한 수용가 포탈 시스템은 소비자 영역내의 장비와 에너지 서비스 기관 간의 양방향 통신을 전제함으로써 이루어지는 통합적인 개념의 서비스 기반으로써, 공급자를 포함한 ESP(Energy Service Provider)와 소비자는 수용가 포탈을 기반으로 원활한 커뮤니케이션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이용한 부가적 이익을 누릴 수 있게 된다. 이에 비해 국내의 전력부가서비스 제공 수준은 이제 겨우 시작 단계에 불과하지만, 서비스에 대한 인식 정도와 IT기술의 발전 속도를 생각해 본다면 머지않아 국내 전력산업에서도 현재의 서비스 제공 수준을 한 단계 넘어선 양방향 통신 기반의 수준 높은 전력부가서비스를 요구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국내 환경에 적합한 수용가 포탈 시스템 기반의 전력부가서비스 창출은 수용가에게는 비용 절감이 가능한 합리적인 소비를 제시하고, ESP(Energy Service Provider)에게는 부하·수요관리 및 투자비를 절감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야 할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새로운 전력부가서비스 기반인 수용가 포탈시스템을 분석하고, 현행 전력부가서비스의 현황과 동향 분석, 적용가능 기술 분석, 타 산업 벤치마킹을 통해 국내환경에 적합한 수용가 포탈 시스템 기반의 전력부가서비스 선정 및 구축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원 사용이 가능하도록 설계하였다.서버로 분산처리하게 함으로써 성능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 시킬 수 있는 Load Balancing System을 제안한다.할 때 가장 효과적인 라우팅 프로토콜이라고 할 수 있다.iRNA 상의 의존관계를 분석할 수 있었다.수안보 등 지역에서 나타난다 이러한 이상대 주변에는 대개 온천이 발달되어 있었거나 새로 개발되어 있는 곳이다. 온천에 이용하고 있는 시추공의 자료는 배제하였으나 온천이응으로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지 않은 시추공의 자료는 사용하였다 이러한 온천 주변 지역이라 하더라도 실제는 온천의 pumping 으로 인한 대류현상으로 주변 일대의 온도를 올려놓았기 때문에 비교적 높은 지열류량 값을 보인다. 한편 한반도 남동부 일대는 이번 추가된 자료에 의해 새로운 지열류량 분포 변화가 나타났다 강원 북부 오색온천지역 부근에서 높은 지열류량 분포를 보이며 또한 우리나라 대단층 중의 하나인 양산단층과 같은 방향으로 발달한 밀양단층, 모량단층, 동래단층 등 주변부로 NNE-SSW 방향의 지열류량 이상대가 발달한다. 이것으로 볼 때 지열류량은 지질구조와 무관하지 않음을 파악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단층대 주변은 지열수의 순환이 깊은 심도까지 가능하므로 이러한 대류현상으로 지표부근까지 높은 지온 전달이 되어 나타나는 것으로 판단된다.의 안정된 방사성표지효율을 보였다. $^{99m}Tc$-transferrin을 이용한 감염영상을 성공적으로 얻을 수 있었으며, $^{67}Ga$-citrate 영상과 비교하여 더 빠른 시간 안에 우수한 영상을 얻을 수 있었다. 그러므로 $^{99m}Tc$-transierrin이 감염 병소의 영상진단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