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에너지 평균

Search Result 2,261, Processing Time 0.041 seconds

법규 및 정책동향 - 자동차 평균에너지소비효율기준.온실가스 배출허용기준 및 기준의 적용 관리 등에 관한 고시(안) 입안예고

  • 한국LP가스공업협회
    • LP가스
    • /
    • v.22 no.6
    • /
    • pp.16-18
    • /
    • 2010
  • 환경부는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 제47조 및 시행령 제37조에 따라 위임된 자동차 평균에너지소비효율 및 온실가스 배출허용기준과 해당 기준의 적용관리에 관한 사항을 정하기 위해 자동차평균에너지소비효율기준 온실가스 배출허용기준 및 기준의 적용관리 등에 관한 고시(안)을 입안예고했다. LPG자동차 관련 내용을 발췌 게재한다.

  • PDF

A survey on daily physical activity level, energy expenditure and dietary energy intake by university students in Chungnam Province in Korea (충남지역 대학생의 신체활동수준, 에너지소비량 및 에너지섭취량 조사)

  • Kim, Sun Hyo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v.46 no.4
    • /
    • pp.346-356
    • /
    • 2013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aily physical activity level, energy expenditure, energy balance, and body composition and their relationship with university students. The participants were 130 male students ($19.5{\pm}0.5$ yrs) and 139 female students ($19.5{\pm}0.3$ yrs) at a university in Chungnam province. Physical activity level was evaluated by an equation based on 24 hr-activity record and dietary nutrient intake was evaluated using the food record method during a three-day period consisting of two week days and one weekend. Body composition was measured using Inbody 430 (Biospace Co., Cheonan, Korea). As a result, mean body mass index (BMI) of subjects indicated that they had normal weight, however mean body fat ratio was $19.1{\pm}5.4%$ for males and $28.4{\pm}5.0%$ for females, indicating that they had higher than normal weight. Daily mean physical activity level was 1.55 for males and 1.47 for females, which was regarded as 'low active', respectively. Females had more light activity than males (p<0.01). Daily mean energy expenditure was $2,803.5{\pm}788.9$ kcal/d for males and $1,915.4{\pm}510.2$ kcal/d for females (p<0.001). Daily mean dietary energy intake was $2,327.0{\pm}562.5$ kcal/d for males and $1,802.1{\pm}523.6/d$ for females (p<0.001), and daily mean energy balance was $-476.5{\pm}955.9$ kcal/d for males and $-113.3{\pm}728.1$ kcal/d for females (p<0.01). Daily mean dietary intake of protein, vitamins, and minerals, except Ca, satisfied recommended nutrient intake. Daily energy expenditure was positively related to body weight (p<0.01), BMI (p<0.01), and fat free mass ratio (p<0.05), but was negatively related to body fat ratio (p<0.01). In conclusion, subjects had a negative energy balance and low physical activity. They had a normal weight by BMI but had a more fat than normal weight by body fat ratio. This appears to be related to their low physical activity. Thus, nutrition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for university students in order to increase their physical activity for maintenance of normal weight by body composition and health promotion.

Comparison of Pedestrian Walking Characteristics Between Highway Crosswalk and Pedestrian Underpass (횡단보도와 지하보도간의 횡단보행특성 비교)

  • 임종훈;김동녕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18 no.5
    • /
    • pp.17-29
    • /
    • 2000
  • 본 연구는 지하횡단보도 이용시 계단에서 나타나는 보행자 특성에 관한 연구로써, 교차로에서 횡단보도와 지하보도에서 보행자의 편의성을 정량화한 것이다. 지하보도 계단에서의 보행자특성에 관한 연구, 즉 속도, 밀도와 보행자교통량에 관한 연구는 비디오촬영을 통하여 수집한 자료를 분석하였다. 지하보도나 횡단보도 횡단시 이동 거리, 소요시간, 소요에너지는 보행자특성 분석에서 나온 결과와 직접 시설을 조사한 자료를 이용하여 비교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하보도 계단에서 보행자 속도는 상향이동시의 평균속도는 37.7m/분(또는 0.67m/초)이고, 하향이동시의 평균속도는 46.7m/분(또는 0.77m/초)으로 나타났다. 둘째, 평균 이동거리는 단순횡단의 경우 지하보도는 119m이고, 횡단보도는 78m이다. 대각횡단의 경우 지하 보도는 161m이고, 횡단보도는 111m이다. 평균 소요시간은 단순횡단의 경우 지하보도는 125.6초이고, 횡단보도는 111.3초로 나타났다. 대각횡단의 경우 지하보도는 162.3초이고, 횡단보도는 178.8초로 나타났다. 평균 소요에너지는 단순횡단의 경우 지하보도는 20.2kcal이고, 횡단보도는 4.7kcal이다. 대각횡단의 경우 지하보도는 23.5kcal이고, 횡단보도는 6.6kcal이다. 단순횡단시 지하보도가 횡단보도보다 이동거리는 평균 1.5배 더 길고, 시간은 평균 1.2배 더 소요되고, 에너지는 평균 4.5배가 더 소요된다. 대각횡단시 이동거리는 평균 1.5배 더 길고, 소요시간은 비슷하고, 에너지는 평균 3.5배 더 소요되었다. 본 연구는 기존의 교차로나 가로구간에 지하보도만 설치되어 있는 지점에 횡단보도의 설치여부에 관한 정책결정을 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영광 원자력발전소 원자로 건물내 중성자 스펙트럼 측정

  • 손중권;신상운;조찬희
    • Proceedings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Conference
    • /
    • 1998.05b
    • /
    • pp.594-599
    • /
    • 1998
  • 출력 운전중 원자로 건물내의 중성자 에너지 스펙트럼의 분포를 살펴보기 위해 중성자 스펙트럼 측정을 수행하였다. 영광4흐기 원자로 건물내 100ft 상에서 4곳, 122ft 상에서 4곳, 144 ft 상에서 8곳을 Bonner Multisphere Spectrometer(BMS) 시스템을 이용하여 중성자 스펙트럼을 측정하였다. BMS는 Cf-252 선원으로 교정하였으며 측정된 데이터는 BUNKI 코드를 이용하여 unfolding 하여 에너지 스펙트럼을 얻었다 분석 결과 100 ft의 경우 평균 중성자 에너지는 0.100 ~ 1.954 MeV, Fluence는 4.913$\times$$10^2$ ~ 1.478$\times$$10^4$ n/$\textrm{cm}^2$, 선량율은 0.56 ~ 289.37 mrem/hr의 분포를, 122 ft의 경우 평균 중성자 에너지는 0.122 ~ 0.320 MeV, Fluence는 4.586$\times$$10^{0}$ ~ 7.743$\times$$10^3$ n$\textrm{cm}^2$, 선량율은 0.05 ~ 201.46 mrem/hr의 분포를, 144 ft의 경우 평균 중성자 에너지는 0.062 ~ 0.578 MeV, Fluence는 7.922$\times$$10^{0}$ ~ 1.703$\times$$10^2$ n/$\textrm{cm}^2$, 선량율은 0.10 ~ 45.58 mrem/hr의 분포를 보였다.

  • PDF

Comparison of energy efficiency by electrode materials and structure in bench scale bioelectrochemical anaerobic digestion (Bench scale 생물전기화학적 혐기성소화에서 전극재질 및 구조에 따른 에너지효율 비교)

  • Yang, Hyeon Myeong;Cheon, A In;Kim, Min Ji;Cha, Ji Hwan;Jun, Hang B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396-396
    • /
    • 2022
  • 생물전기화학적 혐기성소화(Bioelectrochemical anaerobic digestion; BEAD)는 소량의 전압공급을 통해 고농도 하·폐수의 효과적인 처리 및 에너지 회수가 가능한 처리방법으로, 기존 하·폐수처리공정(활성슬러지 및 그 변법)에서 벗어나기 위한 방법 중 하나로 연구되고 있지만, 내부저항 및 전극구조에 따른 물질전달저해로 인해 소규모 연구 위주로 진행되었다. 하지만 stainless steel(SS) 등 내부저항을 완화할 수 있는 전극재료 및 전극구조 개선 연구가 진행됨에 따라 BEAD 적용규모가 증가하는 추세이며, 본 연구에서는 100 L의 용량에서 전극재질 및 구조에 따른 적용적합성을 에너지효율 비교를 통해 평가하였다. 반응조는 비교를 위한 AD, 반응조 내부에 전극을 설치한 BEAD, 반응조 외부에 전극이 포함된 반응조를 추가한 ABEAD로 구성하였으며, AD 및 BEAD는 기계적 교반, ABEAD는 기계적 교반 및 펌프를 통한 bulk 용액 순환으로 물질전달이 이뤄졌다. 또한 BEAD는 탄소계 전극, ABEAD는 SS계 전극을 사용하였으며 두 반응조 모두 0.4 V의 전압을 공급하였다. 실험조건은 유효용량 100 L, 유기물부하율 3 kg/m3/d, HRT 20 days 및 중온소화(35℃)으로 운전하였다. 실험결과 AD, BEAD 및 ABEAD의 유기물제거율은 각각 평균 68.1 %, 68.9 %, 74.9 %로 전극 및 반응조의 분리를 통해 물질전달을 개선한 ABEAD에서 증가하였다. 에너지 생성량의 경우 AD에 비해 BEAD는 평균 229 kJ/d, ABEAD는 309 kJ/d가 추가 생성되었으며 유기물제거율이 높은 ABEAD에서 더 높은 에너지생산이 이뤄졌다. 마지막으로 전압공급으로 인한 에너지소비량은 BEAD는 평균 3.4 kJ/d, ABEAD는 평균 0.9 kJ/d로 전극의 낮은 생물적합성으로 인해 전극에서의 생화학반응이 적은 ABEAD가 에너지소비량이 낮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SS 전극의 사용가능성 및 전극구조 개선에 따른 에너지효율성 향상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추후 연구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Calculations of ISO Narrow and ANSI X-Ray Spectra, Their Average Energies and Conversion Coefficients (ISO Narrow Series및 ANSI의 X선 스펙트럼, 평균에너지 및 선량환산인자의 이론적 계산)

  • Kim, Jang-Lyul;Kim, Bong-Whan;Chang, Si-Young;Lee, Jai-Ki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v.20 no.2
    • /
    • pp.129-136
    • /
    • 1995
  • In spite of the prescriptions on the reference X-ray fields given by the International Organization of Strandard(ISO) and American National Standard Institute(ANSI), the measurement of X-ray spectrum is not only time consuming but very difficult, paticularly when significant corrections have to be applied to the measured pulse-height distributions of the observed spectra. This paper describes the calculation method of ISO Narrow Series and ANSI X-ray filtered radiations by theoretical model which is modified framer's theory by target attenuation and backscatter correction. The X-ray spectra, average energies and conversion coefficients are calculated and compared with those obtained using the spectra prescribed by ISO and AMSI to assure good agreement.

  • PDF

A study on the introduction of organic waste-to-energy incentive system(II): material and energy balance of biogasification (유기성폐자원에너지 인센티브제도 도입방안 연구(II): 바이오가스화 물질·에너지수지)

  • Moon, Hee-Sung;Kwon, Jun-Hwa;Lee, Won-Seok;Lee, Dong-Jin
    • Journal of the Korea Organic Resources Recycling Association
    • /
    • v.29 no.4
    • /
    • pp.77-86
    • /
    • 2021
  • In this study, to use as basic data for the organic waste resource energy incentive system, the energy efficiency is evaluated through the mass balance and energy balance calculation results of the anaerobic digester where food waste, food waste leachate and various organic wastes are treated. As a result of the mass balance analysis for 11 biogasification facilities, it was confirmed that 21.1% of process water and 25.7% of tap water were input in large amounts, excluding organic waste. Accordingly, it accounted for 87.6% of the total effluent of linked treated water. In addition, considering that 15.7% of the total input volume is converted to biogas and the average total solids (TS) is 22%, an average material conversion rate of 75% was confirmed. As a result of the energy balance analysis, the energy conversion rate was confirmed to be 78.5% on average by analyzing the biogas calorific value compared to the potential energy of the influent. The average biogas production efficiency including external energy sources for biogas production was 69.4%, and the biogas plant efficiency to which unused effluent energy was applied was 58.9% on average.

Performance of Energy Internet Based on Game Theory (게임이론 기반 에너지인터넷의 성능 분석)

  • Sun, Young-Ghyu;Sim, Isaac;Kim, Soo Hyun;Hwang, Yu Min;Kim, Jin 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9.11a
    • /
    • pp.91-92
    • /
    • 2019
  • 이 논문은 에너지인터넷의 실시간 가격 수요 반응 시스템에서 금전적 이익 극대화를 위해 두 명의 플레이어가 있는 Stackelberg 게임 기반 진화 게임을 연구한다. 우리는 두 명의 플레이어인 발전자와 에너지 사용자의 통일된 이익을 극대화하는 대신 발전자와 에너지 사용자의 이익을 극대화하는 에너지 전략을 적용한다. 실시간 가격 수요 반응 시스템에서 적용한 에너지 전략을 시뮬레이션하였고 시뮬레이션 결과, 적용된 에너지 전략이 기존의 방식에 비해 발전자의 수익을 45 %까지 효과적으로 개선하고 에너지 사용자의 전기 요금을 평균 15.6 % 줄일 수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제안한 에너지 전략이 수요반응의 목표 중 하나인 피크 대 평균 비율 감소의 안정화에 기여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

  • PDF

A Study on Energy Expenditure in Korean Adolescent Women (한국 청소년 여성의 에너지 소비량에 관한 연구)

  • 김유섭;오승호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
    • v.22 no.4
    • /
    • pp.367-373
    • /
    • 1993
  • A 4-week energy balance study was conducted to estimate the energy expenditure (EE) of 7 high school age girl, 15 to 16 year age, by measurement of energy intakes and changes in body energy (BE) content (intake/balance technique), keeping their normal living pattern and eating behavior. Gross energy intake (GE) and fecal energy (FE) loss was measured by bomb calorimetry. Urinary energy (UE) loss was calculated from nitrogen excreted. Fat mass (FM) was determined from body density estimated from skinfold thickness. Mean constitutional ratio of carbohydrate, protein and fat for the total energy intake was 70.1$\pm$1.8%, 12.2$\pm$0.7% and 17.7$\pm$2.0%, respectively, Fecal energy loss was 2.8% proportion of the gross energy intake. Mean daily metabolizable energy estimated by subtract fecal and urinary energy loss was 2022 $\pm$ 50㎉. Total body energy change estimated from body composition change over 28days was increased 2400 $\pm$ 950㎉ . Mean daily energy expenditure was 1958$\pm$87㎉ (39$\pm$2㎉ /kg of body weight).

  • PDF

Development of the Korean wind map using WRF-FDDA-LES (WRF-FDDA-LES를 이용한 풍력-기상자원지도 개발)

  • Byon, Jae-Young;Choi, Young-Jean;Seo, Beom-Keun;Kim, Su-Na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11a
    • /
    • pp.181.1-181.1
    • /
    • 2010
  • 기후변화의 주요인이 되는 온실가스 감축을 목표로 화석연료를 대체하기 위한 대체 에너지 개발을 위한 많은 노력이 진행되고 있다. 풍력 에너지와 같은 신재생에너지는 이러한 하나의 해결 수단이 될 수 있으며 풍력 에너지 사업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정확한 풍력 정보 제공이 우선이다. 풍력-기상자원지도는 풍력 발전에 유용한 정보 제공을 위한 목적으로 중규모 수치 모델을 이용하여 작성된다. 본 연구에서는 중규모 수치 모델의 정확도 향상을 위한 자료동화 방법으로써 Four-Dimensional Data Assimilation (FDDA) 방법을 이용한다. 풍력-기상자원지도는 공간분해능 1 km 해상도로 개발된다. 풍력-기상자원지도는 1998-2008년까지의 평균적인 상태에 대하여 모의를 하기 위하여 통계적인 방법으로 11년 기간의 평균과 유사한 기간을 선정하였다. 풍력-기상자원지도는 연 평균, 월 평균 풍속과 주 풍향, 주풍향 발생 비율 등의 정보를 제공한다. 우리나라 풍속의 평균 분포는 내륙 산악지역, 남해안, 제주도에서 강풍이 발생하며 주 풍향은 대체로 북서풍이다. 주 풍향의 발생비율은 산악 지역과 남 동해안에서 높아 풍력 발전의 최적지 정보를 제공한다. 1 km 해상도의 모델과 관측의 오차는 서해안 등의 해안지역보다 강원 산악지역에서 오차가 더욱 증가하였다. 이러한 산악 지역의 오차는 복잡한 지형에서는 1km 미만의 수 백 m 해상도 수치모의가 필요함을 지시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WRF-LES 모형을 이용하여 333m 해상도의 기상자원지도를 개발한다. 333m 해상도의 자원지도 영역은 강원도 지역에 대하여 모의되었다. 333m 해상도의 풍속 분포는 1km 해상도의 풍속 분포와 비교하였을 때 풍속의 분포가 보다 세밀하게 표현되었다. 정량적인 검증을 하였을 때 관측소에 따라 차이는 있었으나 1km 해상도에서 과대 모의된 풍속의 분포가 현저히 개선이 되었으며, 시간적인 경향도 잘 일치함을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