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에너지 저장 화합물

Search Result 34,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Growth and characterization of Zn layered-double hydroxide (LDH) based two-dimensional nanostructure

  • Nam, Gwang-Hui;Baek, Seong-Ho;Im, Ji-Su;Lee, Sang-Seok;Park, Il-Gyu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6.02a
    • /
    • pp.371.1-371.1
    • /
    • 2016
  • 다양한 물질계의 2차원 나노구조는 그래핀과 함께 그 고유특성으로 최근 광전소자, 전자소자, 센서, 에너지 생성 및 저장과 수소에너지 생성 등의 응용으로 매우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특히 층상이중수산화물 (layered-double hydroxide; LDH) 2차원 나노구조는 생성의 용이성과 층상 내 금속 이온의 교환을 통한 특성의 자유로운 제어가 가능하므로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층상이중수산화물 화합물은 [Zn(1-x) MIII(x)(OH)2][$An-x/n{\cdot}mH2O$] (MIII = Al, Cr, Ga; An- = CO32-, Cl-, NO3-, CH3COO-) 구조로써, Brucite-type 구조 내에서 3가 양이온의 상태에 따라서 다양한 특성을 제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장점으로 인해 층상이중수산화물 화합물은 촉매나, 에너지 저장, 음이온 교환 및 흡착, 화학적 촉매, 바이오 소자 등에 응용이 연구되고 있으며, 다양한 금속 산화물을 제조하기 위한 중간자 precursor로써도 연구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대부분의 연구들을 통한 결과물들이 분말 및 수용액 상태로 남게 되며, 이러한 화합물의 특성을 제어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이러한 나노구조물들을 다양한 소자로 응용하기 위해서는 상용의 실리콘이나 glass 등의 기판형태의 물질상에 성장시킬 수 있어야 하며, 그러한 기판 위에서의 형상 및 특성 제어가 용이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실리콘 기판을 적용한 Zn기반의 층상이중 수산화물 화합물을 성장하고, 하부물질의 조성제어를 통한 층상이중수산화물 화합물의 형상제어가 가능한 기술에 관한 연구를 보고하고자 한다. 이를 위한 하부물질의 조성은 Zn와 Al을 통해 이루어지며, 기형성된 Al2O3박막을 핵형성층으로 활용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형성된 층상이중수산화물 화합물에 대해 이차전자주사현미경, 투과전자현미경 및 X-ray회절기법을 통해 구조분석을 하고, Raman 및 광발광스펙트럼 분석을 통해 광학적 분석을 시행함으로써, 층상이중수산화물이 기판상에서 형성되는 메커니즘에 관한 규명을 시행하였다. 이러한 분석연구를 통해 핵형성층의 에칭 따라 실리콘 기판상에서 성장하는 층상이 중수산화물 화합물의 형상 및 조성이 제어되는 메커니즘을 구명하였다.

  • PDF

Study on entrapping behavior of gas mixtures into hydroquinone clathrate (hydroquinone의 혼합기체 포집 거동 특성분석)

  • Choi, Kijong;Lee, Yongjae;Yoon, Jiho;Lee, Jongwon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06a
    • /
    • pp.220-220
    • /
    • 2010
  • clathrate compound란 호스트 분자가 수소 결합에 의하여 3차원 골격구조를 만들고, 이 격자 내부의 동공으로 저분자량의 기체 게스트 분자가 포집되며 형성되는 고체 결정 화합물이다. 현재까지 다양한 호스트 분자가 clathrate 화합물을 형성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으며, 이 중 유기물인 hydroquinone 역시 clathrate compound를 형성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clathrate compound는 작은 고체 부피 내부에 막대한 양의 기체 분자를 저장할 수 있는 특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에너지 가스의 저장/수송이나 혼합 가스의 선택적 분리와 같은 다양한 응용을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clathrate compound를 형성하는 유기 호스트 분자인 hydroquinone을 이용하여 다양한 기체분자들에 대한 포집 거동을 파악하였다. 순수 기체로는 $N_2$, $H_2$, $CO_2$, $CH_4$의 4종류를 가지고 고압 반응기에서 50bar의 압력, 상온에서의 반응 조건으로 반응을 시켰다. 이렇게 형성된 반응 샘플들은 clathrate 형성 여부(기체의 포집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x-ray 회절을 통한 고체 결정 구조 분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순수 기체 이외에 다양한 비율(20%, 40%, 60%, 80%)의 조성을 갖는 $CO_2+N_2$ 혼합가스를 이용하여 clathrate compound의 형성과 조성 분석을 수행하였는데, x-ray 회절 분석과 13C 고체 NMR 분석을 통해 미세 구조 분석 연구를 수행하였고, Raman분석을 통하여 그 조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는 기체의 저장/수송이나 혼합 가스의 선택적 분리와 같은 응용 분야에서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지방(脂肪)

  • 최진호
    • KOREAN POULTRY JOURNAL
    • /
    • v.23 no.10 s.264
    • /
    • pp.124-127
    • /
    • 1991
  • 지방은 물에는 녹지 않고 유기용매(에텔, 클로르포름, 벤젠 등)에 녹으며 다른 영양소에 비하여 탄소(C)와 수소(H)의 구성비가 높다. 따라서 모든 영양소 중에서 에너지의 함량이 가장 높아서 (탄수화물의 2.25배)동물체네 에너지 저장 수단이 된다. 지방으로 분류되는 물질 중에서 가장 중요한 것이 중성 지방(中性 脂肪, neutral fat 또는 triglyceride)이며 이밖에 wax, 인지질, 당지질, 지방 단백 및 각종 스테로이드 화합물 등이 지방에 포함된다.

  • PDF

Status of Gas Hydrate Technology Development (가스하이드레이트 기술개발현황)

  • Ahn, Young-Hun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9.06a
    • /
    • pp.686-686
    • /
    • 2009
  • 가스하이드레이트는 수소결합을 하는 물분자의 고체상 격자(Lattice)내에 포집되어 들어가는 기체분자로 구성된 결정화합물로서 외형적인 형태는 얼음과 거의 유사하다. 천연가스 하이드레이트 기술의 최대장점으로는 액화천연가스(LNG)는 초저온인 $-162^{\circ}C$의 저장조건이 필요하지만 천연가스하이드레이트(NGH)기술은 비교적 온화한 조건인 $-15^{\circ}C$에서 천연가스를 고체상태로 저장/이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천연가스를 $-162^{\circ}C$에서 액화시킨 LNG상태로 생산, 수송, 저장하는 경우보다 고체상태인 NGH(Natural Gas Hydrate)로 만들어서 생산, 수송, 저장할 경우 천연가스의 생산, 수송, 저장, 재가스화 등의 일련의 공정과 비교해볼 때 LNG방법보다 약 24%이상의 경비를 절감을 할 수 있다고 보고되어지고 있다. 따라서, 천연가스의 수송 및 저장기술에서의 탁월한 경제성으로 인해 선진국에서는 가스하이드레이트에 대한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특히 일본은 5Ton/Day용량의 NGH 생산플랜트를 건설하여 시운전 중에 있다. NGH기술의 주요 활용분야는 대용량의 가스매장량을 요구하여 LNG공정기술을 적용할 수 없는 중소형가스전 또는 한계가스전에 경제적으로 적용하는 해양수송분야와 천연가스 공급망이 갖춰져 있지 못한 지역에 NGH Pellet형태로 수송/재기화하여 활용하는 내륙운송이 분야가 있다. 국내에서는 지식경제부 국책과제인 ETI(Energy Technology Innovation)사업을 시작으로 국가경쟁력 제고 차원에서 이러한 기술의 기반구촉 및 실증화 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주요 내용으로는 NGH Process Flow, Overall NGH Process concept diagram, NGH Carrier outline, NGH Land Transportation chain 등이 포함되어 있다.

  • PDF

The study on the variaty of anode materials, $C_6Li$ for secondary battery (2차 전지 음극 재료용 $C_6Li$의 다양화에 관한 연구)

  • 오원춘;김범수;이영훈;고영신
    • Journal of the Korean Crystal Growth and Crystal Technology
    • /
    • v.8 no.4
    • /
    • pp.660-666
    • /
    • 1998
  • We discussed structure, energy state, characteristics of thermal stability, and electrochemical properties of Li-GFICs, Li-PCICs, and Li-AGICs during the intercalation process. According to X-ray diffraction patterns, we observed phase of stage 2 mainly from Li-GFICs, while stage 1 phase as well as stage 2 from Li-PCICs. For the structure of Li-AGICs, stage 1 phase was dominant, but it was not possible to obtain pure stage 1 compound probably due to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artificial graphite. We measured energy state of the compounds to stage stability, and revealed that Li-AGICs and Li-GFICs were in more stable state than Li-PCICs. Therefore, those two compounds could be excellent candidate for energy reserve material. From the study of thermal degradation, Li-GFICs showed strong exothermic reaction at around 300 and $400^{\circ}C$. In the study of thermal stability of Li-AGIC at various temperatures, we observed that lithium was not completely deintercalated and high stage was maintained even at high temperature. In the case of charge, discharge, and electrochemical studies, Li-GFICs showed the best results.

  • PDF

Microscopic investigation on the binary ethanol + $CH_4$ Hydrate system (ethanol + $CH_4$ 하이드레이트 시스템의 미세 분광학적 연구)

  • Lee, Jong-Won;Kang, Seong-Pil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11a
    • /
    • pp.149.1-149.1
    • /
    • 2010
  • 가스 하이드레이트는 작은 고체 부피 내에 막대한 양의 가스를 저장할 수 있다는 특징으로 인하여 최근 주목을 받고 있지만, 엔지니어링 분야에서는 천연가스 수송 파이프라인에 blockage problem을 일으키는 해로운 물질로 처음 관심을 받았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초기에는 하이드레이트 형성영역을 벗어나도록 온도, 압력을 유지하기도 하였으나, 최근에는 다양한 형성 억제제가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억제제로 알려져 있는 대표적인 알코올 화합물인 에탄올을 이용하여 고압의 메탄과 binary 하이드레이트의 형성 연구를 수행하였다. 다양한 농도의 에탄올을 이용하여 형성된 하이드레이트 샘플은 고체 NMR 분석을 통하여 분자 거동을 자세히 측정하였으며, 분말 XRD 분석을 통하여 헝성된 미세 결정 구조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는 에탄올 및 알코올 화합물의 가스 하이드레이트 형성 거동 및 binary guest 시스템에서의 tuning 효과에 대한 유용한 정보를 제시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 PDF

A Study on the Cooling Characteristics and Subcooling Improvement of TMA-Water Clathrate Compound (TMA-물계 포접화합물의 냉각특성과 과냉각 개선에 대한 연구)

  • Park, Seul-Hyun;Kim, Chang-Oh
    • Journal of the Korean Solar Energy Society
    • /
    • v.34 no.6
    • /
    • pp.85-92
    • /
    • 2014
  • This study carried out experimental on the cooling characteristics of clathrate compound including TMA(Tri-Methyl-Amine ; $(CH_3)_3N$) as a low temperature latent heat storage material. And additive was used for subcooling improvement of TMA-water clathrate compound. The conclusion of above study is as following ; TMA 25wt%-water clathrate compound is shown stable phase change and low subcooling degree. The subcooling was improved in the case ethanol($CH_3CH_2OH$) 0.5wt% is added to TMA 25wt%-water clathrate compound.

Microscopic Analysis on New Water-soluble Hydrate Systems (새로운 수용성 하이드레이트 시스템에 대한 미세 분광학적 분석연구)

  • Lee, Jong-Won;Lu, Hailong;Moudrakovski, Igor L.;Ratcliffe, Christopher I.;Ripmeester, John A.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06a
    • /
    • pp.215.1-215.1
    • /
    • 2010
  • 가스 하이드레이트는 작은 고체 부피 내에 막대한 양의 가스를 저장할 수 있다는 특성으로 인하여, 최근 천연가스 혹은 메탄의 저장 매체로 활용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중에 있다. 하지만 실제 응용을 위해서는 미세구조 분석이 수행되어 하이드레이트 형태로 저장할 수 있는 정확한 저장 용량을 파악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여러가지의 고리형 에테르, 고리형 에스테르 및 고리형 케톤 화합물들을 테스트하여 메탄 가스와 반응하는 6가지의 새로운 sII 혹은 sH 하이드레이트 형성제를 파악하였다. 또한 새로이 발견된 형성제 모두에 대하여 하이드레이트 상평형도 측정하였다. 얻어진 상평형 데이터는 하이드레이트 안정영역과 게스트 분자 크기 간에 뚜렷한 상관관계가 있음을 입증하였다. 아울러 형성된 하이드레이트 샘플은 고체 분말 X-선 회절과 고체상 13C NMR 분석을 수행하여 하이드레이트 구조와 게스트 포집률을 조사하였다. 마지막으로, 비슷한 화학 구조식을 갖고 있음에도 2-methyltetrahydrofuran과 3-methyltetrahydrofuran, 혹은 4-methyl-1,3-dioxane과 4-methyl-1,3-dioxolane은 서로 다른 하이드레이트 결정 구조를 보여 주었는데, 이러한 차이는 하이드레이트 결정 구조를 결정짓는 게스트 분자 크기, 즉 임계 게스트 분자 크기를 파악하는 데에도 매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 PDF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Li-Graphite intercalation Compounds (리튬-흑연 층간 화합물의 합성 및 특성)

  • Oh, Won-Chun;Kim, Myung-Kun;Ko, Young-Shin
    • Analytical Science and Technology
    • /
    • v.7 no.3
    • /
    • pp.315-320
    • /
    • 1994
  • Li-GICs as a high performance energy storager were synthesized as a function of the Li content by the admixture and add-pressure method.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prepared compounds have been determined from the studies by X-ray diffraction, UV-VIS spectrometry and CHN analysis. It follows from the results of X-ray diffraction that the lower-stage intercalation compounds are formed as the Li contents increase, however the mixed stages in these compounds are also observed. In the case of the $Li_{40wt%}$, the compound with the structure of stage 1 has been predominently, but the structure of only stage 1 is not obtained. The $d_{001}$ value of stage 1 was determined to be ca. $3.70{\AA}$. An analysis of spectrometric data shows that each of the compounds gives distingushible energy state spectra. It is seen from the spectra that the positions of $R_{min}$ values, with increase in the Li contents, are shifted in the region of higher energy state. Such a result can be attributed to the formation of stable stages. The results of CHN analysis allow us to find the mixing state related to chemical compositions of the intercalated compounds and the superiority to admixture and add-pressure method. From the results determined, it reveals that $Li_{10wt%}$-GIC and $Li_{20wt%}$-GIC can be utilized for an anode of rechargable battery.

  • PDF

Technology and Applications of Mechanical Alloying Processing (기계적 합금화 공정 기술 및 응용)

  • 이광민;김진천;이재성;김영립
    • Journal of Powder Materials
    • /
    • v.11 no.2
    • /
    • pp.89-96
    • /
    • 2004
  • 1980년대 후반부터 집중적으로 연구되어온 기계적 합금화 공정 기술은 이제 단순화합물 조성의 합금화공정 뿐 만아니라 기계화학적(Mechanochemical) 방법으로까지 진보되어 다양한 시스템으로의 응용기술로까지 발전하게 되었다 더욱이 최근 나노기술의 한고상 제조기술로서도 역할을 하게 되는 기계적 합금화 공정 기술은 21세기에 있어서도 본문에서 연급한 바와 같은 고온용 고장도 Al 합금제조 외에도 나노결정립 분말, 자성재료, 에너지전환/저장기능재료, 준결정상제어 분야로서의 무한한 응용 가능성을 기대해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