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에너지 자원

Search Result 3,152,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POLICY & ISSUES 기획특집_4 - 기후변화대응 녹색기술의 현주소와 미래

  • Kim, Ju-Yeong
    • Bulletin of Korea Environmental Preservation Association
    • /
    • s.399
    • /
    • pp.20-21
    • /
    • 2012
  • 우리나라는 좁은 국토에 많은 인구가 밀집한 관계로 단위면적당 폐기물의 발생량이 세계 최고 수준이며, 해양 오염 방지를 위해 유기성 폐기물 해양 배출을 금지한 런던협약 등 기후변화 관련 규제가 강화되고 있다. 또한 화석연료의 고갈화로 대체에너지 개발이 시급한 현시점에서 폐자원 에너지화 사업의 인프라 구축 및 대응책 수립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우리나라는 2008년 5월 "폐기물 에너지화 종합대책" 이후 2009년 7월 "폐자원 및 바이오매스 에너지 대책" 실행계획 수립으로 폐기물 에너지화 사업 도입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 폐자원 에너지화 기술은 화석연료 대체로 인한 온실가스 감축효과가 있어 폐기물 처리, 화석연료 대체, 온실가스 감축이라는 일석삼조의 기술이다.

  • PDF

「친환경에너지타운」 조성 의미와 추진 방향

  • Jo, Hyeon-Su
    • Bulletin of Korea Environmental Preservation Association
    • /
    • s.419
    • /
    • pp.13-16
    • /
    • 2015
  • 이제 안정적인 폐기물 처리와 자원순환 사회 구축, 기후변화 대응과 친환경 에너지 확보는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과제이다. 우리 스스로 더욱 노력해 폐자원 에너지화 기술개발과 함께 친환경에너지타운 조성사업 속도를 낼 때이다. 친환경 에너지타운이야말로 기피 혐오시설을 활용하여 에너지를 생산함으로써 환경과 에너지 문제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는 최선의 대안이라고 확신한다.

  • PDF

Development of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for New & Renewable Energy Resources (신재생에너지 자원별 통합관리시스템 구축)

  • Choi, Young-Moon;Lim, Jung-Yeol;Cha, In-Su;Park, Se-Joon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08.06a
    • /
    • pp.94-96
    • /
    • 2008
  • 신 재생에너지자원의 적극적인 활용을 위해서 에너지 절약 및 대체기술, 대기환경 평가 등을 위한 신재생에너지자원의 표준데이터 작업이 요구되며, 장기간에 걸쳐 데이터를 꾸준한 수정과 보완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에 앞서 본 연구에 의해 얻어지는 지역별/자원별 데이터를 토대로 관련 기술 분야에 활용될 수 있도록 관련 자료의 측정 수집 및 전송은 물론 방대한 데이터가 보다 용이하게 활용될 수 있도록 지속적인 IT기술 접목을 통한 다양한 응용시스템 및 에너지원 발굴의 기반환경이 필요하다. 이러한 배경으로 본 연구에서는 지역 특성을 고려한 최적의 신 재생에너지 이용 발전 시스템 구축 방안을 도출하고, 신 재생에너지 발전 시스템 최적 운용을 위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지역별 신 재생에너지 통합관리 운영 시스템 개발을 최종 목표로 한다.

  • PDF

21세기 에너지ㆍ자원부문의 발전방향

  • Korea Petroleum Association
    • Korea Petroleum Association Journal
    • /
    • no.7 s.185
    • /
    • pp.66-76
    • /
    • 1996
  • 이 자료는 지난 6월 4일 한전대회의실에서 열린 21세기 경제장기구상 에너지 자원정책부문 공청회에서 류지철박사 (에너지경제연구원 책임연구위원)이 발표한 내용을 옮긴 것이다. <편집자 주>

  • PDF

G7 프로젝트 신에너지 기술개발

  • 지평삼
    • 전기의세계
    • /
    • v.41 no.12
    • /
    • pp.13-20
    • /
    • 1992
  • 앞으로의 에너지수요는 환경보전적인 측면과 사용의 편리성 등으로 전기에너지의 사용비중이 점진적으로 높아질 것으로 예상되고 있으나 자원이 부족한 우리나라로서는 에너지 수급물체와 화석연료사용에 따른 환경문제 등 불리한 여건에 놓여있다, 그리고 세계의 경쟁과 협력은 경제와 과학기술을 중심으로 이루어진다는 점을 감안해 볼때 이러한 제반문제를 극복하고 21세기의 선진국 대열에 진입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신에너지 기술개발은 필연적이라고 생각되어지고 그 개발성과 여하에 따라 국제사회에서 우리나라의 위상을 결정해 주는 중요한 요소가 될 것으로 본다. 세계적으로 신에너지 연구개발분야에서 미국은 화석연료자원이 풍부함에도 불구하고 태양광발전 풍력발전 등 신.재생에너지 기술개발과 석탄청정이용기술 개발을 정부와 민간의 공동사업으롤 적극 추진중에 있으며 일본조 1974년 부터 통상산업성 주도하에 신에너지 기술개발 계획인 Sunshine Project와 1978년 에너지 절약기술인 Moonlight Project를 수립한 이후 1980년 신에너지 산업기술 총합개발기구(NEDO)가 설립되어 지속적인 에너지 기술개발이 추진되고 있다. 그러므로 에너지 자원이 빈약하고 기반기술이 취약한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정부차원에서 신에너지 기술개발에 대한 적극적인 의지와 민간기업의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제도적 지원이 필요하며 선도기술개발 사업 신에너지 기술개발의 성공을 위하여 정부와 민간의 공동노력을 위한 장기적인 안목의 투자와 연구가 지속적으로 필요한 것으로 본다.

  • PDF

에너지위기와 한국

  • 한만춘
    • 전기의세계
    • /
    • v.23 no.4
    • /
    • pp.3-7
    • /
    • 1974
  • 최근에 세계적으로 에너지위기가 운위되어 여러가지 대책이 강구되는 한편, 이른바, 자원외교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에너지 문제는 식량확보와 아울러 인류의 생존과 발전을 위한 필수의 선행조건임은 재언할 필요가 없다. 국토가 양단되어 충분한 천패의 에너지자원을 보유하지 못하고 있는 우리나라에서 금후의 경제성장과 국민소득의 향상에 따라 계속적으로 증가한 에너지 수요에 대응할 수 있는 충분한 에너지 공급의 확보는 우리나라의 발전에 가장 시급한 문제라고 아니할 수 없다.

  • PDF

Trend of the Unconventional Energy Resources (비재래 에너지자원 동향)

  • Cho, Jin Dong;Kim, Jong Hyun;Park, Kwan Soon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 /
    • v.47 no.3
    • /
    • pp.265-273
    • /
    • 2014
  • Unconventional resources are natural resources which require greater than industry-standard levels of technology or investment to exploit the commercial development. The key point is that unconventional resources are lower quality fuel sources and are not as economically viable as crude oil and conventional gas. Over the past 100 years, Conventional oil and gas has been satisfied with the energy demands. But developing countries such as China and India, the introduction of the developed countries and the surge of energy due to the depletion of unconventional energy resources will be the limelight. According to be analyzed in the academic literature to unconventional gas and oil(2000~2012) by the program of 'web of science', the research activities 402 papers in unconventional gas and 1,581 papers in unconventional oi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