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에너지절약설계기준

Search Result 59, Processing Time 0.021 seconds

이슈분석 - 건축물의 에너지절약 설계기준 개정내용 분석

  • 대한전기협회
    • JOURNAL OF ELECTRICAL WORLD
    • /
    • s.458
    • /
    • pp.53-55
    • /
    • 2015
  • 국토교통부는 '건축물의 에너지절약 설계기준'과 관련해 지난해 9월, 12월 두 차례 개정하고 시행에 들어갔다. 이 기준은 건축물의 효율적인 에너지관리를 위해 열손실 방지 등 에너지절약 설계에 관한 기준, 에너지절약계획서 및 설계 검토서 작성기준, 녹색건축물의 건축을 활성화하기 위한 건축기준 완화 등에 관한 사항을 담고 있다. 특히 9월 개정에서는 LED조명 설치 확대, 에너지성능지표(EPI) 전기부문 검토항목 추가 등 전기부문에 대한 내용이 다수 포함돼 있어 관계자들의 관심이 요구된다. 개정내용 중 전기부문에 대해 자세히 해설한다.

  • PDF

중국의 건물에너지 효율 개선 정책

  • 에너지절약전문기업협회
    • The Magazine for Energy Service Companies
    • /
    • s.22
    • /
    • pp.62-67
    • /
    • 2003
  • 현재 건축중인 대부분의 신축 건물들은 에너지 효율이 떨어지는 예전의 설계 원칙에 따라 지어지고 있으며, 이는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난방을 직접 조절할 수 없는 1950년대부터 사용되어 온 중앙 난방시스템식 설계를 기초로 하고 있다. 중국 정부는 신축 건물의 에너지 효율을 1980년대 초에 지어진 건물에 비해 $50\%$정도 높게 향상시키고자, 난방지역에 있는 건물에 대한 새로운 에너지 효율 기준을 발표했다. 하지만 이 기준은 거의 효력을 발휘하지 못하고 있다.

  • PDF

FEATURE - A Right Understanding of an Energy-saving Standard for Architectural Design (기고 - 건축물의 에너지절약 설계기준의 바른 이해)

  • Roh, Sung-yeal
    • Korean Architects
    • /
    • s.466
    • /
    • pp.79-88
    • /
    • 2008
  • 건설교통부 서울지방국토관리청(청장 한기선)에서는 지난 한 해 동안 수도권에 건설 중인 아파트 등 다중이용건축물의 부실시공 방지를 위해 시공실태점검과 기술자교육 등을 실시하고 있으나, 에너지절약 부분에 있어서는 관련법령에 미달되게 적용하는 사례가 반복 지적되고 있어, 설계자에 대한 관련 기준의 바른 이해에 도움이 되고자 알려 드립니다.

  • PDF

건축물 에너지절약 설계기준 개정에 따른 온돌시스템 기술개발 방향

  • 강재식;이승언
    • 월간 기계설비
    • /
    • s.143
    • /
    • pp.60-74
    • /
    • 2002
  • 건축물의 에너지 이용을 효율화하기 위하여 단열기준 등을 기존보다 20% 이상 강화하는 것을 골자로 하는 건축물의 에너지절약 설계기준(건설교통부 고시 제2001-118호)이 지난해 6월 1일부터 시행되고 있다. 개정 기준의 가장 큰 특징은 단열기준의 적용 부위를 외기에 직접 면한 부위와 간접 면한 부위로 구분하고, 지역을 중부와 남부, 제주도로 구분$\cdot$설정하여 부하조건과 에너지 소비특성에 따라 건축물의 단열기준을 세분화한 것이다. 특히, 종래에는 최하층 바닥에만 적용하였던 거실 바닥(온돌)의 단열기준을 중간층까지 확대$\cdot$적용하였고, 여기에 온돌시스템의 열적 특성을 고려하여 단열기준의 적용 부위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정하고 있다. 따라서 종래의 온돌시스템에서 채움층으로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현장 타설식 경량기포콘크리트의 열전도율이 0.13W/mK 내외임을 고려한다면 현행 습식온돌시스템의 열관류율은 $1.0W/m^{2}K$ 이상이 될 것으로 예상됨으로서 앞으로 온돌시스템의 배관층 하부에 $1.0m^{2}K/W$ 이상의 열전도저항을 지닌 단열층이 구성되어야만 개정기준에서 정하는 열관류율 $0.81W/m^{2}K$(기준층 기준)의 성능과 배관하부의 열전도저항값 적용비율을 만족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자동제어 설계기준서

  • Sin, Yeong-Gi
    • The Magazine of the Society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ng Engineers of Korea
    • /
    • v.39 no.3
    • /
    • pp.4-9
    • /
    • 2010
  • 에너지 절약 및 재생에너지 활성화를 위한 자동제어 역할이 중요해지고 있어 이번에 새로 제정되는 자동제어 설계기준서의 내용을 소개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