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에너지공급체계

Search Result 117,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Heating Value of Natural Gas Using SGERG Equation and a Specific Gravity Meter (비중계와 SGERG 방정식을 이용한 천연가스 열량 산정에 관한 연구)

  • 하영철;이강진
    • Journal of Energy Engineering
    • /
    • v.9 no.4
    • /
    • pp.303-308
    • /
    • 2000
  • 천연가스 도입 다변화 정책이 시행된 이후 공급 천연가스의 조성이 산지별로 적지 않게 차이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부피와 열량으로 이원화된 기존 천연가스 상거래 단위 체계를 열량 단위로 일원화하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다. 열량을 상거래 단위로 하기 위해서는 고가의 가스분석기사 필요하지만 공급량이 극히 적은 상당수 공급설비에까지 이를 적용하기는 어려우며 이로 인해 보다 경제적인 방안이 모색되고 있다. 이러한 방안의 하나로 본 연구에서는 SGERG식과 비중계를 이용한 열량산정 방법을 분석해 보았다. 이를 위해 압축계수식인 SGERG식을 열량식으로 변형하고 불확도 분석을 하였다. 또한 열량계산에 필요한 비중, 이산화탄소 함량, 질소 함량의 측정 또는 예측의 타당성도 검토했고 실제 현장 데이터를 통해 본 방법의 적정성도 확인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에서 제시한 방법을 이용하면 가스분석기와 유사한 불확도로 열량 산정을 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A Study on Energy Efficiency Timetabling Problem (에너지 절약형 열차시각표 작성에 관한 연구)

  • Kim, Kyung-Min;Oh, Seog-Moon;Min, Jae-Hong
    • Proceedings of the KSR Conference
    • /
    • 2009.05a
    • /
    • pp.1383-1389
    • /
    • 2009
  • This paper describes an Energy Efficient Timetabling Problem(EETP). In these days, the researches on development of an energy efficient railway systems are highlighted over the world. The departures occurred in an electrical power feeding circuit at the same time are necessary to be reduced as far as possible, to minimize the energy consumption. The paper addresses the operational requirements and facility restrictions to construct a mathematical model for EETP. In addition, it suggests several types of objectives for the model.

  • PDF

Establishment of Test Facility for Flue Gas Treatment Technologies and Utilization (연소배가스 처리기술 평가를 위한 설비구축 및 활용방안)

  • 박성열;한근희;현주수;민병무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Energy Engineering kosee Conference
    • /
    • 2003.05a
    • /
    • pp.545-550
    • /
    • 2003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에서는 국내에서 개발된 연소배가스 처리기술의 상용화를 위한 실증용 설비구축 사업이 2002년부터 2005년까지 4년 동안 정부의 지원으로 추진 중에 있다. 본 사업은 시간당 1.0톤의 석탄 연소가 가능한 순환 유동층 연소보일러 및 부대 장치를 이용하여, 10,000 Nm$^3$/hr의 연소 배가스를 공급할 수 있는 설비와 개방형 실험실을 구축함과 동시에 전문가 집단에 의한 기술지원체계를 확립하는 것이 최종 목표이다.(중략)

  • PDF

Technical and Political Issues on Geothermal Energy Policy for Long-term Portfolio (지열에너지의 중장기 정책 포트폴리오를 위한 기술 및 정책적 접근방안 제시)

  • Kim, Kiyeol;Kim, Kyung-Hee;An, Hyungjun;Lim, Hye-Sook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1.11a
    • /
    • pp.154-154
    • /
    • 2011
  • 화석연료의 가격 및 공급의 불안정과 온실가스감축 국제 규제 강화 등에 대한 대안으로 여기는 신 재생에너지는 높은 초기 투자 부담으로 인하여 관련기술의 연구개발과 보급정책 등 전과정에 걸친 정책 지원체계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지열에너지를 이용하는 지열냉난방기술에 중점을 두고 이에 대한 중장기 정책 포트폴리오 작성을 위한 기술 및 정책적 접근방안을 제시하고자한다. 지열에너지의 가장 큰 특징은 기후 등에 영향을 크게 부하가 변하는 태양광, 풍력 등과 달리 일정한 부하를 유지함으로써 안정적인 에너지공급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또, 품질 측면에서도 화석연료를 이용한 기존의 연료보다 쾌적한 환경을 조성하여 고급에너지로 평가받고 있다. 반면, 설비를 갖추기 위한 천공, 히트펌프 설치 등에 큰 비용이 든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현재 히트펌프 제작기술은 국산화를 완료한 상태로 사실상 기술개발에 의한 큰 폭의 원가절감은 기대하기 힘든 상황이다. 하지만, 유사분야인 시스템 에어컨이 표준화 및 대량생산을 통한 시장 보급 확대로 보급단가가 하락한 것을 고려해 볼 때 이를 통한 가격하락은 어느 정도 기대해 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에너지 외적인 측면에서 볼 때도 지열에너지의 공급은 상당한 의미를 갖는다. 건물 냉 난방용 이외에 다양한 용도의 개발을 통해 비닐하우스나 온실 등에 지열에너지를 이용할 경우 정부차원에서 농어촌에 대한 지원이 가능하다. 또, 기존의 에너지원을 조달하는데 어려움이 있는 산간, 도서지방에서는 도시지역보다 투자대비 큰 효과를 볼 수 있어 지역간 에너지 불균형 해도에도 도움이 될 수 있다. 이와같은 지열에너지의 특성에 따라 향후 발전방향을 정리해 보았다. 핵심기술인 지열 히트펌프의 산업구조와 시장 보급 확대를 통한 가격하락을 기대한다. 지역개발 및 고립지역에서 타 신 재생에너지와 함께 독립적인 전력, 냉난방 등의 완전 에너지 공급시스템을 갖출 수 있다. 또한 특수 작물 등의 고급 농수산물 생산등의 용도개발을 통해 지열에너지 공급역량을 성장시킬 수 있을 것이다. 이와 함께 중장기 비젼을 제시하기 위해 추진되어야 할 연구과제로는 시장 보급 확대에 따른 가격경쟁력 도달 가능성에 대한 연구를 통해 산업육성 방안 마련, 타 신 재생에너지기술과 복합 설치에 의한 시너지 효과 및 이에따른 초기 투자비 증가에 대한 대책, 보급 잠재량 조사, 지열시스템의 자금 조달 및 관련 정책 검토 등이 있을 수 있다.

  • PDF

Data mining analysis for short-term water demand forecasting (물 수요예측을 위한 데이터 마이닝 기법 분석)

  • Shin, Gang-Wook;Hong, Sung-Taek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9.07a
    • /
    • pp.1771_1772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안정적인 물 공급과 에너지의 효율적 사용을 위한 단기 물 수요예측에 대하여 데이터 마이닝 기법의 적용성을 검토하고자 한다. 물 공급이 이루어진 요일과 특이일에 대한 시계열 분석을 통한 단기 물 수요예측과 데이터 마이닝 기법을 적용한 결과를 상호 비교하여 데이터 마이닝 기법의 적용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단기 물 수요예측알고리즘의 실용화 가능성을 높일 뿐만 아니라 실시간 예측을 위한 기초 데이터 마이닝 체계를 구축하고자 한다.

  • PDF

Optimization of the Community Energy Supply System for D-Cube City, Multi Purpose Building (복합건물(D-Cube City) 지역에너지 공급체계 최적화)

  • Lee, Tae-Won;Kim, Yong-Ki;Lee, Kun-Woo;Lee, Ki-Bong;Cho, Dong-Ho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B
    • /
    • v.36 no.6
    • /
    • pp.669-674
    • /
    • 2012
  • D-Cube City is a recently completed multi purpose building consisting of four types of facilities; offices, a department store, a hotel, and congregation spaces. A community energy supply system(CES) has been installed to supply this building with electricity, steam, heat, and cold water. The BEMS, 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 is currently being designed to reduce building energy consumption through the efficient operation of the various pieces of building service equipment. In this study the optimal methods for operating the CES of D-Cube City were considered. This system includes three combined heat and power systems, seven steam boilers, two hot water boilers, two absorption chillers, and four turbo chillers, and various other pieces of equipment. In result, the optimal methods of operating the CES for various energy demand levels were obtained along with the seasonal effects on the economic efficiency of the operation. The effect of the amount of energy demanded by the various facility areas on the total energy consumption was also analyzed.

The Substantiation of the 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 with Renewable Energy Resources and its Effect Analysis on the Energy Saving (신재생 분산자원을 도입한 건물 에너지관리시스템 실증 및 에너지 절감효과 분석)

  • Jeong, Su-Mi;Park, Jong-Tae;Park, Jae-Hyu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15.07a
    • /
    • pp.535-536
    • /
    • 2015
  • 장기적인 에너지 수급 불안정과 기후변화에 대응하여 지속 가능한 에너지 공급체계인 신재생 에너지의 이용은 1차 에너지 소비 절감을 위한 중요한 요소로 인식되어가고 있다. 이에 국내 총 에너지 소비량의 약 25%를 차지하는 건물 분야에서도 신재생 에너지원의 적용을 확대함에 따라 생산과 소비 최적화를 통한 효율적인 통합 운용 및 제어가 가능한 건물에너지관리시스템의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신재생 분산자원을 도입하여 건물에너지관리시스템을 구축 및 실증하고 그에 따른 에너지 절감효과를 분석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Engineering Program for APR1400 Feedwater Supplying System (APR1400 급수공급계통 엔지니어링 프로그램 개발)

  • Yeom, Dong Un;Ju, Tae Young;Hyun, Jin Woo
    • Journal of Energy Engineering
    • /
    • v.26 no.2
    • /
    • pp.12-22
    • /
    • 2017
  • Korea Hydro & Nuclear Power Co. (KHNP) has implemented engineering programs for operating nuclear power plants. Engineering programs are maintenance rule (MR), functional importance determination (FID), single point vulnerability (SPV) and functional equipment group (FEG). Recently, KHNP has developed engineering programs for APR1400 feedwater supplying system to establish the advanced engineering system and will verify the suitability of engineering programs through implementing in new nuclear power plant. Consequently, it is expected that the reliability of APR1400 feedwater supplying system will be improved by implementing engineering programs.

시간대별 한계발전비용의 특성

  • 김광인;김영창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Energy Engineering kosee Conference
    • /
    • 1994.05a
    • /
    • pp.49-63
    • /
    • 1994
  • 본 논문은 전력공급 한계비용에 대한 기본개념 및 시간대별 한계발전비용에 대한 계산방법 소개와 우리 나라 전력계통의 '94년도 시간대별 한계발전비용의 특성 분석에 중점을 두었다. 시간대별 한계발전비용은 전력계통 일부하곡선의 형태와 매우 유사하여 주간시간대에 높고, 심야시간대에는 낮으며, 계절적, 요일적으로도 차이가 있다. 본 시간대별 한계발전비용의 계산 방법 및 결과는 향후 우리 나라의 전기요금체계에 한계비용의 원리를 도입하는데 있어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으며, 아울러 수요관리정책수립, 양수발전소 운전 및 계획분야 등에 적용이 가능하다.

  • PDF

연료전지용 연료변환장치의 기술개발 동향 및 전망

  • 윤영식;우태우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Energy Engineering kosee Conference
    • /
    • 2003.05a
    • /
    • pp.289-321
    • /
    • 2003
  • o연료전지 시장은 기술의 경쟁력 확보에 따라 Market Potential이 큰 사업 분야임. o연료전지 사업이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경제성과 안전성의 문제 때문에 연료전지용 연료변환장치의 기술개발이 필수적임. o연료변환장치의 활용 분야에 따라 적정 연료, 적정 촉매 선정 및 열전달 효율을 극대화하는 반응기 설계 필요. o연료전지 자동차의 경우 기술의 난이도 때문에 궁극적으로는 On-board fuel processor보다 On-site fuel processor에 의한 수소 공급 station의 형태가 바람직함. o정부주도하에 조직적이고 체계적인 연구개발 필요.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