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에너지공급체계

Search Result 117,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Effect of Various Energy Regimens on Egg Production and Feed Cost of Broiler Breeders Peaked in Winter Season (동절기 산란피크 육용종계 산란기의 에너지 공급체계가 산란능력과 경제성에 미치는 영향)

  • 함영훈;김상인;이규호
    • Korean Journal of Poultry Science
    • /
    • v.30 no.3
    • /
    • pp.169-175
    • /
    • 2003
  •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study the optimum energy feeding regimens fur broiler breeders peaked in winter season with 400 caged hens of Ross strain. Four energy supply regimens which were different in daily energy allotment during laying period were employed for 40 weeks from 24 to 64 weeks of age. All experimental diets were formulated to contain 2,750 kcal ME/kg with adjustments made in total feed allotment to provide the desired energy levels. Total consumption of the feed would provide 20 g of protein, 4 g of calcium and 0.35 g of available phosphorus. There were no difference in hen-day egg production and average egg weight among the regimens of energy supply. Feed, ME and feed cost required per egg or per kg egg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as the level of energy allotment increased(p<0.05). It was concluded that the energy supply regimen, which supplied 280 kcal ME per day at the age of 24 weeks and then increased the energy supply up to 400 kcal ME per day at the peak period of 30∼34 weeks of age, was superior in feed, ME and feed cost required per egg or per kg egg without any adverse effect on eg production and egg weight.

Momentum of Design Change and Social Construction of Technology (기술의 사회적 구성과 산업디자인의 변동 연구)

  • 채승진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of Design Studies Conference
    • /
    • 1999.10a
    • /
    • pp.84-85
    • /
    • 1999
  • 산업디자인은 기술시스템의 하부구조이다. 여기서 기술시스템은 현대 산업사회를 구성하는 다양한 과학기술체계를 뜻한다. 이 현대 기술시스템은 에너지 개발과 공급체계, 교통 및 운송유통체계, 주거 및 공장체계, 식량공급체계, 통신방송체계, 금융체계 그리고 여가 및 오락체계 등으로 구성되며 이들 시스템 역시 자체의 하부구조를 갖게된다.(중략)

  • PDF

육용종계 산란기의 단백질 및 에너지 공급수준에 관한 연구

  • 이규호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of Poultry Science Conference
    • /
    • 2003.05a
    • /
    • pp.27-35
    • /
    • 2003
  • (시험 1) 육용종계 산란기의 단백질공급수준에 관한 연구: 육용종계 산란기의 적정 단백질공급수중을 구명하기 위하여 강원도 홍천군 북방면소재 홍천종계에서 케이지 사양형태의 아바에이카 육용종계 400수를 공시하여 2001년 2월부터 2001년 12월까지 40주간 (24∼64주령) 1일1수당 단백질 공급량을 18, 20, 22, 24g으로 달리하는 4개처리로 사양시험을 실시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총 산란율과 종란 산란율은 모두 처리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으며 (P<0.05), 20g 공급구가 가장 높았으나 18∼22g 공급구간에는 유의차가 없어고 24g 공급구는 20g 공급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2) 평균난중은 1일 단백질공급수준이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나 (P<0.05), 20∼24g 공급구간에는 유의차가 없었고 18g 공급구만 24g 공급구와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 성계생존율은 처리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3) 계란kg당 또는 계란1개당 사료요구율과 ME요구량은 모두 1일 CP 20g 공급구가 가장 우수했으며(P<0.05), 계란 kg당 사료요구율과 ME요구량에서는 CP 18g 공급구계란1개당 사료요구율과 ME요구량에서는 CP 24g 공급구만 CP 20g공급구오 유의차를 보였다(P<0.05). 4) 계란kg당 또는 계란 1개당 CP요구량은 모두 1일 단백질 공급량이 많아질수록 증가하였으나(P<0.05), 18g과 20g 공급구간에는 유의차가 없었다. 5) 계란kg당 또는 계란 1개당 사료비는 모두 CP 20g 공급구가 가장 우수하였으나(P<0.05), 계란1개당 사료비에서는 18∼20g 공급구간에 유의차가 없었다. (시험 2) 육용종계 하절기 산란피크계의 에너지 공급수준에 관한 연구: 육용종계 산란기의 적정 에너지공급체계를 구명하기 위하여 강원도 홍천군 북방면소재 홍천종계에서 케이지 사양형태의 로스 육용종계 400수를 공시하여 2002년 4월부터 2003년 1월까지 40주간 (24∼64주령) 표2와 같은 4가지 에너지공급체계로 사양시험을 실시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총 산란율, 종란 산란율, 평균난중 및 성계 생존율은 모두 처리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으나, 산란율은 1일 에너지공급량이 많을수록 오히려 저하하는 경향을 보였다. 2) 사료요구율, ME 및 CP요구량과 사료비는 모두 1일 에너지공급량이 많아질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P<0.05).

  • PDF

마이크로그리드 운영기술과 국내 연구 동향

  • An, Jong-Bo
    • KIPE Magazine
    • /
    • v.15 no.2
    • /
    • pp.25-29
    • /
    • 2010
  • 마이크로그리드(MIcro Grid)는 현재의 집중적인 전력공급 시스템의 대안으로 부각되고 있는 지역적 에너지공급체계로서 신재생에너지 (Renewable Energy)와 분산전원 (Distributed Generation) 및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에 따라 전력공급에서의 에너지손실 최소화, 분산자원의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이용, 전력품질의 제고, 분산자원의 전력망 수용성 제고 등 다양한 목적으로 실증적인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기술이다. 본고에서는 마이크로그리드의 핵심기술인 운영기술을 그 목적별로 자세히 소개하고 국내에서의 마이크로그리드에 관련된 연구 동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Effect of Varying Energy Supply Series on Egg Production and Feed Cost of Broiler Breeders Peaked in Summer Season (하절기 산란피크 육용종계 산란기의 에너지 공급체계가 산란능력과 경제성에 미치는 영향)

  • 함영훈;김상인;이규호
    • Korean Journal of Poultry Science
    • /
    • v.30 no.2
    • /
    • pp.107-112
    • /
    • 2003
  •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study the optimum energy feeding system for broiler breeders peaked in summer season with 400 caged hens of Ross strain. Four of energy supply series which were different in daily energy allotment during laying period were employed for 40 weeks from 24 to 64 weeks of age. All experimental diets were formulated to contain 2,750 kcal ME/kg with adjustments made in total feed allotment to provide the desired energy levels. Total consumption of the feed would provide 20 grams of protein, 4 grams of calcium and 0.35 grams of available phosphoru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hen-day egg production and average egg weight among the series of energy supply, but egg production showed a trend to decline as the level of energy allotment increased. Feed, ME and CP conversion and feed cost required per egg or per kg egg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as the level of energy allotment increased(p<0.05). It was concluded that the Treatment 1, which supplied 280kcal ME per day at the age of 24 weeks and then increased the energy supply up to 400kcal ME per day at the peak period of 30∼34 weeks of age, was superior in all production parameters.

New and renewable Energy and Critical Raw Materials (신재생에너지와 Critical Raw Materials)

  • Kim, Yujeong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1.11a
    • /
    • pp.155-155
    • /
    • 2011
  • 신재생에너지 수요가 확대됨에 따라 신재생에너지 관련 제품에 소요되는 물질에 대한 관심이 확대되고 있다. 이들 물질은 공급리스크가 존재하는 희유금속이 주를 이루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신재생에너지 등의 high tech 기술 확대로 인한 희유금속의 수요 및 공급을 전망하고 있는 미국의 critical raw material 관리 전략을 살펴보고자 한다. 미국은 2010년 12월 미국 에너지성(DOE : Department of Energy)에서 위기 물질 전략(Critical Materials Strategy)에 관한 리포트를 공표하였다. 클린 에너지 기술 4개 분야(영구자석, 선진 전지, 태양전지 박막, 형광 물질)에서 핵심이 되는 물질(희유금속 등)의 수급 불균형이 일어날 가능성에 대해 조사를 실시하여 리스크 평가하여 단기, 중단기로 구분하여 위기물질을 선정하였다. 클린 에너지 기술 4개 분야에서 핵심이 되는 물질(네오디움, 디스프로슘, 코발트, 리튬, 랜턴, 세륨, 테룰, 인듐, 갈륨, 유로피움, 테르비움, 이트륨)의 12광종 수급을 2025년까지 전망한 결과 전체적으로 단기(2010년~2015년)보다 중기(2015년~2025년)에 공급 부족이 확대한다고 예측되었다. 단기적으로는 인듐이 약간 부족하는 것 외에 디스프로슘과 이트륨에 관해서도 공급 부족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중기적으로는 코발트(전지 기술에 사용)와 유로피움(고효율 조명용의 형광 물질에 사용) 외 대상이 된 다른 모든 물질은 공급 부족이 발생할 것으로 전망되었다. 이를 종합하여 단기적으로는 디스프리슘, 유로피움, 인듐, 테르븀, 네오디움, 이트륨 등이, 중기적으로는 디스프리슘, 유로피움, 테르븀, 네오디움, 이트륨 등이 위기물질(Critical Material)로 분석되었다. 에너지성은 위기물질을 공급원다각화, 대체물질개발, 리유즈, 리사이클링 등을 국제적 파트너와 함께 추진하여 리스크를 관리할 것이며, 2011년까지 최신정보를 구축하여 위기물질 전략을 재설정할 예정이다. 체계적인 위기물질 선정 및 관리전략 등을 참조하고, 신재생에너지기술 변화에 따른 원재료의 중요성 및 리스크 관리현황을 기초로 우리나라에 적합한 위기관리 물질 선정 및 관리가 필요할 것이다.

  • PDF

Development of solar radiation forecasting system using clod cover information (운량 정보를 활용한 일사량 예측시스템의 개발)

  • Yun, ChangYeol;Jo, Dokki;Kim, GwangDeuk;Kang, YongHeack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1.11a
    • /
    • pp.131-131
    • /
    • 2011
  • 태양광 및 태양열 설비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서는 관련 일사정보가 사전정보로 제공되어 시스템 운용을 위한 입력인자로 활용되어야 한다. 특히 전력그리드에 연계되어 설비가 활용된다고 하면, 그 에너지 공급이 불규칙적인 신재생에너지원의 특성으로 인해 에너지 공급량의 예측이 선행되어 기존의 전력공급체계가 이를 지원할 수 있는 모델과 시스템이 구비되어야 한다. 기존의 다양한 연구들이 한정된 국소지점에 대해 다양한 예측기법을 적용하여 평가를 실시하였지만, 장기간의 결과 축적이 이루어지지 못해 그 신뢰성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에서 관리되는 일사정보를 활용하여 청명한 날의 표준 일사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고, 기상청에서 RSS(Rich Site Summary) 형태로 지원하는 운량정보를 이용하여 3시간 이상의 미래정보를 계속적으로 산출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작하고자 하였다.

  • PDF

전력기술.정보 - 스마트그리드의 기본 구성요소와 신재생에너지원의 연계운전 알고리즘 체계

  • Hwang, U-Hyeon
    • Electric Engineers Magazine
    • /
    • s.337
    • /
    • pp.21-24
    • /
    • 2010
  • 경제발달로 산업화가 가속화 되면서 대규모 공업단지나 빌딩의 증가로 전력수요가 급격히 늘어남에 따라 더 많은 발전이 필요하게 되었다. 화력발전은 건설기간이 원자력이나 수력에 비해 짧고 운영이 용이한 반면 이산화탄소 배출이 훨씬 많아 지구온난화와 환경문제의 주요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또한 발전은 입지조건상 바닷가부근에서 생산하여 송전선로를 통해 공급하므로 송배전 전력손실이 높아진다. 따라서 화력발전의 비율을 줄이고 전력망의 손실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신재생에너지원과의 연계운전이 중요하다. 이렇게 다양한 전력공급원과 소비의 최적 운전을 위해서는 스마트 그리드의 구성과 운영 기술의 도입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그리드의 기본 구성요소와 신재생에너지원과의 연계운전에 필요한 알고리즘 체계를 제시하고자 한다.

  • PDF

새로운 에너지 관리전략으로서의 부하관리

  • 박영문
    • 전기의세계
    • /
    • v.29 no.4
    • /
    • pp.205-211
    • /
    • 1980
  • 부하관리는 공급관리와 더불어 전력수급관리의 새로운 전략이라 할 수 있으며, 작금의 에너지 위기에 현명하게 대처하는 중요한 수단으로 부상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부하관리체계의 도입을 위하여는 한계비용 및 시간대별 전력요금제로의 개편, 절전기구의 개발, 대체에너지의 개발, 부하관리 대상 부하의 창출, 통신 또는 전송제어기술의 도입 또는 개발 등이 선행되어야 하기 때문에 우리나라에서도 이방면에 대한 사전준비가 필요할 것으로 믿어진다.

  • PDF

LP가스산업의 현황과 발전정책

  • Park, Heung-Seok
    • LP가스
    • /
    • s.101
    • /
    • pp.10-13
    • /
    • 2006
  • 에너지 위기시 가스공급 안정을 도모하기 위해 LNG와 LPG의 균형발전을 기본 축으로 LPG의 유통체계 개선, 신규수요 개발 등 LPG산업 발전정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가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