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엇도리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8초

조선전기 맞배직교형 건축의 유형과 전파 (A Study on the Type and Spread of Framed Structure of Gable Roof Meeting at Right Angle in the early Joseon Dynasty)

  • 김버들;이종서
    • 건축역사연구
    • /
    • 제27권2호
    • /
    • pp.39-50
    • /
    • 2018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types and spread of framed structures of gable roofs meeting at right angle showed in old architecture and documentary paintings of houses, which were well liked in the early Joseon Dynasty.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framed structure of gable roof meeting at right angle can be divided or recognized in 4 types according to their structure's size and purlin's position. Three of those types were noted to be in Seoul. Second, the framed structure of gable roofs meeting at right angle begun from the awareness of their independence from one another. Each space was divided based on their functions. Therefore, it could be extended in various forms, not only in the square plan physique but also in many different forms. And allowed free plan configuration regardless of column layouts or size of structure. Third, 5 purlins and 3 purlins crossing structure were preferred in Han-yang, the early Joseon Dynasty. It is related to the specific construction conditions of urban houses, such as the slope of land, limited land area, and economic power. Fourth, urban housing techniques were diffused throughout the country by officials who lived in Kae-gyeong and Han-yang at the end of Goryeo and early Joseon Dynasty. In other regions, framed structure of gable roof meeting at right angle households decreased, but in some regions of Gyeongsang-province, framed structure of gable roof meeting at right angle has maintained with Staggered purlin.

전통 목조건축 서까래의 이형적(異形的) 배치 방식 연구 (A study on the variant placement method of the traditional wooden architecture, rafter)

  • 홍은기;장헌덕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8권4호
    • /
    • pp.110-125
    • /
    • 2015
  • 본 연구는 잦은 수리가 이루어지는 평연(平椽) 부분을 대상으로 서까래에 나타나는 변형의 흔적을 통해 서까래 배치에 대한 수리 방식과 변형이 이루어지는 시기 등을 고찰하고 이형적(異形的) 배치 방식이 사용된 건물의 구조적 특징을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기존에 덧서까래 방식의 한 가지 유형으로 분류되던 '덧걸이' 방식에 대해 고찰하고자 한 기초 연구로써 하연(下椽)과 상연(上椽)이 엇갈려 결구되지 않고, 하연 끝뿌리에 덧도리가 사용되고 덧도리 상부에 상연이 새롭게 배치되는 방식이다. 조선 후기(18세기 중반) 이후부터 건물의 수리 중에 변형이 이루어지면서 등장하게 된 것으로 분석되었고, 19세기에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덧걸이 방식이 사용된 26동의 건물을 중심으로 덧도리가 사용되지 않던 유형에서 덧도리가 사용되고 추가 보강재가 사용되는 단계로 차츰 발전해나가는 모습을 보였다. 덧걸이 방식이 갖는 구조적 특징은 크게 4가지로 첫째, 하연 뒷뿌리에 상연을 받기 위한 덧도리가 사용되었다. 덧도리의 사용은 상연을 배치할 때 하연과의 관계성이 적어져 시공상의 편리성을 제공하였고 하연의 뒷뿌리를 눌러주는 힘이 증가해 처마의 처짐을 예방할 수 있게 되었다. 둘째, 반자가 구성되어 반자 내부의 구성에 자율성이 부여되었다. 천장을 이용해 내부가구를 가림으로써 상부가구의 간소화가 이루어지는 동시에 하연 뒷뿌리가 빠져나가는 길이에 제한이 없어지게 되었다. 또한 일부 건물에서 보이는 추가 보강재들은 상연을 한번 더 눌러주는 역할까지 하고 있다. 셋째, 기존 엇걸이 방식에서는 하연과의 연계성이 더 크던 지붕 기울기가 덧걸이 방식에서는 상연과의 연계성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덧걸이 방식에 사용된 서까래는 상연이 하연의 굵기에 비해 얇은 특징이 나타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