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업무내용

Search Result 1,270,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KIHA 경영혁신시리즈 5 - 경영혁신 추진사례

  • Korea Industrial Health Association
    • 월간산업보건
    • /
    • s.130
    • /
    • pp.70-76
    • /
    • 1999
  • 본 내용은 협회의 경영혁신중 업무표준화 및 평가시스템 구축을 중심으로 정리한 것으로 실제 각 부서에서 추진내용 및 방향을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매뉴얼화하여 연재로 소개될 것입니다.

  • PDF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Among Nurses in General Hospitals (종합병원 간호사들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와의 관련성)

  • Lee, Hyun-Joo;Cho, Young-Chae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6 no.8
    • /
    • pp.5314-5324
    • /
    • 2015
  • The present study was intended to measure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among nurses working for a general hospitals. The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were given to 312 nurses during the period from February 25 to March 16, 2013. As a results, the level of job satisfaction of subjects was significantly lower in high group than low group in job demand, but it was significantly lower in low group than high group in job control, supervisor support and coworker support. In correlations, job satisfaction were found to be in a negative correlation with job demand, whereas in positive correlation with job control, supervisor and coworker support. In logistic analysis, the odds ratio of job satisfaction on job demand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high group than in low group, but job control supervisor and coworker support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high group than in low group. In hierarchi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affecting factors to the job satisfaction was selected variables such as educational background, work station, subject satisfaction of work, career choice motives, turnover experience, job stress contents(job demand, job control, supervisor support and coworker support). especially, job stress contents was significantly increased of explanatory power of job satisfaction. It suggested that the level of job satisfaction got more power by addition of job stress contents.

공개키 기반 구조를 이용한 EC 사용자 인증 시스템에 관한 연구

  • 정우필;박정선
    • Proceedings of the Safety Management and Science Conference
    • /
    • 1999.11a
    • /
    • pp.469-479
    • /
    • 1999
  • Internet상의 전자문서, 전자거래 등과 관련된 전자업무에서는 다음과 같은 중요 인증 문제를 필요로 하게 한다. 첫째, 당사자(사용자)의 신분확인 기능(신원확인). 둘째, 전자업무 내용의 정보보호 및 무결성 기능(비밀성 보장). 셋째, 전자행위에 대한 부인봉쇄(분쟁해결) 등이 그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전자업무의 중요 인증 문제와 관련하여 신뢰할 만한 제3자, 즉 인증기관(CA : Certificate Authority)의 확인 및 증명해주는 제도가 필요하다. 위에서 언급한 제 가지 인증 문제 중 전자업무에서의 가장 기초적인 인증 문제인 당사자(사용자)의 신분확인 기능(신원확인)에 대한 문제를 연구하고자 한다.

  • PDF

Development of Work Breakdown Structure Basis for Mega-Project (메가프로젝트를 위한 업무분류체계기준(WBS Basis) 개발)

  • Lee, Hei-Duck;Seo, Yonng-Chil;Lee, Seung-Hoon;Woo, Yu-Mi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2008.11a
    • /
    • pp.441-444
    • /
    • 2008
  • 메가프로젝트(Mega-Project)는 다양한 유형의 시설군을 복합 개발하는 건설사업으로서 규모가 크고 복잡한 경우가 많기 때문에 종합적인 사업관리에 어려움이 따른다. 따라서 메가프로젝트는 기존의 단위프로젝트 수준이 아닌 프로그램 수준에서의 관리체계를 필요로 하며 그에 적합한 업무분류체계(WBS)를 구축해야 한다. 업무분류체계는 사업관리를 위한 전체적인 구조를 수립하는 기반으로서, 현재 프로그램 관리 수준의 업무분류체계의 기준이 갖추어지지 않은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메가프로젝트를 위한 업무분류체계기준(WBS Basis)를 개발하여 메가프로젝트의 업무분류체계 구축을 지원하고자 한다. 메가프로젝트 생애주기에 포함되는 전체 시설군, 업무 및 용역, 기록문서, 정보 등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기존 사례분석과 관련 분류체계들을 바탕으로 초안을 작성하였다. 이후 현장시험을 통한 검증을 거쳐 최종 업무분류체계기준을 완성하였고 분류내용과 활용방안을 소개한다.

  • PDF

Study for a Efficient Mission of the Flood Control Office (홍수통제소의 효율적 임무 수행을 위한 연구)

  • Choi, Kyu-Hyun;Hong, Sung-Hun;Kim, Joung-Ho;Song, In-Kwon;Kim, Min-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1537-1540
    • /
    • 2009
  • 홍수통제소는 수문조사, 하천유량관리, 홍수예보 등 다양한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수문조사는 물 관리를 위한 기본 자료 확보와 수자원이라는 국가의 귀중한 자산을 정량화하는 중요한 업무이다. 하천유량 관리는 하천의 물을 합리적으로 관리하여 공익을 증진하고 모든 사람들이 혜택을 고루 향유할 수 있도록 배분하는 업무이다. 홍수예보는 큰 비에 의해 유역에서 발생할 수 있는 홍수의 규모를 예측하고 그 수치를 유관기관에 제공하여 홍수를 사전에 대비토록 함으로써 홍수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하는 업무이다. 상기 언급된 홍수통제소의 주요 업무들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낙동강홍수통제소에서는 전년도 시험연구과제로서 "홍수통제소 발전방안"이라는 주제로 낙동강 홍수통제소의 발전을 위한 기본적인 개선항목 중 홍수통제소 홍보동영상 제작을 통한 통제소 홍보 및 이미지 제고, 수자원 자료실의 전산화와 관측소 이력 및 기본제원 시스템화 등을 통한 업무의 효율성 증대를 위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금년은 지난해 개선된 업무들을 토대로 업무 효율성 증대를 도모하고자 한다. 현재 낙동강홍수 통제소에서 관리되고 있는 수문관측소는 239개소(수위 및 우량, 10분 단위)으로, 이들 관측소에 대한 효율적인 관리와 정확한 자료 생성을 위해서는 해당 내용에 대한 체계적이고 합리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관측소 이력관리 프로그램을 시험적으로 운영을 하여 매년 실시되는 분기별 관측소 정기점검 결과를 업로드 시켜 관련 직원들이 내용을 공유할 수 있도록 추진하고 있다. 이는 수문자료의 정확한 검보정에도 활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정보를 체계적으로 관리하여 향후 추가적인 업무 효율화를 위하여도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