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언어 크기

Search Result 350,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Character-Level Neural Machine Translation (문자 단위의 Neural Machine Translation)

  • Lee, Changki;Kim, Junseok;Lee, Hyoung-Gyu;Lee, Jaesong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15.10a
    • /
    • pp.115-118
    • /
    • 2015
  • Neural Machine Translation (NMT) 모델은 단일 신경망 구조만을 사용하는 End-to-end 방식의 기계번역 모델로, 기존의 Statistical Machine Translation (SMT) 모델에 비해서 높은 성능을 보이고, Feature Engineering이 필요 없으며, 번역 모델 및 언어 모델의 역할을 단일 신경망에서 수행하여 디코더의 구조가 간단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NMT 모델은 출력 언어 사전(Target Vocabulary)의 크기에 비례해서 학습 및 디코딩의 속도가 느려지기 때문에 출력 언어 사전의 크기에 제한을 갖는다는 단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NMT 모델의 출력 언어 사전의 크기 제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입력 언어는 단어 단위로 읽고(Encoding) 출력 언어를 문자(Character) 단위로 생성(Decoding)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출력 언어를 문자 단위로 생성하게 되면 NMT 모델의 출력 언어 사전에 모든 문자를 포함할 수 있게 되어 출력 언어의 Out-of-vocabulary(OOV) 문제가 사라지고 출력 언어의 사전 크기가 줄어들어 학습 및 디코딩 속도가 빨라지게 된다. 실험 결과, 본 논문에서 제안한 방법이 영어-일본어 및 한국어-일본어 기계번역에서 기존의 단어 단위의 NMT 모델보다 우수한 성능을 보였다.

  • PDF

A Comparison of Programming Language Size for Programming Teacher (프로그래밍 교육자를 위한 프로그래밍 언어의 크기 비교)

  • Kim, Gunwoo;Woo, G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3.05a
    • /
    • pp.1081-1084
    • /
    • 2013
  • 사람들은 모국어가 아닌 다른 언어를 배울 때 대부분 단어, 문법 등에 많은 부담을 느낀다. 그리고 이런 부분이 언어를 습득하는데 흥미를 반감시키고 쉽게 포기하게 하기도 한다. 다른 언어와 마찬가지로 프로그래밍 언어 또한 문법이 복잡하면 배우는 사람이 쉽게 지치기 마련이다. 이 논문에서는 프로그래밍 언어의 어휘적, 구문적 요소를 이용해 몇 가지 프로그래밍 언어의 크기를 비교하고, 어떤 언어가 프로그래밍 언어를 처음 배우는 사람에게 적합한지 보여준다. 그리고 어떤 순서로 프로그래밍 언어를 배우는 것이 효과적인지 프로그래밍 언어의 크기 측면에서 분석한다.

A Concise Korean Programming Language "Sprout" (간결한 한글 프로그래밍 언어 "새싹")

  • Cheon, Junseok;Kang, Dohun;Kim, Gunwoo;Woo, Gyun
    • Journal of KIISE
    • /
    • v.42 no.4
    • /
    • pp.496-503
    • /
    • 2015
  • Most programming languages are designed based on English. It becomes another barrier in learning programming languages in non-English speaking country. If a programming language is presented using a native language, the education cost of programming will be much cheaper and the programming itself can be much more fun. However, designing the programming languages based on native languages has not been much focused or published up to now. It is partly because the evolution of popular programming languages is so fast, and partly because the efficiency of programs is much stressed than the source code. But, the designing of programming languages based on native language is not a small issue, especially if we reflect on the education of programming. In fact, there have been significant efforts reported in the Korean programming languages so far, but it has not practically been used in the education. This paper introduces yet another Korean programming language, namely Sprout, which is concise and can be easily learned by beginners. To demonstrate the conciseness of Sprout, we have performed two experiments on Sprout. Firstly, we compared the sizes of the programs in Sprout with those in former Korean programming languages. Secondly, we compared the size of Sprout, the language itself, with those of popular programming languages such as C and Python. According to the experiments, Sprout programs are more concise to 10% on average than those in former Korean languages. Furthermore, Sprout itself is more compact to 24% on average than other popular programming languages.

PrefixLM for Korean text summarization (PrefixLM에 기반한 한국어 텍스트 요약)

  • Lee, Kun-Hui;Na, Seung-Hoon;Lim, Joon-Ho;Kim, Tae-Hyeong;Choi, Yun-Su;Chang, Du-Seong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21.10a
    • /
    • pp.22-27
    • /
    • 2021
  • 언어 모델은 많은 데이터와 많은 파라미터로 오래 사전학습을 수행할수록 그 성능이 높아지지만, 그 크기가 큰 만큼 거대 언어 모델은 너무 큰 크기로 인해서 실사용에 많은 하드웨어 리소스를 필요로 한다. 본 논문에서는 거대 언어 모델 중 하나인 T5의 인코더-디코더 구조 대비 절반의 크기를 가지는 PrefixLM 구조에 기반한 한국어 모델을 학습하여 자연어 처리에서 중요한 태스크 중 하나인 텍스트 생성 요약 태스크에서의 성능평가를 하여 BART, T5와 비교하여 각각 0.02, 0.0859의 성능 향상을 보였다.

  • PDF

Korean Analysis and Transfer in Unification-based Multilingual Machine Translation System (통합기반 다국어 자동번역 시스템에서의 한국어 분석과 변환)

  • Choi, Sung-Kwon;Park, Dong-In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1996.10a
    • /
    • pp.301-307
    • /
    • 1996
  • 다국어 자동번역이란 2개국어 이상 언어들간의 번역을 말한다. 기존의 다국어 자동번역 시스템은 크게 변환기반 transfer-based 방식과 피봇방식으로 분류될 수 있는데 변환기반 다국어 자동번역 시스템에서는 각 언어의 분석과 생성 규칙이 상이하게 작성됨으로써 언어들간의 공통성이 수용되지 못하였고 그로 인해 전체 번역 메모리의 크기가 증가하는 결과를 초래하였었다. 또한 기존의 피봇방식에서는 다국어에 적용될 수 있는 언어학적 보편성 모델을 구현하는 어려움이 있었다. 이러한 기존의 다국어 자동번역 시스템의 단점들을 극복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언어들간의 공통성을 수용하며 또한 여러 언어에서 공유될 수 있는 공통 규칙에 의한 다국어 자동번역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공통 규칙의 장점은 전산학적으로는 여러 언어에서 단지 한번 load 되기 때문에 전체 번역 메모리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는 것과 언어학적으로는 문법 정보의 작성.수정.관리의 일관성을 유지할 수 있다는 것이다.

  • PDF

Wanda Pruning for Lightweighting Korean Language Model (Wanda Pruning에 기반한 한국어 언어 모델 경량화)

  • Jun-Ho Yoon;Daeryong Seo;Donghyeon Jeon;Inho Kang;Seung-Hoon Na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23.10a
    • /
    • pp.437-442
    • /
    • 2023
  • 최근에 등장한 대규모 언어 모델은 다양한 언어 처리 작업에서 놀라운 성능을 발휘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모델의 크기와 복잡성 때문에 모델 경량화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Pruning은 이러한 경량화 전략 중 하나로, 모델의 가중치나 연결의 일부를 제거하여 크기를 줄이면서도 동시에 성능을 최적화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어 언어 모델인 Polyglot-Ko에 Wanda[1] 기법을 적용하여 Pruning 작업을 수행하였다. 그리고 이를 통해 가중치가 제거된 모델의 Perplexity, Zero-shot 성능, 그리고 Fine-tuning 후의 성능을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 Wanda-50%, 4:8 Sparsity 패턴, 2:4 Sparsity 패턴의 순서로 높은 성능을 나타냈으며, 특히 일부 조건에서는 기존의 Dense 모델보다 더 뛰어난 성능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오늘날 대규모 언어 모델 중심의 연구에서 Pruning 기법의 효과와 그 중요성을 재확인하는 계기가 되었다.

  • PDF

Korean QA with Retrieval Augmented LLM (검색 증강 LLM을 통한 한국어 질의응답)

  • Mintaek Seo;Seung-Hoon Na;Joon-Ho Lim;Tae-Hyeong Kim;Hwi-Jung Ryu;Du-Seong Chang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23.10a
    • /
    • pp.690-693
    • /
    • 2023
  • 언어 모델의 파라미터 수의 지속적인 증가로 100B 단위의 거대 언어모델 LLM(Large Language Model)을 구성 할 정도로 언어 모델의 크기는 증가 해 왔다. 이런 모델의 크기와 함께 성장한 다양한 Task의 작업 성능의 향상과 함께, 발전에는 환각(Hallucination) 및 윤리적 문제도 함께 떠오르고 있다. 이러한 문제 중 특히 환각 문제는 모델이 존재하지도 않는 정보를 실제 정보마냥 생성한다. 이러한 잘못된 정보 생성은 훌륭한 성능의 LLM에 신뢰성 문제를 야기한다. 환각 문제는 정보 검색을 통하여 입력 혹은 내부 표상을 증강하면 증상이 완화 되고 추가적으로 성능이 향상된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어 질의 응답에서 검색 증강을 통하여 모델의 개선점을 확인한다.

  • PDF

A Two-Layer Classifier for Recognition of Multi-font and Multi-size Characters in Multi-lingual Documents (다중 언어에서 다중 활자체 및 다중 크기의 문자 인식을 위한 2계층 분류기)

  • Chi, Su-Young;Moon, Kyung-Ae;Oh, Weon-Geun;Kim, Tai-Yun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1996.10a
    • /
    • pp.93-97
    • /
    • 1996
  • 본 논문에서는 2 계층 분류기를 이용하여 일반적인 문서(보고서, 책, 잡지, 워드프로세서에서 출력 된 양식) 내의 다중 크기 및 다중 활자체의 인식을 위한 효과적인 방법을 제안하고 구현하였다. 다중언어 문자를 효과적으로 인식하기 위한 2 계층 분류기를 제안하였는데 이는 폰트 독립적 분류기와 폰트 의존적 분류기로 구성되어 있다. 제안된 방법의 성능 평가를 위하여 사무실에서 많이 사용하는 59 종류의 폰트와 각 폰트 당 3가지 크기의 글꼴과, 스캐너에서 지원되는 3가지 농도의 총 489개의 서로 다른 부류를 갖는 3,593,172 자를 대상으로 학습시킨 뒤에 일반 문서를 가지고 펜티엄 PC 상에서 인식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결과, 2계층 분류기를 갖는 시스템에서 96-98%의 인식률과 초당40자 이상의 인식 속도를 보여줌으로써 일반적인 문서에서 다중 크기 및 다중 활자체의 문자 인식에 매우 실용적인 가치가 있음을 확인했다.

  • PDF

On "Dimension" Nouns In Korean (한국어 "크기" 명사 부류에 대하여)

  • Song, Kuen-Young;Hong, Chai-Song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01.10d
    • /
    • pp.260-266
    • /
    • 2001
  • 본 논문은 불어 명사의 의미 통사적 분류와 관련된 '대상부류(classes d'objets)' 이론을 바탕으로 한국어의 "크기" 명사 부류에 대한 의미적, 형식적 기준을 설정함으로써 자연언어 처리에의 활용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한국어의 일부 명사들은 어떤 대상 혹은 현상의 다양한 속성이 특정 차원에서 갖는 규모의 의미를 표현한다 예를 들어, '길이', '깊이', '넓이', '높이', '키', '무게', '온도', '기온' 등이 이에 해당하는데, 이들은 측정의 개념과도 밀접한 연관을 가지며, 통사적으로도 일정한 속성을 공유한다. 즉 '측정하다', '재다' 등 측정의 개념을 나타내는 동사 및 수량 표현과 더불어 일정한 통사 형식으로 실현된다는 점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조건을 만족시키는 한국어 명사들을 "크기" 명사라 명명하며, "크기" 명사와 특징적으로 결합하는 '측정하다', '재다' 등의 동사를 "크기" 명사 부류에 대한 적정술어라 부른다. 또한 "크기" 명사는 결합 가능한 단위명사의 종류 및 호응 가능한 정도 형용사의 종류 등에 따라 세부 하위유형으로 분류할 수도 있다. 따라서 주로 술어와의 통사적 결합관계를 기준으로 "크기" 명사 부류를 외형적으로 한정하고, 이 부류에 속하는 개개 명사들의 통사적 세부 속성을 전자사전의 체계로 구축한다면 한국어 "크기" 명사에 대한 전반적이고 총체적인 의미적 통사적 분류와 기술이 가능해질 것이다. 한편 "크기" 명사에 대한 연구는 반드시 이들 명사를 특징지어주는 단위명사 부류의 연구와 병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한국어 "크기" 명사를 한정하고 분류하는 보다 엄밀하고 형식적인 기준과 그 의미 통사 정보를 체계적으로 제시해 줄 것이다. 이러한 정보들은 한국어 자동처리에 활용되어 "크기" 명사를 포함하는 구문의 자동분석 및 산출 과정에 즉각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러한 정보들은 현재 구축중인 세종 전자사전에도 직접 반영되고 있다.teness)은 언화행위가 성공적이라는 것이다.[J. Searle] (7) 수로 쓰인 것(상수)(象數)과 시로 쓰인 것(의리)(義理)이 하나인 것은 그 나타난 것과 나타나지 않은 것들 사이에 어떠한 들도 없음을 말한다. [(성중영)(成中英)] (8) 공통의 규범의 공통성 속에 규범적인 측면이 벌써 있다. 공통성에서 개인적이 아닌 공적인 규범으로의 전이는 규범, 가치, 규칙, 과정, 제도로의 전이라고 본다. [C. Morrison] (9) 우리의 언어사용에 신비적인 요소를 부인할 수가 없다. 넓은 의미의 발화의미(utterance meaning) 속에 신비적인 요소나 애정표시도 수용된다. 의미분석은 지금 한글을 연구하고, 그 결과에 의존하여서 우리의 실제의 생활에 사용하는 $\ulcorner$한국어사전$\lrcorner$ 등을 만드는 과정에서, 어떤 의미에서 실험되었다고 말할 수가 있는 언어과학의 연구의 결과에 의존하여서 수행되는 철학적인 작업이다. 여기에서는 하나의 철학적인 연구의 시작으로 받아들여지는 이 의미분석의 문제를 반성하여 본다.반인과 다르다는 것이 밝혀졌다. 이 결과가 옳다면 한국의 심성 어휘집은 어절 문맥에 따라서 어간이나 어근 또는 활용형 그 자체로 이루어져 있을 것이다.으며, 레드 클로버 + 혼파 초지가 건물수량과 사료가치를 높이는데 효과적이었다.\ell}$ 이었으며 , yeast extract 첨가(添加)하여 배양시(培養時)는 yeast extract 농도(濃度)가 증가(增加)함에 따라 단백질(蛋白質) 함량(含量)도 증가(增加)하였다. 7. CHS-13 균주(菌株)의 RNA 함량(含量)은 $4.92{\times}10^{-2 }\;mg/m{\ell}$이었으며 yeast extract 농도(濃度)가 증가(增加)함에 따라 증가(增加)하다가 농도(濃度) 0.2%에서 최대함량(最大含量)을 나타내고 그후는 감소(減少)하였다.

  • PDF

Meta- Analysis on the Effectiveness Research of Drama Program for Early Children (유아를 위한 연극프로그램의 효과성에 관한 메타분석연구)

  • Shin, Dong-I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8 no.1
    • /
    • pp.551-560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drama program for early children by using method of meta-analysis.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master's theses, doctoral dissertations, and journal articles published in Korea up to April, 2017 were systematically reviewed. As a result, a total of 39 studies were eligible for the inclusion criteria. The mean effect sizes and test for homogeneity of effect size(Q-statistic) were analyzed by using Comprehensive Meta-Analysis software 2.0. The main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average effect sizes for drama program were ES=1.922 of verbal expression, ES=1.898 of emotional intelligence, ES=1.558 of creativity, ES= 1.292 of sociability. Second, by analysing the moderate variables of the effect size for drama program, 'age' of verbal expression, creativity and sociability, 'sessions' of verbal expression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Based on the study results, the research and practice implications we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