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언어모델

Search Result 2,433,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BART with Random Sentence Insertion Noise for Korean Abstractive Summarization (무작위 문장 삽입 노이징을 적용한 BART 기반의 한국어 문서 추상 요약)

  • Park, Juhong;Kwon, Hongseok;Lee, Jong-Hyeok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20.10a
    • /
    • pp.455-458
    • /
    • 2020
  • 문서 요약은 입력 문서의 핵심 내용을 파악하여 짧고 간결한 문장으로 나타내는 과정이다. 최근에는 문서 요약을 위해 사전 학습된 언어 모델을 이용하는 방식이 여럿 제안되고 있지만, 이러한 언어 모델들은 문서 요약의 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설계된 입력 노이즈 방식을 사용하는 한계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어 문서 추상 요약에 사전 학습 언어 모델인 BART를 도입하고, 입력 문서에 무작위 문장을 삽입하는 노이징 방식을 추가하여 문서 추상 요약 모델의 언어 이해 능력을 향상시키는 방법론을 제안한다. 실험 결과, BART를 도입한 문서 요약 모델의 결과는 다른 요약 모델들의 결과에 비해 전반적으로 품질 향상을 보였으며, BART와 함께 무작위 문장을 삽입하는 노이징 방법은 적은 비율로 삽입하는 경우 추가적인 성능 향상을 보였다.

  • PDF

Instruction Tuning for Controlled Text Generation in Korean Language Model (Instruction Tuning을 통한 한국어 언어 모델 문장 생성 제어)

  • Jinhee Jang;Daeryong Seo;Donghyeon Jeon;Inho Kang;Seung-Hoon Na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23.10a
    • /
    • pp.289-294
    • /
    • 2023
  • 대형 언어 모델(Large Language Model)은 방대한 데이터와 파라미터를 기반으로 문맥 이해에서 높은 성능을 달성하였지만, Human Alignment를 위한 문장 생성 제어 연구는 아직 활발한 도전 과제로 남아있다. 본 논문에서는 Instruction Tuning을 통한 문장 생성 제어 실험을 진행한다. 자연어 처리 도구를 사용하여 단일 혹은 다중 제약 조건을 포함하는 Instruction 데이터 셋을 자동으로 구축하고 한국어 언어 모델인 Polyglot-Ko 모델에 fine-tuning 하여 모델 생성이 제약 조건을 만족하는지 검증하였다. 실험 결과 4개의 제약 조건에 대해 평균 0.88의 accuracy를 보이며 효과적인 문장 생성 제어가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 PDF

Domain Specific Language Models to Measure Sentence Difficulty (문장 난이도 측정을 위한 도메인 특화 언어 모델 연구)

  • Gue-Hyun Wang;Dong-Gyu Oh;Soo-Jin Lee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23.10a
    • /
    • pp.600-602
    • /
    • 2023
  • 사전 학습된 언어 모델은 최근 다양한 도메인 및 응용태스크에 활용되고 있다. 하지만 언어 모델을 활용한 문장 난이도 측정 태스크에 대해서는 연구가 수행된 바 없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교과서 데이터를 활용해 문장 난이도 데이터 셋을 구축하고, 일반 말뭉치로 훈련된 BERT 모델과 교과서 텍스트를 활용해 적응 학습한 BERT 모델을 문장 난이도 측정 태스크에 대해 미세 조정하여 성능을 비교했다.

  • PDF

Similar Contents Recommendation Model Based On Contents Meta Data Using Language Model (언어모델을 활용한 콘텐츠 메타 데이터 기반 유사 콘텐츠 추천 모델)

  • Donghwan Kim
    • Journal of Intelligence and Information Systems
    • /
    • v.29 no.1
    • /
    • pp.27-40
    • /
    • 2023
  • With the increase in the spread of smart devices and the impact of COVID-19, the consumption of media contents through smart devices has significantly increased. Along with this trend, the amount of media contents viewed through OTT platforms is increasing, that makes contents recommendations on these platforms more important. Previous contents-based recommendation researches have mostly utilized metadata that describ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tents, with a shortage of researches that utilize the contents' own descriptive metadata. In this paper, various text data including titles and synopses that describe the contents were used to recommend similar contents. KLUE-RoBERTa-large, a Korean language model with excellent performance, was used to train the model on the text data. A dataset of over 20,000 contents metadata including titles, synopses, composite genres, directors, actors, and hash tags information was used as training data. To enter the various text features into the language model, the features were concatenated using special tokens that indicate each feature. The test set was designed to promote the relative and objective nature of the model's similarity classification ability by using the three contents comparison method and applying multiple inspections to label the test set. Genres classification and hash tag classification prediction tasks were used to fine-tune the embeddings for the contents meta text data. As a result, the hash tag classification model showed an accuracy of over 90% based on the similarity test set, which was more than 9% better than the baseline language model. Through hash tag classification training, it was found that the language model's ability to classify similar contents was improved, which demonstrated the value of using a language model for the contents-based filtering.

Zero-shot Lexical Semantics based on Perplexity of Pretrained Language Models (사전학습 언어모델의 Perplexity에 기반한 Zero-shot 어휘 의미 모델)

  • Choi, Heyong-Jun;Na, Seung-Hoon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21.10a
    • /
    • pp.473-475
    • /
    • 2021
  • 유의어 추천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각 단어 사이의 유사도를 계산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하지만, 기존의 단어간 유사도를 계산하는 여러 방법들은 데이터셋에 등장하지 않은 단어에 대해 유사도를 계산 할 수 없다. 이 논문에서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언어모델의 PPL을 활용하여 단어간 유사도를 계산하였고, 이를 통해 유의어를 추천했을 때 MRR 41.31%의 성능을 확인했다.

  • PDF

Empowering Emotion Classification Performance Through Reasoning Dataset From Large-scale Language Model (초거대 언어 모델로부터의 추론 데이터셋을 활용한 감정 분류 성능 향상)

  • NunSol Park;MinHo Lee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07a
    • /
    • pp.59-61
    • /
    • 2023
  • 본 논문에서는 감정 분류 성능 향상을 위한 초거대 언어모델로부터의 추론 데이터셋 활용 방안을 제안한다. 이 방안은 Google Research의 'Chain of Thought'에서 영감을 받아 이를 적용하였으며, 추론 데이터는 ChatGPT와 같은 초거대 언어 모델로 생성하였다. 본 논문의 목표는 머신러닝 모델이 추론 데이터를 이해하고 적용하는 능력을 활용하여, 감정 분류 작업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초거대 언어 모델(ChatGPT)로부터 추출한 추론 데이터셋을 활용하여 감정 분류 모델을 훈련하였으며, 이 모델은 감정 분류 작업에서 향상된 성능을 보였다. 이를 통해 추론 데이터셋이 감정 분류에 있어서 큰 가치를 가질 수 있음을 증명하였다. 또한, 이 연구는 기존에 감정 분류 작업에 사용되던 데이터셋만을 활용한 모델과 비교하였을 때, 추론 데이터를 활용한 모델이 더 높은 성능을 보였음을 증명한다. 이 연구를 통해, 적은 비용으로 초거대 언어모델로부터 생성된 추론 데이터셋의 활용 가능성을 보여주고, 감정 분류 작업 성능을 향상시키는 새로운 방법을 제시한다. 제시한 방안은 감정 분류뿐만 아니라 다른 자연어처리 분야에서도 활용될 수 있으며, 더욱 정교한 자연어 이해와 처리가 가능함을 시사한다.

  • PDF

Determining Multiple Word Category Membership for Modeling Unseen Context (미관측문맥 모델링을 위한 다중단어카테고리 결정)

  • Han Myungsoo;Chung Minhwa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spring
    • /
    • pp.23-26
    • /
    • 2000
  • 본 논문에서는 연속음성인식에 사용되는 언어모델이 학습 코퍼스에서 나타나지 않는 문맥에 대하여 신뢰할만한 확률을 생성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으로 다중 단어 카테고리 결정방법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다중 단어 카테고리 결정 방법은 기존의 카테고리 기반 언어모델에서의 미관측 문맥에 대한 모델링 능력을 유지하면서 동형이의어에 대한 확률의 과도한 일반화를 방지한다. 제안된 방법을 이용한 언어모델의 성능을 측정하기 위해 미관측 문맥이 $31\%$ 포함된 인식문장에 대한 N-Best rescoring을 수행한 결과 word accuracy는 1-Best문장에 대해서 $3.2\%$의 향상을 얻었고 기존의 카테고리기반 언어모델을 적용한 결과에 비하여 $0.8\%$의 향상을 얻을 수 있었다.

  • PDF

Performance Evaluation of Pre-trained Language Models in Multi-Goal Conversational Recommender Systems (다중목표 대화형 추천시스템을 위한 사전 학습된 언어모델들에 대한 성능 평가)

  • Taeho Kim;Hyung-Jun Jang;Sang-Wook Kim
    • Smart Media Journal
    • /
    • v.12 no.6
    • /
    • pp.35-40
    • /
    • 2023
  • In this study paper, we examine pre-trained language models used in Multi-Goal Conversational Recommender Systems (MG-CRS), comparing and analyzing their performances of various pre-trained language models. Specifically, we investigates the impact of the sizes of language models on the performance of MG-CRS. The study targets three types of language models - of BERT, GPT2, and BART, and measures and compares their accuracy in two tasks of 'type prediction' and 'topic prediction' on the MG-CRS dataset, DuRecDial 2.0.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all models demonstrated excellent performance in the type prediction task, but there were notable provide significant performance differences in performance depending on among the models or based on their sizes in the topic prediction task.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provides directions for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MG-CRS.

Language Model based on VCCV and Test of Smoothing Techniques for Sentence Speech Recognition (문장음성인식을 위한 VCCV 기반의 언어모델과 Smoothing 기법 평가)

  • Park, Seon-Hee;Roh, Yong-Wan;Hong, Kwang-Seok
    • The KIPS Transactions:PartB
    • /
    • v.11B no.2
    • /
    • pp.241-246
    • /
    • 2004
  • In this paper, we propose VCCV units as a processing unit of language model and compare them with clauses and morphemes of existing processing units. Clauses and morphemes have many vocabulary and high perplexity. But VCCV units have low perplexity because of the small lexicon and the limited vocabulary. The construction of language models needs an issue of the smoothing. The smoothing technique used to better estimate probabilities when there is an insufficient data to estimate probabilities accurately. This paper made a language model of morphemes, clauses and VCCV units and calculated their perplexity. The perplexity of VCCV units is lower than morphemes and clauses units. We constructed the N-grams of VCCV units with low perplexity and tested the language model using Katz, absolute, modified Kneser-Ney smoothing and so on. In the experiment results, the modified Kneser-Ney smoothing is tested proper smoothing technique for VCCV units.

A Study on Keyword Spotting System Using Pseudo N-gram Language Model (의사 N-gram 언어모델을 이용한 핵심어 검출 시스템에 관한 연구)

  • 이여송;김주곤;정현열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23 no.3
    • /
    • pp.242-247
    • /
    • 2004
  • Conventional keyword spotting systems use the connected word recognition network consisted by keyword models and filler models in keyword spotting. This is why the system can not construct the language models of word appearance effectively for detecting keywords in large vocabulary continuous speech recognition system with large text data. In this paper to solve this problem, we propose a keyword spotting system using pseudo N-gram language model for detecting key-words and investigate the performance of the system upon the changes of the frequencies of appearances of both keywords and filler models. As the results, when the Unigram probability of keywords and filler models were set to 0.2, 0.8,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CA (Correctly Accept for In-Vocabulary) and CR (Correctly Reject for Out-Of-Vocabulary) were 91.1% and 91.7% respectively, which means that our proposed system can get 14% of improved average CA-CR performance than conventional methods in ERR (Error Reduction Ra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