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언어명료도

검색결과 68건 처리시간 0.02초

근전위 제어형 전기 인공후두의 시작 (Development of an Electrolarynx Controlled by EMG)

  • 민혜정;봉정표;최홍식;윤형로
    • 대한음성언어의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음성언어의학회 1996년도 제6회 학술대회 심포지움
    • /
    • pp.91-91
    • /
    • 1996
  • 현재 시판되고 있는 전기 인공후두는 손으로 인공후두를 경부에 장착하고, 음의 intensity와 pitch를 변하기 위하여 스위치를 손가락으로 조절해야만 하는데, 실제 회화 중에 잘 조절한다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므로, 음질과 명료도가 나쁘며, 발성을 의도했을 때 자유롭게 발성하는 것도 어렵다. 또한 회화 중에는 한손은 항상 전기 인공후두를 위해 사용해야 한다. 이러한 단점을 개선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흉골설골근 근전위에 의해 제어되는 인공후두를 제작하여 그 성능을 평가하였다. (중략)

  • PDF

현재성 문제와 지금의 지표성

  • 강수휘
    • 논리연구
    • /
    • 제9권1호
    • /
    • pp.173-204
    • /
    • 2006
  • 최근의 시간에 관한 철학적 논의에서 새로운 무시제 이론가들은 시제 문장들의 진리조건을 무시제 문장들을 통해 부여할 수 있다는 언어철학적 결과를 통해, 시제 사실들과 같은 것들을 받아들일 필요가 없다고 주장함으로써 A-이론을 비판해 왔다. 이 논문에서는 형이상학적 논변을 새롭게 제시함으로써, 언어 철학적인 논변과 달리 B-이론은 유지될 수 없으며, 오히려 A-이론이 시간에 대한 올바른 이론임을 논증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논의가 이루어지는 가운데 존속과 변화에 관한 흥미로운 문제들이 다루어지며, 시간 철학에서의 몇몇 개념에 관한 명료화 작업이 이루어진다. 나아가 이를 바탕으로 A-이론과도 B-이론과도 다른 새로운 대안적인 시간 이론이 제시되고, 이 이론이 지니는 특징들과 장점들이 이야기된다.

  • PDF

연인두 폐쇄 부전 환자의 보상조음 특성

  • 이은경;손영익
    • 대한음성언어의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음성언어의학회 2003년도 제19회 학술대회
    • /
    • pp.146-146
    • /
    • 2003
  • 연인두 폐쇄 부전으로 보상조음이 있을 때, 말 명료도를 저하시킬 뿐 아니라 실제의 연인두 기능이 과소평가 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감별 및 언어치료가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연인두 폐쇄 부전 환자들에서 보상조음의 출현율을 알아보고 어떤 음소들이 영향을 받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연령과 과비성의 정도에 따른 차이도 살펴보았다. 1998년 3월부터 2003년 6월까지 삼성서울병원에서 연인두 폐쇄 부전으로 진단 받고 언어치료를 받지 않았거나 언어치료 경험은 있지만 일반화되지 않고 중단된 환자 105명의 조음 및 공명 평가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령은 평균 11.3세(2.1세부터 63세)였고 7세 이하의 아동집단이 65명, 성인집단이 40명이었다. 조음은 구강압력자음인 파열음, 마찰음, 파찰음에서의 보상조음의 유무 및 종류를 분석하였다. 과비성의 정도는 경도, 중도, 심도로 평가하였다. (중략)

  • PDF

뇌졸중 환자의 말, 언어장애 선별에 대한 검사자간 신뢰도 및 훈련효과 (Inter-rater Reliability and Training Effect of the Differential Diagnosis of Speech and Language Disorder for Stroke Patients)

  • 김정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9호
    • /
    • pp.407-413
    • /
    • 2011
  • 뇌졸중 환자의 실어증 유무를 정확히 판별하고 환자의 미세한 언어적 변화를 적절히 관찰하기 위해서는 일차적으로 신뢰로운 검사도구를 사용하여야 하고, 또한 검사자가 해당 도구의 사용에 있어 충분히 숙지하고 있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뇌졸중 환자의 실어증 및 말장애 유무의 진단에서 검사자의 전공영역에 따른 관찰자간 신뢰도를 살펴보고 훈련 전과 후의 차이를 비교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침상에 있는 뇌졸중 환자 46명을 대상으로 언어치료사, 신경과 전공의, 그리고 간호사 각각 4명씩 총 12명이 동시에 실어증 및 말장애 유무를 평가하였다. 연구 결과, 서로 다른 전공 영역의 전문가들 간에 말명료도 과제와/아/모음연장발성 과제의 '음질' 영역에서만 'acceptable'로 나타났고, 나머지 하부검사 영역에서는 'good-excellent'로 나타났다. 관찰자간 신뢰도가 'acceptable'로 나타난 과제들에 대해 3주간의 비디오 훈련 전후의 점수 차이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훈련 후 말명료도 과제에서 검사자들 간의 평정 점수의 차이는 유의하게 줄어들었으며, '음질' 평정의 정확성도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임상 경험 정도와 각 하부검사에 대한 평정 정확성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본 결과, 언어치료사들은 임상 경험 정도가 증가할수록 그림설명하기 과제와 말명료도 과제에서, 그리고 의사 및 간호사들은 그림설명하기 과제에서 판정 정확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 결과는 뇌졸중 환자의 의사소통장애 진단에 있어 신경언어장애 환자 중, 특히 말장애환자에 대한 꾸준한 경험과 훈련이 반드시 필요하며, 훈련을 통해 평정 신뢰도를 확보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비정형 요구사항으로부터 원인-결과 그래프 자동 발생을 위한 문장 의미 모델(Sentence Semantic Model) 설계 (Design of Sentence Semantic Model for Cause-Effect Graph Automatic Generation from Natural Language Oriented Informal Requirement Specifications)

  • 장우성;정세준;김영철
    • 한국정보과학회 언어공학연구회:학술대회논문집(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 /
    • 한국정보과학회언어공학연구회 2020년도 제32회 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학술대회
    • /
    • pp.215-219
    • /
    • 2020
  • 현재 한글 언어학 영역에서는 많은 언어 분석 연구가 수행되었다. 또한 소프트웨어공학의 요구공학 영역에서는 명료한 요구사항 정의와 분석이 필요하고, 비정형화된 요구사항 명세서로부터 테스트 케이스 추출이 매우 중요한 이슈이다. 즉, 자연어 기반의 요구사항 명세서로부터 원인-결과 그래프(Cause-Effect Graph)를 통한 의사 결정 테이블(Decision Table) 기반 테스트케이스(Test Case)를 자동 생성하는 방법이 거의 없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한글 언어 의미 분석 기법'을 '요구공학 영역'에 적용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본 논문은 비정형화된 요구사항으로부터 테스트케이스 생성하는 과정의 중간 단계인 요구사항에서 문장 의미 모델(Sentence Semantic Model)을 자동 생성하는 방법을 제안 한다. 이는 요구사항으로부터 생성된 원인-결과 그래프의 정확성을 검증할 수 있다.

  • PDF

언어장애인의 명료도에 영향을 미치는 말요인: 문헌연구 (The Role of Speech Factors in Speech Intelligibility: A Review)

  • 김수진
    • 대한음성학회지:말소리
    • /
    • 제43호
    • /
    • pp.25-44
    • /
    • 2002
  • The intelligibility of a spoken message is influenced by a number of factors. Intelligibility is a joint product of a speaker and a listener. In addition, intelligibility varies with the nature of the language context and the context of communication. Thus a single intelligibility score can not be ascribed to a given individual apart from listener and listening situation. But there is a clinical and research need to develop assessment measures of intelligibility that are quantitative and analytic. Before developing the index of intelligibility, the crucial factors need to be examined. Among them, the most significant in intelligibility is the speech factors of speakers. The following section reviews the literature dealing with the contribution of segmental and suprasegmental factors in speech intelligibility regarding the hearing impaired, alaryngeal, and motor disorders.

  • PDF

항공 통신, 항법, 식별장비 시험평가 (Test & Evaluation of Airborne Communication, Navigation, Identification Equipment)

  • 김성우;김민수;이영식;이병화;오우섭
    •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 /
    • 제15권5호
    • /
    • pp.615-622
    • /
    • 2012
  • Airborne radio communications, navigation, and identification equipments are the basic equipment of airplane. Airborne radio communications, navigation, and identification equipments are characterized by user's many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quirements. These equipment look like simple test and evaluation, but they have many complex factors. This paper describe the test and evaluation of airborne radio communications, navigation, and identification equipments.

문화재로 지정된 SH고등학교 강당의 음향리노베이션설계 및 평가 (Acoustic design for the renovation of a cultural heritage building, SH high school auditorium)

  • 정대업;오예닮;이효진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266-274
    • /
    • 2019
  • 국내 문화예술공간에 대한 통계조사에서 나타나듯이, 국내의 많은 공연시설들은 노후화에 따른 크고 작은 규모의 개보수가 필요한 상태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기존공간의 음향개보수과정에서 참고가 될만한 사례연구가 많지 않은 실정이다. 본 연구는 문화재로써 많은 제약조건을 갖는 SH고등학교 강당을 대상으로 초기 음향검토에서부터 사용자의 요구조건 및 문제점들을 고려한 대안의 수립 그리고 대안들의 적용에 따른 음향성능평가과정 및 그 결과를 분석함으로써 음향리노베이션 설계의 참고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개선방안들의 적용결과, 실의 잔향특성이 개선되었으며 언어명료도 및 음악명료도가 개선되었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라우드니스는 목표한 수준에 미치지 못하였으며 이는 천장에 적용된 슬랫형 구조가 강한 반사음을 제공하지 못하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청각장애 아동과 건청아동의 이중모음 산출에 대한 음향음성학적 특징 비교

  • 배남주;고도흥
    • 대한음성언어의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음성언어의학회 2003년도 제19회 학술대회
    • /
    • pp.244-244
    • /
    • 2003
  • 말소리의 생성 및 전달에서 화자의 청각적 피드백은 말소리 발달에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고도흥 외, 2000). 그러나 청각장애 아동의 경우, 청각적인 피드백이 부족하여 말소리 발달과 언어발달에서 지체를 보이게 된다. 특히 이러한 말소리 발달은 아동의 말명료도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되고, 국내외 여러 학자들은 청각장애 아동의 말 산출에 대한 연구를 활발하게 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국내의 연구 중 이중모음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국내의 청각장애 성인이나 아동을 대상으로 한 연구들은 대부분 연구자의 지각적이고 주관적인 입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좀더 객관적인 연구 자료는 임상적인 목적뿐만 아니라 말소리 발달의 연구에서 필요하다. 따라서 이 연구는 청각장애 아동의 이중모음의 특징을 음향음성학적인 방법으로 객관적으로 분석하여 그 자료를 제시하고, 건청 아동과의 비교를 통해 임상적인 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중략)

  • PDF

협동학습 과정에서의 언어적 행동과 화학 문제 해결력 사이의 관계 (The Relationships Between Verbal Behaviors and Chemistry Problem Solving Ability in Cooperative Learning)

  • 전경문;여경희;노태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234-243
    • /
    • 2000
  • 본 연구에서는 협동학습에서의 언어적 행동과 화학문제 해결력 사이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고등학교 2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사전 화학 성취도의 측면에서 이질적인 3인 1조의 소집단을 구성한 후, 협동학습 환경에서 4단계 문제 해결 전략을 사용하도록 하였다.이러한 소집단 문제 해결 과정에 대해 녹화 및 녹음을 실시하였다. 학생들의 화학 문제 해결력은 문제 해결 전략 수행 능력 검사로 측정하였다. 언어적 행동은 크게 정보 주기, 정보 받기, 질문하기, 부정하기로 유형화하였고 총 16개 하위 범주로 세분하였다. 학생들이 가장 많이 나타내는 언어적 행동은 정보 제공하기의 하위 범주인 제공이었다. 언어적 행동과 문제 해결력 사이의 부분 상관을 조사한 결과, 7개 범주에서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으며, 제공 범주가 문제 해결력과 가장 밀접하게 관련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러나 선행 연구에서 보고되지 않은 교정, 정당화, 제공 명료화, 명료화 등에서의 상관도 유의미하였다. 하위 수준 학생들은 정보를 주거나 받는 언어적 행동과 문제 해결력 사이의 관련성이 높았으나, 상위나 중위 수준의 경우 언어적 행동이 문제 해결력을 향상시키지 못하는 경향이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