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억제처리과정

검색결과 584건 처리시간 0.032초

영재 아동들의 인지 및 정서적 억제처리 과정: 스트룹 효과 및 정서 스트룹 효과 중심으로 (Cognitive and Emotional Inhibition Processes of Gifted Children: Word-color and Emotional Stroop Effects)

  • 남수린;남기춘;백연지
    • 영재교육연구
    • /
    • 제25권4호
    • /
    • pp.469-491
    • /
    • 2015
  • 본 연구는 영재아동들의 집행기능 중 억제처리과정을 폭넓게 살펴보기 위하여 진행되었으며, 억제처리과정을 인지적 차원과 정서적 차원으로 구분하여 처리 양상을 비교 분석하였다. 실험은 국내의 ${\times}{\times}$ 대학부설 영재교육원에 재학 중인 영재아동들 총 100명(성별에 따라 남62 및 여38, 학년에 따라 초등46, 중등54)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실험 1에서는 인지적 요소가 포함된 억제처리 기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단어-색상 스트룹 과제(word-color Stroop task)를 사용하였고, 실험 2에서는 정서적 요소가 포함된 억제처리 기능을 알아보기 위하여 정서 스트룹 과제(emotional Stroop task)를 사용하였다. 실험 결과, 영재아동들은 억제처리 과정에서 인지적 자동반응을 억제하기 위한 인지적 비용이 발생하였으며, 이는 성별에 따른 차이는 없었으나 연령이 증가할수록 인지적 비용이 유의미하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정서적 요소가 포함되는 억제처리 과정에서는 간섭 비용이나 정서로 인한 인지편향이 유의하게 발생하지 않았으며, 성별이나 연령에 따른 차이도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영재아동들의 인지적 억제처리와 정서적 억제처리가 동일한 기제가 아닌 구분되는 처리 양상임을 시사한다.

람세균 Synechocystis sp. PCC 6803 PTX의 주광성 운동에 미치는 몇가지 대사 억제제의 효과 (Effects of Some Metabolic Inhibitors on Phototactic Movement in Cyanobacterium Synechosystis sp. PCC 6803 PTX)

  • 박영총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38권1호
    • /
    • pp.87-93
    • /
    • 1995
  • 최근에 Synechocystis sp. PCC 6803 중에 한 균주가 고체 한천 배지상에서 일정한 조명(300-1000 lux) 방향을 따라 활주 운동하는 것을 관찰하여 이 종을 S. 6803 PTX라고 명명하고 이의 주광성 운동에 대한 생리학적 특징을 이해하기 위하여 몇 가지 대사 억제제와 신호 전달 차단제의 주광성 운동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였다. DCMU는 광계 II로부터 광계 I의 일차 전자 수용체인 플라스토퀴논으로의 비순환성 광합성 전자전달을 억제하는 억제자로서 $100\;\mu\textrm{M}$의 농도에서는 주광성 운동을 억제하지 못하였다. 그러나 호흡에 의한 전자전달 억제제인 sodium azide를 처리하였을 경우에는 S. 6803 PTX에서 심하게 장해를 받았다. 이러한 관찰 결과는 주광성 운동의 주동력원이 광인산화 과정보다는 호흡에 의한 산화적인 인산화과정에 주로 연관되어 있음을 보여주었다. 또한, 세포를 CCCP나 DNP와 같은 막상의 uncoupler를 처리하였을 때, 세포내 ATP 농도를 저하시키거나 세포질막에 수소 이온의 전기화학구배($\Delta\mu_{H}+$)를 제거시키나, 이러한 화합물들은 주광성 운동에 뚜렷한 영향은 주지 못하였다. 이러한 결과와는 달리, H+-F0F1 ATPase에 민감하게 억제 작용을 나타내는 DCCD나 NBD의 처리는 세포내 ATP만 고갈시키고 막상에서 $\Delta\mu_{H}+$는 그대로 유지시키는 작용을 하는데, 이러한 DCCD나 NBD는 주광성 운동에 대해서는 심하게 억제 현상을 나타내었다. 또한, 특이성 calcium ionophore 중의 하나인 A23187의 처리는 양성 주광성에 심하게 장해를 주었다. 아마도 Ca2+ 유동은 주광운동 방향성의 신호전달 과정에 중요하게 관련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S-adenosyl methionine과 같은 메틸 공여체의 고갈이 S. 6803 PTX 균주의 주광성 반응에 영향을 주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에티오닌을 BG11을 한천 배지에 첨가하였다. 이 생물종의 광운동은 에티오닌의 농도가 증가됨에 따라 일정하게 억제되다가 0.5mM에서 주광성 운동을 완전히 억제시켰다. 이것은 광수용 기작이 Escherichia coil나 Salmonella typhimurium에서 발견된 메틸기 수용 주화성 단백질과 같은 메틸화/탈메틸화 과정에 의하여 조절될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음을 의미한다.

  • PDF

Treponema denticola sonicated extract에 의한 임파구 세포주기 차단 기전에 관한 연구 (SONICATED EXTRACT OF TREPONEMA DENTICOLA IMPAIRS THE LYMPHOCYTE PROLIFERATION)

  • 이우철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27권5호
    • /
    • pp.473-478
    • /
    • 2002
  • 근관내 spirochetes의 존재유무가 명확하게 밝혀져 있지 않았으나 최근 PCR을 사용한 연구에서 Treponema denticola균주가 감염근관의 50% 이상의 경우에서 발견됨에 따라 이 세균이 치수 및 치근단 질환에 관여하는지에 대한 관심 이 높아졌다. 하지만 그 정확한 기전은 아직 밝혀져 있지 않다. 이와 관련하여 Shenker등이 T. denticola의 sonicated extract에서 순수분리된 단백질 (SIP)이 임파구 proliferation을 방해함을 보고한바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면역억제단백질 SIP이 어떤 기전에 의해서 임파구증식을 억제하는지를 밝히는 데 있다. 건강한 혈액 공여자로부터 추출해낸 T세포에 PHA (phytohemagglutinin)로 증식자극을 주게되는데 이 과정에서 SIP을 처리하거나 처리하지 않은 경우를 비교하여 세포주기 진행과정을 유세포분석기 (Becton-Dickinson FACS$^{tarplus}$) 를 통하여 평가하였다. 실험결과 세단계의 chromatography과정을 통해 순수정제된 SIP은 50kDa와 56kDa의 두가지 polypeptide로 구성되어 있고 0.25$\mu\textrm{g}$으로 처리된 T 임파구는 42.5%의 [$^3$H]thymidine incorporation 억제가 그리고, 0.5$\mu\textrm{g}$으로 처리한 경우는 75.1%의 억제가 일어나 dose-dependent한 양상이 나타났다. Propidium iodide와 유세포 분석기를 사용하여 세포주기를 분석한 결과 medium으로만 처리한 경우 97%이상의 임파구는 G$_0$/G$_1$ phase에 머물러 있었으나 PHA자극을 받은 경우 G$_0$/G$_1$ phase에서 58%, S phase에서 34.6%, G$_2$/M phase에서 7.4%로 분포되어 나타났다. SIP으로 전처리한 경우 세포 증식이 감소하여 0.25$\mu\textrm{g}$을 첨가한 경우 75.1%가 G$_0$/G$_1$ phase에 머물러 있었고 더 강한 농도의 0.5$\mu\textrm{g}$을 첨가한 경우는 87.7%가 G$_0$/G$_1$ phase에서 S phase로 진행되지 않고 머물러있었다. 따라서 SIP으로 전처리된 T 임파구는 그 증식이 G$_0$/G$_1$ phase에서 차단된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면역억제현상이 in vitro 상태뿐 아니라 in vivo에서도 진행된다면 spirochete가 치수 및 치근단 질환의 병인론에 연관된 면역반응저하기전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추론할 수 있다.

앱시스산에 의해 기공이 닫히는 신호전달과정에서 G-단백질의 분할

  • 이영숙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37권4호
    • /
    • pp.429-434
    • /
    • 1994
  • 식물 호르몬의 하나인 앱시스산이 식물의 기공을 닫게 하는 과정 중에 phospholipase C가 활성화되어 inositol 1,4,5-trisphosphate(P3)의 양이 증가함이 보고되었다 (Cot and Crain. 1994). 그러나 아직까지 공변세포에서 phospholipase C의 활성을 조절하는 G-단백질에 대한 보고는 없었다. 그러므로 앱시스산에 의한 기공닫힘과정에 G-단백질이 수반되는지를 조사하고자, G-단백질 활성의 저해제인 pertussis toxin과 촉진제인 cholera toxin을 처리하여 보았다. 닭의장풀(Commelina communis L.)의 잎 뒷면으로부터 얻은 온전한 표피층과 잠두(Vicia faba L)의 잎을 부분 분해하여 공변세포만을 남긴 표피층에 pertussis toxin을 처리하였을 때, 앱시스산에 의한 기공닫힘이 부분적으로 억제됨을 관찰하였다. 그러나 cholera toxin의 경우는 아무런 영향이 없었다. 공변세포만을 지닌 표피층에 pertussis toxin을 전처리한 후 앱시스산을 가했을 때, 앱시스산에 의한 IP3 양의 증가 양상이 억제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들로부터 앱시스산에 의한 기공닫힘과정에는 pertussis toxin-sensitive, phospholipase C-linked G-protein이 관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강남콩 잎의 노화에 있어서 식물 호르몬의 역할 (Role of Plant Hormones in the Senescing Detached Leaves of Phaseolus vulgaris)

  • 이동희;서영희;김영상
    • 생명과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297-308
    • /
    • 1997
  • NAA, GA$_{3}$ 및 BA등의 식물 호르몬이 노화중인 강남콩 잎의 엽록소-단백질 복합체의 분해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였다. 노화의 대표적인 특징인 엽록소의 소실은 엽록소-단백질 복합체의 분해를 수반하였다. 암유도 노화과정동안, PSI 복합체는 급격히 감소한 반면 RC-Core3은 오히려 조화 중기까지 조금씩 증가하다가 이후 서서히 분해되었다. 그리고 LHCII는 노화 과정 후기부터 점진적으로 분해되었다. NAA와 GA$_{3}$는 노화동안 엽록소-단백질 복합체의 분해를 억제하는데 거의 영향을 미치지 못 하였다. 그러나 BA는 노화 과정동안 엽록소-단백질 복합체, 특히 RC-Core1, RC-Core2와 SC-1의 분해를 억제하는데 매우 효과적이었다. 한편 식물 호르몬과 광선의 동시 처리에 있어서, BA와 광선의 동시 처리는 노화 과정동안 엽록소-단백질 복합체, 특히 PSI, LHCII, RC-Core2, RC-Core3과 SC-1의 분해를 억제하는데 가장 효과적이었다. 이와 같은 결과에서 노화 과정동안 엽록소-단백질 복합체는 BA 혹은 광선의 단독 처리보다 BA와 광선의 동시 처리에 의하여 보다 높은 안정성을 가질 것으로 사료된다.

  • PDF

효모에서 분리한 멜라닌 생성 억제 물질의 세포분화 억제 (Inhibition of Melanoma Differentiation by Melanogenesis Inhibitor Isolated from Yeast)

  • 최태부;이승선;정호권;오철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25-33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효모에서 분리한 melanoston이라고 명명된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는 물질의 작용 기전을 밝히기 위한 것이다. $\alpha$-MSH를 처리한 B16 melanoma 세포에서 melanoston은 tyrosinase mRNA 발현양을 $10\%$ 정도 저해되는데 그쳤으며 western blotting을 이용한 단백질 측정에서도 이와 비슷한 정도의 단백질 생성 억제를 보였다. 그러나 B16 세포 배양액에 melanoston을 첨가할 경우 세포내 tyrosinase 활성이 $30\%$까지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나 melanoston이 tyrosinase inhibitor는 아니지만 세포내 tyrosinase 활성화(activation) 과정을 억제하는 것으로 추측할 수 있었다. 또한 광학 현미경을 이용한 morphology 관찰에서 $\alpha$-MSH를 처리한 세포에서는 많은 dentrite가 형성되면서 세포분화가 일어나는 반면 melanoston를 처리한 경우에는 dendrite가 감소하면서 세포형태가 대조군과 비슷하게 회복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 FITC-anti-tyrosinase-Ab를 이용한 형광염색을 통해서는 $\alpha$-MSH만 처리한 세포에서는 tyrosinase의 분포가 dendrite를 포함한 세포 전체로 퍼져나가는 것을 관찰 할 수 있었고 $\alpha$-MSH와 melanoston을 동시에 처리한 세포에서는 대조군과 비슷하게 tyrosinase가 핵 주변에서만 관찰되어 melanoston이 B16 melanoma 세포의 분화과정에서 이를 억제하는 효과를 주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들을 종합해 볼 때 melanoston은 $\alpha$-MSH에 의해 진행되는 B16 세포의 분화를 억제하고 이 과정에서 멜라닌 생성의 주된 효소인 tyrosinase의 활성화를 억제하며 결과적으로는 멜라닌 생성을 저해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폐기물 소각시 배출되는 유해가스의 처리방법 (Review of treatment methads for gaseous air pollutants discharged from the incineration process of solid wastes)

  • 이우근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18-129
    • /
    • 1995
  • 일반폐기물의 효과적인 처리방법으로 소각처리가 중요시되고 있으나 폐기물의 소각과정에서 대기오염물질이 발생, 배출되게 되므로 이에 대한 적절한 대책이 필요하다. 배출되는 대기오염물질의 종류 및 양은 소각하는 폐기물의 성상이나 폐기물 소각로의 형태, 소각로의 운전 조건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주요 오염물질로는 최근 문제시되고 있는 Dioxin이나 광화학스모그를 유발시키는 질소산화물(이하 NOx), 염화수소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오여물질에 대한 환경오염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배출억제대책이 필요하다. 본고에서는 폐기물의 소각시 배출되는 대표적인 오염물질의 특성과 그 배출억제 방법에 대해 기술하고자 한다.

  • PDF

귀출파징탕(歸朮破癥湯) 추출물의 인간 유방암세포에 대한 성장억제 효과 (Anti-proliferative effect of Guichulpajing-Tang extract on MCF-7 cells)

  • 조성희;박경미;반혜란
    •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55-165
    • /
    • 2006
  • 이 연구는 MCF-7 인간 유방암 세포주에 대한 귀출파징탕(歸朮破癥湯) 추출물의 증식억제효과 세포독성효과 세포사 유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이루어졌다. MCF-7 인간 유방암 세포주는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F12 (DMEM/F12)에 10% fetal bovine serum(FBS;Gibco) 와 항생제를 가하여 만든 배지를 이용하여 배양하였고, MCPF-7 세포를 96- well plate에 접종한 후 다양한 농도(0~2000g/ml)의 귀출파징탕(歸朮破癥湯)이 든 배지로 처리하고 다양한 시간(48, 96, 192)동안 배양하여 현미경으로 관찰하고 각각 MTS assay kit를 이용하여 세포생존율을 측정하였다. 세포독성은 Sulforhodamine B assay 방법을 이용해 측정하였고 세포사 과정에서 MCF-7세포에서의 caspase 활성화를 측정하기 위해 Western blotting을 수행하여 poly ADP ribose polymerase(PARP)의 절단을 확인하였다. 실험결과 귀출파징탕(歸朮破癥湯) 추출물에 의한 세포성장 및 독성효과는 시간 및 농도에 비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세포고사과정에서 작용하는 caspase의 전 기질인 PARP 절단량이 귀출파징탕(歸朮破癥湯) 처리 농도와 시간에 비례하여 증가하였다. 이것은 caspase-3가 MCF-7 세포의 성장을 억제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함을 의미한다. 따라서 귀출파징탕(歸朮破癥湯)은 다양한 기전에 의해서 유방암 세포에 대한 억제효과를 가진다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 PDF

Chinese Hamster Ovary 세포에 있어 N-methyl-Nt-nitro-N-nitrosoguanidine 에 의한 DNA 복제억제와 이의 회복경로

  • 김종숙;이천복;박상대;이형호
    • 한국환경성돌연변이발암원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63-72
    • /
    • 1989
  • 본 연구는 N-methyl-N'-nitro-N-nitrosoguanidine(MNNG) 를 처리한 CHO-K1세포에서 DNA 복제억제와 그 회복과정의 분자론적 기작을 규명할 목적으로 방사선 이중표지에 의한 DNA합성율의 측정, 알카리 자당농도구배 초원심분리법에 의한 DNA 분자량과 후복제 회복율을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DNA 합성율은 2nM 이하의 낮은 농도의 MNNG 처리군에서는 급격히 감소하였으나, 5nM 이상의 농도에서는 그 감소양상이 둔화되었다. 억제되었던 DNA 합성율은 시간경과에 따라 회복되어 처리 후 4시간 째에는 대조군 수준 또는 그 이상으로 회복되었다. MNNG 처리 후 DNA 분자 크기의 분포와 새로 합성된 DNA 분자의 생장양상을 알카리 자당농도구배 초원심분리법으로 조사한 결과 MNNG 처리 후 시간 경과에 따라 새로합성된 DNA 분자들의 크기분포는 1*107 달톤 이하의 DNA 분자들의 합성양이 특이하게 증가하였다가 감소함을 보였다.

  • PDF

Chinese Hamster Ovary세포에서 Benzo(a)pyrene과 3-Methylcholanthrene에 의한 DNA 단사절단과 복제억제에 미치는 Saponin의 영향

  • 이정섭;이형호;박기현;박상대
    • 한국환경성돌연변이발암원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27-134
    • /
    • 1990
  • 본 연구는 Chinese hamster ovary (CHO-KI) 배양세포에서 S-15분획에 의해 활성화된 bezo(a) pyrene (BP)과 3-methylcholanthrene(MC)에 의해 유발된 DNA단사절단과 DNA복제억제 및 그 회복과정에 미치는 한국산 인삼추출물 saponin의 영향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S-15분획으로 활성화된 10-5 M의 BP 또는 MC를 1.0-10ng/ml의 saponin과 함께 처리할 경우 BP와 MC단독처리군에 비해 DNA 단사절단률이 감소하였다. DNA 합성률은 활성화된 10-5M의 BP와 10-6 M의 MC에 의해 각각 50% 및 75% 억제되었으나, 0.1-10ng/ml의 saponin을 동시에 처리할 경우 DNA 합성억제률이 약 10% 이상 둔화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