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어획 특성

검색결과 146건 처리시간 0.025초

수산보조금 : 과연 지속가능한 어업발전을 위한 장애물인가? (Subsidies: Are they really obstacles in achieving a sustainable fisheries development?)

  • 이상고;김도훈
    • 수산경영론집
    • /
    • 제35권2호
    • /
    • pp.117-137
    • /
    • 2004
  • 지속적인 어업자원 이용에 대한 수산보조금의 역할을 분석한 기존 연구들은 단순히 세계 전체적이거나 국가별 총어업수입과 총어업비용만을 고려하여 잠정적으로 비용 절감형 또는 수입조장형 보조금이 어획노력량 수준을 증가시켜 어업자원의 감소를 부추기거나 남획을 초래했다고 결론짓고 있다. 또한 어업의 특성상 어업에 있어서 각종 규제수단이 사용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들 수단들의 효과와 보조금과의 관계를 분석하지 못함으로써 어업자원에 대한 보조금의 영향을 명확하게 설명하지 못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어업에 있어서의 각종 규제수단의 사용에 따른 보조금의 영향을 국제적으로 권고되고 있는 생물경제모델을 이용하여 분석함으로써 보조금이 어업자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기존 연구들의 잠정적인 결론은 관리수단조치가 전혀 이루어지지 않거나, 이루어지더라도 불완전하게 어획노력량 등이 통제될 경우에만 타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대로, 관리수단 하에서 어획노력량 등에 대한 감시 및 통제가 완벽하게 이루어질 경우에는 기존 연구결과와 달리 수산보조금이 어업자원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오히려 일반적으로 부정적인 것으로 취급되는 보조금의 경우도 어업상황에 따라서는 어업자원에 대한 부정적인 피해 없이 어업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여수해만의 어장학적 특성 - 정치망 어장을 중심으로 - (The Characteristics of a Fishing Ground at Yeosu Bay - Pound Net Fishing Ground -)

  • 김동수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25권2호
    • /
    • pp.44-53
    • /
    • 1989
  • 여수해만의 어장학적 특성을 구명하기 위하여 정치망 어장에서의 해황과 어획율의 변동을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수온의 분포는 봄과 여름에 연안쪽에 높고 외해쪽이 낮았으며, 가을과 겨울에는 그 반대였다. 2. 염분의 분포는 봄과 겨울에 높고 여름과 가을에 낮았으며, 돌산연안에 저염분대가 형성되고 외해에는 고염분대가 형성되었다. 3. 돌산연안쪽 어장에서는 와류현상이 일어났고 여름철에는 수심 30~40m 사이에 수온약층 및 염분약층이 형성되었으며 가을과 겨울에는 거의 균등한 해수가 전해역에 분포하였다. 4. 정치망 어획량의 년변화는 1984년에 최대를 기록하였고 그 이후부터는 감소하였으며, 월별어획량의 변화는 6월에 최대치를 보였고 그 이후부터는 감소해가는 경향이었다. 5. 수온과 염분이 증가함에 따라 어획량은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며, 수온 21$^{\circ}C$~27$^{\circ}C$, 염분 32.80%~34.00%에서 가장 많이 어획되었다. 6. 어군의 전체조성비는 삼치 28.4%, 멸치 18.0%, 전갱이 19.5%, 정어리 21%, 갈치 7.2%, 고등어 1%, 방어 0.8%이고 꽁치, 게, 오징어는 0.7%이하였다. 7. 어종별 어획시기는 삼치, 갈치, 방어, 게등이 조업기간중 계속 어획되었으며 멸치와 정어리가 4~8월, 전갱이와 고등어가 5~11월, 쥐치, 꽁치, 복어는 4~10월, 오징어가 4~9월에 많이 어획되었다. 8. 어획량이 가장 많았던 6월과 8월에는 풍향이 주로 NE, SSW이고, 풍속은 2.9m/sec 미만이고, 1.008mb이하의 저기압성이었으며, 강수량이 가장 많았었다.

  • PDF

한국 연근해 갈치의 자원평가 및 관리방안 연구 1. 한국 연근해 갈치의 자원생태학적 특성치 추정 (A Study on the Stock Assessment and Management Implications of the Hairtail, Trichiurus lepturus Linne in Korean Waters 1. Estimation of Population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Hairtail, Trichiurus lepturus Linne in Korean Waters)

  • 장창익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567-577
    • /
    • 1996
  • 본 연구는 한국 연근해 갈치의 자원생태학적 특성치인 성장계수와 생잔율, 순간자연 및 어획사망계수, 어획개시연령 및 연령별 성장률을 추정하는 것이다. 갈치의 성장을 나타내는데는 세가지의 성장모델에 적합시켰으며, 이 중 차후의 자원평가연구를 목적으로 von Bertalanffy 성장식을 채택하였다. von Bertalanffy 성장계수는 EXCEL의 Solver를 사용하여 비선형회귀 방법에 의하여 다음과 같이 추정되었다. $L_\infty=46.01cm,\;K=0.3868,\;t_0=-0.3220$. 갈치의 연간생잔율 (S)은 0.277 (분산=0.00035)로 추정되었으며 순간자연사망 계수 (M)는 0.4411년으로 추정되었다. 근년의 순간어획사망계수 (F)는 0.843/년으로서 자연사망보다 어획에 의한 영향이 약 2배나 되고 있음을 암시하였다. 어획개시연령 $(t_c)$은 0.787세로 $50\%$ 성숙연령의다 훨씬 어린 연령이었다 마지막으로 갈치의 연령별 성장률이 추정되었다.

  • PDF

인도네시아 수역 트롤어업의 어획특성 (Catch Characteristics of Trawl Fisheries in the Indonesian Waters)

  • 김형석;김광홍;정순범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37권4호
    • /
    • pp.251-256
    • /
    • 2001
  • 인도네시아 어장에서 조업한 트롤어선의 물때별, 조업시간대별 어획량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가장 어획이 많았던 물때는 조금∼두물로 전체 어획량의 22.8%였고, 가장 적었던 물때는 아홉물∼열한물로 16.9%였다. 2. 조기류, 갈치, 가오리의 어획이 가장 많았던 물때는 각각 열두물∼열네물(20.8%), 조금∼두물(33.8%), 아홉물∼열한물(22.0%)이었고, 가장 적었던 물때는 조기류와 갈치는 아홉물∼열한물(18.7%와 10.0%), 가오리는 여섯물∼여덟물(16.8%)이었다. 3. 08∼12시 시간대의 어획량이 전체의 19.7%로 가장 많았고, 20∼24시에 14.1%로 가장 어획이 부진하였다. 4. 조기류, 갈치, 가오리의 어획이 가장 많았던 조업시간대는 각각 00:00-04:00(21.0%), 08:00-12:00(35.0%), 12:00-16:00(21.2%) 이었고, 가장 어획이 부진했던 조업시간대는 12:00 -16:00(12.7%), 20:00-24:00(4.5%), 20:00- 24:00(13.4%)이었다.

  • PDF

황해및 동지나해의 참조기자원량 해석 -주로 한국기선저인망, 안강망, 유자망, 일본기선저인망 어장을 중심으로- (STOCK ASSESSMENT OF YELLOW CROAKER IN THE YELLOW SEA AND EAST CHINA SEA)

  • 신상택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11-19
    • /
    • 1975
  • 황해 및 동지나해에서 한국기선저인망, 안강망, 유자망, 일본기선저인망으로서 어획되는 참조기(Pseudosciaena manchurica의 자원량변동에 대해서 (1)식으로 표현되는 자원량변동의 수학적 $\lceil$모델$\rfloor$에 의하여 어획능율 및 겉보기 자연사망계수를 구하고 나아가서 어획계수, 어획능율등을 구하여 이들 자원량특성식을 이용하여 전후반어기의 자원량변동상태를 계산하였다.

  • PDF

장어통발의 깔대기 탄성과 유체역학적 특성 (Elasticity of the Funnel Ribs and Hydrodynamic Characteristics on the Sea Eel Pots)

  • 김용해;하정식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23권4호
    • /
    • pp.157-162
    • /
    • 1987
  • 장어통발의 P.P깔때기 살과 대나무 깔때기 살의 탄성을 측정하고 측면 구멍을 막은 통발과 원형의 유수저항, 침강시간 및 미끼의 냄새확산 등을 관찰한 다음 해상어획 시험을 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P.P 깔때기 살의 탄성은 대나무 살보다 훨씬 작고, 하중이 증가할수록 탄성회복도는 감소하였다. 2. 플라스틱 장어통발의 유수저항 R(kg)는 유속 V(m/sec)에 따라 다음 관계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R=0.36V 상(2.01) 3. 장어통발의 침강시간은 측면 구멍을 막은 경우 수면상에서의 완전 침수까지 1~2초 정도 원형보다 지연되나 그 후의 침강속도는 거의 차이가 없었다. 4. 통발 내의 미끼 수용액은 측면 구멍을 많이 막을수록 원형보다 입구쪽으로 집중되어 확산되었다. 5. 측면 구멍을 일부 막은 통발과 원형을 가지고 어획시험을 한 결과 통발당 평균 어획미수나 평균어획량의 어획성능에 있어서 뻘로 된 어장에서는 차이가 없는 것 같다.

  • PDF

어획지별 바다방석고둥의 식품성분 특성 (Comparison of Regional Variation in Food Component of Top Shell, Omphalius pfeifferi capenteri)

  • 하진환;김풍호;심효도;김진수;김인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384-388
    • /
    • 2001
  • 바다방석고둥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 바다방석고둥의 어획지별 (제주시, 서귀포시, 한림읍 및 성산읍 연안)위생적, 영양적, 맛 및 관능적 특성과 같은 식품성분 특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바다방석고둥은 수은, 납 및 카드뮴과 같은 중금속이 검출되지 않았거나 흔적량에 불과하여 식품소재로 사용하여도 중금속적인 면에서는 안전하다고 판단되었다. 바다방석고둥의 엑스분 질소함량은 $343.0\~385.4mg/100g$이었다. 구성아미노산함량은 $12.5\~13.2g/100g$이었고, 함량이 많은 것으로는 glutamic acid, proline 및 aspartic acid 등이었으며, 곡류 제한아미노산인 lysine의 함량도 많았다. 그리고, 무기질은 나트륨, 칼슘, 칼륨 및 마그네슘 등의 함량이 많았다. 바다방석고둥의 지방산조성은 필수지방산이거나 건강기능성이 인정되는 20:4n-6, 20:5n-3 및 22:5n-3 등과 같은 고도불포화산이 주요 지방산이었으나, 지질함량이 깎아 지방산에 의한 건강 기능성을 기대하기는 어렵다고 판단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보아 바다방석고둥은 어획지에 따른 차이가 거의 없어, 이들을 가공원료로 사용하는 경우 어획지역에 따른 가공품의 품질 차이는 없으리라고 판단되었다.

  • PDF

한국근해 참조기의 자원생태학적 특성치 추정 (Estimation of Population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Small Yellow Croaker, Pseudosciaena polyactis off Korea)

  • 장창익;김용문;유신재;박차수;김수암;김종관;윤성봉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29-36
    • /
    • 1992
  • 한국 근해 참조기 자원의 양적인 변동에 관련되는 자원 특성치인 개체의 성장식과 개체군의 생잔율, 순간사망계수 및 어획개시연령 등을 추정하였다. 참조기의 연령과 성장 관계는 Gompertz 성장 모델의 선형화 방법에 의한 이론적인 적합도가 가장 높았으나 실용적인 면을 고려하여 von Bertalanffy 성장식의 이용이 권고되었다. 생잔율은 0.219(분산: 0.0000262), 순간자연사망계수는 0.4/년으로 추정되었다. 최근의 순간어획사망계수는 1.11/년으로 추정되어 순간자연사망계수의 약 3배 정도로 높게 나타났다. 어획개시연령은 0.602세로 추정되었다

  • PDF

선택어획을 위한 저인망어구의 종류 (The Kind of Trawl Gear for Selection Catch)

  • 김삼곤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30권1호
    • /
    • pp.64-70
    • /
    • 1994
  • 선택어획의 궁극적인 목적은 미성숙어의 남획과 혼획을 방지하여 일정크기의 체장이 되었을 때 계속적으로 생산을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일찍부터 Huxley의 Doctrin 같은 논리에서부터 시작하여 수산자원의 특성과 관련한 제문제와 어로기술의 급진적 발전으로 인한 어획량의 증가에 따라 어족자원의 감소는 심각한 수산현안의 문제로 되고 있지만, 우리나라는 아직 자원관리를 위한 어업기술의 방향이 모색되고 있지 못하는 것 같다. 이러한 점에서 균형적인 어업분야의 발전을 위해서는 하드에 적합한 소프트의 개발과 선택은 물론이고 소프트를 현실에 맞게 적용할 수 있는 하드의 개발이 필요한 것 같다. 어업기술면만 보더라도 생역화를 위한 어로기기의 개발, 자원관리형 어구, 어법의 개발 등의 소프트와 어업학이라는 하드의 조화가 최근 수산분야의 중요한 일면임에 틀림이 없을 것이다.(이 논문의 결론부분임)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