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어절

Search Result 471, Processing Time 0.022 seconds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Practical Morphological Analysis System Based on Word Analysis (어절 분석 기반 형태소 분석 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 조현양;최성필;최재황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 /
    • v.18 no.2
    • /
    • pp.105-124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Korean word analysis system, which can improve performance of IRS, based on various methods of word analysis. In this study we focused on maximizing the speed of Korean word analysis, modulizing each functional system and analyzing Korean morpheme precisely. The system, developed in this study, implemented optimal algorithm to increase the speed of word analysis and to verify speed and performance of each subsystem. In addition, the numeral analysis processing was achieved to reduce a system burden by avoiding recursive analysis of compound nouns, based on numeral pattern recognition.

  • PDF

Hemispheric Asymmetry in Processing Semantic Relationship Shown in Normals and Aphasic (형태소 공유 어휘의 심성 어휘집 표상 양식)

  • Jung, Jae-Bum;Lee, Hong-Jae;Moon, Young-Sun;Kim, Dong-Hyu;Pyun, Sung-Bum;Nam, Ki-Chun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1999.10e
    • /
    • pp.359-367
    • /
    • 1999
  • 형태소를 공유하고 있는 어휘가 심성 어휘집(mental lexicon)에 어떻게 저장되어 있고 어떻게 어휘 접근되는지에 관하여 여러 설명이 제기되었다 첫 번째 가설은 형태소 공유 어휘는 심성 어휘집에 모두 같은 어근 혹은 어간을 중심으로 저장되어 있다는 것이다. 두 번째 가설은 어간이나 어근으로의 분석을 통해 활용된 단어를 이해하는 것이 아니라 일단 활용된 형태의 어휘를 심성 어휘집에서 찾고, 만일 해당되는 것이 발견되면, 그 활용된 어절의 이해가 끝나게 되고, 만일에 해당되는 것이 심성 어휘집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만 부수적인 과정으로 구성 형태소로의 분석이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세 번째 가설은 어휘의 품사, 어휘의 빈도, 형태소 활용의 규칙성 등에 따라 구성 형태소로의 분석을 통해 활용된 단어를 이해하거나 아니면 활용된 어휘의 직접적인 접근을 통해 활용된 단어를 이해한다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 세 종류의 가설 중에 어느 가설이 옳은 것인지를 조사하기 위해, "먹은" 흑은 "쥐어"와 같은 한국어 어절을 이용하여 형태소 표상 양식과 이해 과정을 다루었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해 점화 어휘 판단 과제(primed-lexical decision task)를 사용하였다. 실험 1은 "먹은"처럼 동사 "먹다"로도 해석이 가능하고 명사 "먹"으로도 가능한 중의적 어절을 점화 문자열로 제시하고 이 문자열이 두 의미와 관련된 목표 단어 재인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를 조사하였다. 만일에 "먹"이라는 어근 혹은 어간으로의 분석을 통해 이 어절을 이해한다면 두 종류의 의미와 관련된 조건 모두에서 촉진적 점화 효과(facilitatory priming effect)가 나타날 것이고, 어절 전체로의 어휘 접근 과정이 일어난다면 사용빈도에서 높은 동사 뜻과 관련된 조건에서만 촉진적 점화 효과가 나타날 것이다. 실험 1의 결과는 두 종류의 의미가 모두 활성화되는 것을 보여 주었다. 즉, "먹은"과 간은 어절 이해는 구성 형태소로의 분석과 구성 형태소 어휘 접근을 통해 어절 이해가 이루어진다는 가설을 지지하고 있다. 실험 2에서는 실험 1과 다르게 한 뜻으로만 안일 수밖에 없는 "쥐어"와 같은 어절을 사용하여 이런 경우에도(즉, 어절의 문맥이 특정 뜻으로 한정하는 경우) 구성 형태소로의 분석 과정이 일어나는지를 조사하였다. 실험 2의 결과는 실험 1의 결과와는 다르게 어간의 한가지 의미와 관련된 조건만 촉진적 점화 효과가 나타나는 것을 보여주었다. 특히, 실험 2에서 SOA가 1000msec일 경우, 두 의미의 활성화가 나타나는 것을 보여주었는데, 이 같은 결과는 어절 문맥이 특정한 의미로 한정시킬 경우는 심성어휘집에 활용형태로 들어있다는 것이다. 또한 명칭성 실어증 환자의 경우에는 즉시적 점화과제에서는 일반인과 같은 형태소 처리과정을 보였으나, 그이후의 처리과정이 일반인과 다른 형태를 보였다. 실험 1과 실험 2의 결과는 한국어 어절 분석이 구문분석 또는 활용형태를 통해 어휘 접근되는 가설을 지지하고 있다. 또 명칭성 실어증 환자의 경우에는 지연된 점화과제에서 형태소 처리가 일반인과 다르다는 것이 밝혀졌다. 이 결과가 옳다면 한국의 심성 어휘집은 어절 문맥에 따라서 어간이나 어근 또는 활용형 그 자체로 이루어져 있을 것이다.

  • PDF

The characteristics of eye-movement during children read Korean texts (어린이 글 읽기에서 나타나는 안구 운동의 특징)

  • Koh, Sung-Ryong;Yoon, So-Jeong;Min, Chul-Hong;Choi, Kyung-Soon;Ko, Sun-Hee;Hwang, Min-A
    • Korean Journal of Cognitive Science
    • /
    • v.21 no.4
    • /
    • pp.481-503
    • /
    • 2010
  • In the present study, we examined global and local characteristics of eye movements while 17 Korean third-graders read a Korean story and an expository text. In story reading, children fixated for about 213ms at an eojeol(word cluster), made a forward saccade of about 3.6 characters to the next eojeol, and regressed backward at 30.8% on average. In expository text reading, children fixated for about 214ms at an eojeol, made a forward saccade of about 3.3 characters to the next eojeol, and regressed backward at 31% on average. In addition, the effects of eojeol length, word frequency and landing position were examined. The gaze duration in the long ejoels was longer than in the short eojeols. In a further analysis where the repeatedly used eojeols were excluded, the eojeol length effect appeared in the low-frequency words, but seemed to disappear in the high-frequency words. In terms of landing position, the eyes seemed to land near the center of an eojeol more frequently than on the boundaries. When the eyes landed at the boundary of an eojeol, the eyes tended to fixate the eojeol again.

  • PDF

A Spelling Correction System Based on Statistical Data of Spelling Errors (철자오류의 통계자료에 근거한 철자오류 교정시스템)

  • Lim, Han-Kyu;Kim, Ung-Mo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 /
    • v.2 no.6
    • /
    • pp.839-846
    • /
    • 1995
  • In this paper, the spelling errors which are made by human being in the real word processors are collected and analyzed. Based on these data, we make a prototype which can perform spell aid function providing candidate words. The number of candidate characters are minimized by the frequency of Jaso and character, so the number of candidate words could be minimized. The average number of candidate words presented are 3.2 to 8, and 62.1 % to 84.1% of the correct words are presented in the candidate words.

  • PDF

Desambiguation Method based on a Lexicon of Typographical Units (`어절 정보 사전`을 이용한 형태소 분석의 중의성 (Ambiguity) 해결)

  • Nam, Jee-Sun;Choi, Key-Sun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1997.10a
    • /
    • pp.75-82
    • /
    • 1997
  • 이글은 한국어 형태소 분석시 발생하는 중의성의 유형에 대해서 논의하고, 그와 같은 여러 유형의 중의성의 발생율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으로써 '어절 정보 사전 시스템'의 구축을 강조하였다. 한국어 문서에 대한 형태소 분석시 발생하는 중의성은, 영어나 유럽어와는 달리, 어휘 형성 정보 뿐아니라 어절 형성 정보, 구문 구조에 관한 부분적인 정보까지도 제공되어야 비로소 해소될 수 있는 경우가 많아 이와 같은 정보를 얻어내기 위해서는 체계적으로 고안된 범용의 사전 (Lexicon)이 필요하다. 여기에서는 접사가 동반되어 구성될 수 있는 '파생 명사(Affixed Noun)'들의 경우에 논의의 범위를 제한하였다. 실제로, 체계적으로 구성된 하나의 파생어 사전은. 주어진 어절에 대한 형태소 분절시 발생할 수 있는 엄청난 수의 중의적 가능성을 해소해 줄 수 있는데. 이와 같은 사전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단순어와 접사 사전이 모듈화되어 완성되어야 한다. 같은 방법으로 모든 합성어 유형에 대한 사전이 구축되고, 그러한 기본 형태들에 대한 '변화형' 사전이 결합되면 어절 정보를 갖춘 대용량의 한국어 MRD의 구현이 가능해질 것이다.

  • PDF

A Study on the Construction Pattern of Korean Syntactic Word for Morphological Analysis (형태소 분석을 위한 한국어 어절의 구성 양상 연구)

  • Hwang, Hwa-Sang;Shi, Chung-Kon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01.10d
    • /
    • pp.25-32
    • /
    • 2001
  • 한국어 자연언어처리에서 부딪치는 첫 번째 어려움은 형태소 분석 대상으로서의 어절(통사적 단어)이 형태론적으로 다양한 유형을 갖는다는 데 있다. 따라서 정확하고 효율적인 형태소 분석기를 설계하고 구현하는 데 있어서 우선적으로 요구되는 것은 다양한 유형의 어절을 형태론적으로 분석하여 체계화하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 인식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형태소 결합 관계를 중심으로 체언 어절과 용언 어절의 구성 양상에 대해 살펴보았다.

  • PDF

A New Korean Morphological Analyzer using Eojeol Pattern Dictionary (어절패턴 사전을 이용한 새로운 한국어 형태소 분석기)

  • Hong, Jeen-Pyo;Cha, Jeon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8.06c
    • /
    • pp.279-284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어절패턴을 이용하는 새로운 방식의 한국어 형태소 분석기 KGuru-MA에 대해서 설명한다. KGuru-MA는 품사 부착 말뭉치에서 개방어를 생략하여 어절 패턴을 반자동으로 학습하여 어절 패턴 사전과 형태소 확률 정보 사전을 구성한 후, 이 사전을 이용하여 형태소를 분석한다. 본 형태소 분석기는 어절패턴을 사용하여 형태소 분석하기 때문에 기존 형태소 분석기에 존재하는 접속검사 과정이 생략된다. 또한, 형태소 분석 과정이 기존의 형태소 분석기에 비해 단순하여 기초 자연언어 처리 시스템이 가지는 강건성을 보장한다. 본 연구는 "21세기 세종기획 3차년도 말뭉치"를 이용한 실험 결과, 기존 형태소 분석기 못지 않은 성능을 보였다.

  • PDF

The effect of syntactic category ambiguity on eojeol processing (통사적 중의성이 어절 처리에 미치는 영향)

  • Yi, Hoyoung;Nam, Kichun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09.10a
    • /
    • pp.255-257
    • /
    • 2009
  • 본 논문은 한국어의 통사적 중의성이 언어정보처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어휘판단과제(lexical decision task)를 실시하였다. 명사의 의미와 동사의 의미로 중의적인 어절을 사용하여 각각의 빈도가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개별 품사 정보가 모두 영향을 미친다면 각각의 빈도가 영향을 미치게 되고 누적빈도 효과가 발생하여 개별 품사의 빈도와 동일한 비교조건에서의 반응시간보다 빠를 것이다. 실험 결과, 중의어절에서의 반응시간이 가장 빠르게 발생하였고 이를 통해 하나의 중의어절이 의미하는 개별적인 품사 의미가 모두 언어정보처리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 PDF

A Simulation Model for Korean Eojeol Retrieval (한국어 어절 재인의 시뮬레이션 모델)

  • Lim Heuiseok;Nam Kichun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spring
    • /
    • pp.301-304
    • /
    • 2002
  • 본 논문은 한국인 피험자를 대상으로 이루어진 어절 재인 실험 시 관찰된 언어 현상인 길이 효과, 빈도 효과, 그리고 이웃 효과를 설명할 수 있는 한국어 어절 재인 시뮬레이션 모델을 제안한다. 제안한 모델은 코퍼스에서 나타난 어절의 빈도를 이용하여 정렬한 트라이(trie) 구조를 기반으로 하고 있다. 본 모델은 피험자들의 어절 재인 현상을 모두 설명할 수 있으며 피험자들을 대상으로 한 실험에서 사용한 동일 자료를 이용하여 시뮬레이션한 결과 유의미한 상관 관계를 보였다. 현재 시뮬레이션 중 발견된 언어 현상이 한국인 피험자에서도 나타나는지를 규명하기 위한 실험과 영어 단어 재인시의 언어 현상에 대해서도 적용할 수 있는 확장 방안에 대하여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 PDF

Korean Spelling Corrector Based on Corpus Analysis (말뭉치를 기반으로 한 한국어 철자 교정기의 구현)

  • Lee, Byeong-Hun;Yun, Jun-Tae;Song, Man-Suk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1993.10a
    • /
    • pp.285-293
    • /
    • 1993
  • 대량의 말뭉치에서 나타나는 맞춤법 오류의 대부분은 타자수의 입력 실수로 인한 것이다. 맞춤법 오류의 유형은 크게 띄어 쓰기 오류, 철자 오류, 띄어 쓰기와 철자의 복합 오류의 세 가지로 나타난다. 이 중, 철자 오류를 표층 형태만으로 표준어 오류, 조사/어미 오류, 자소 대치 오류로 유형을 분류하였다. 본 논문은 300만 말뭉치에서 형태소 분석이 실패한 맞춤법 오류 어절 중에서 띄어 쓰기와 철자 오류를 분석하여, 각 오류 유형에 따른 교정 방법과 자소 대치 규칙 베이스를 이용한 교정 방법을 구현하였다. 또한 형태소 분석기를 거친 40만 어절 사전을 이용한 분석기로 기존의 형태소 분석기를 대치시켜 교정 어절을 검증하였고, 위의 사전에서 추출한 순위 결정 요소와 Heuristic 정보를 이용하여 각 후보 어절에 대한 가중치를 계산하고 가능성이 높은 교정 어절을 제시하는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