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어업

Search Result 3,436,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한국 근해 참조기 어장 특성과 어황 예측

  • 백철인;박종화;조규대;황강석;최광호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0.10a
    • /
    • pp.277-278
    • /
    • 2000
  • 한국 근해에 분포하는 참조기는 조기류 중에서 산업적으로 가장 가치가 있는 어업자원으로서 동중국해와 황해에서 주로 근해안강망, 기선저인망, 유자망어업 등에 의해 어획되고 있다. 1970년 황해 중앙부의 연평도를 중심으로 한 참조기의 어장은 점차 남하하여 최근에는 동중국해로 이동하였으며 자원의 감소도 심각한 상태에 있다. (중략)

  • PDF

중서부태평양 수온변동에 따른 다랑어 분포특성

  • 안두해;문대연;김종빈;김진영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0.10a
    • /
    • pp.285-286
    • /
    • 2000
  • 한국 다랑어 선망어업은 1980년 서부태평양 열대해역에서 가다랑어 및 황다랑어를 대상으로 조업을 시작하여 1986년 이후 본격적인 조업이 이루어지고 있다. 1995년 이후 26∼30척이 조업을 하여 140,000∼200,000톤 사이의 비교적 안정된 어획량을 유지하고 있으나 약간의 연별 변동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연별 변동은 한국 다랑어 선망어업의 주 대상종인 가다랑어 및 황다랑어가 고도회유성 어종으로 이들의 회유, 산란, 섭이 등은 어장환경 변동에 영향을 받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중략)

  • PDF

기선권현망어업의 어구 개량과 자동화 조업 시스템 개발 -VI - 개량형 시험어구의 수중형상 특성 -

  • 장충식;안영수;이춘우;이주희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0.10a
    • /
    • pp.64-65
    • /
    • 2000
  • 기선권현망어업은 7월1일부터 법정조업기간으로 조업을 시작하였으나 올해 들어서는 남해안의 저수온 현상으로 인해 멸치의 산란ㆍ성장 적정 수온이 23$^{\circ}C$이상이어야 함에도 주 산란 및 성장기인 5~8월의 수온이 17~18$^{\circ}C$의 냉수대가 형성되어 멸치의 산란과 성장이 둔해져서 어획량이 예년에 비해 크게 감소하고 있다. (중략)

  • PDF

한국 근해 고등어자원의 평가와 관리

  • 최영민;이재봉;장창익;백철인;박종화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0.10a
    • /
    • pp.279-280
    • /
    • 2000
  • 고등어는 우리나라 전 해역에 광범위하게 분포하는 회유성 어종으로 주로 대형선망어업에 의해 연중 어획되며, 최근 연근해 전체 어획량의 10∼25%를 차지하는 산업적으로 중요한 어종이다. 또한 고등어는 전갱이, 정어리, 삼치, 붉은대게 와 함께 TAC 대상어종으로서 이러한 제도의 지속적인 실시를 위한 TAC산정 대상어종의 자원특성 파악이 선행되어져야 한다. 정확한 TAC추정을 위해서는 어업자원의 생물학적 특성 구명과 자원변동에 영향을 줄 수 있는 해양학적 특성도 함께 고려되어져야 한다. (중략)

  • PDF

선망어업의 생산성 향상에 관한 연구 -단선식 시험조업에 있어서 선망의 운동특성-

  • 김석종;최찬문;정용진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2.10a
    • /
    • pp.27-28
    • /
    • 2002
  • 우리나라의 선망어업은 주변 어장 환경의 변화와 남획으로 인한 어획 자원의 고갈은 물론 통(統)당80명이나 필요한 조업인력 및 과다한 조업경비 절감의 문제로 시급하게 구조개선 방안이 요구되면서 선단조업 형태에서 단선 조업의 형태로 전환을 시도해야 하는 시점에 이르렀고, 이에 알맞은 선망어구 설계 및 어로방법 개선이 시급한 실정이다. (중략)

  • PDF

서해구 자원관리형 자망ㆍ통발 어구어법 기술개발에 관한 연구 2. 수조실험에 의한 꽃게ㆍ피뿔고둥의 입롱율 조사

  • 장호영;조봉곤;박종수;고광수;한민숙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2.10a
    • /
    • pp.31-32
    • /
    • 2002
  • 통발어업은 일정한 장소에 서식하거나, 유영력이 크지 않으면서 미끼에 대한 반응이 민감한 생물을 미끼로써 함정으로 유인하여 잡는 어법으로서, 어구의 구조가 비교적 간단하고 조업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어획효과도 좋으며, 어획물이 대부분 활어 상태로 판매할 수 있어서 수익성도 높으므로 연안어업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중략)

  • PDF

방류어류의 생존을 향상을 위한 해상적응시험

  • 홍성완;김판석;고형범;김문관;김준택;김보영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2.10a
    • /
    • pp.45-46
    • /
    • 2002
  • 기르는어업은 인공생산한 종묘를 방류하여 자연환경에 정착시켜 자원조성을 도모함은 물론 합리적인 관리의 아래에서 어획하는 계획생산을 표현한 용어라고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기르는어업의 효율적 추진을 위해서는 우선 방류기술개발과 방류 후의 자원관리를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에 대한 방안이 마련되어야 하며, 방류기술개발은 대상해역의 특성을 파악하는 것부터 시작하여 방류효과조사까지 광범위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중략)

  • PDF

혼돈행동이론에 의한 예망어업의 어획 시뮬레이션

  • 김용해;김봉익;정연수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2.10a
    • /
    • pp.55-56
    • /
    • 2002
  • 예망어구에 대한 어류의 반응행동은 혼돈행동이론(Kim, 1996)에 의한 어획과정의 재현으로 어획정도, 어획선택성(이 등, 1992, 1994) 등 현장조업을 대체하거나 예측해 볼 수 있는 수단이 될 것이다. 여기서는4가지 주요 예망어업에 대한해당어종의 반응 행동을 시뮬레이션하고 조업자료와의 비교ㆍ검토에 의하여 본 모델의 실용성을 확인하였다. (중략)

  • PDF

엘니뇨 및 라니냐 발생에 따른 열대 태평양 황다랑어의 풍도 변동

  • 양원석;조규대;문대연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3.05a
    • /
    • pp.291-292
    • /
    • 2003
  • 한국 다랑어 연승어업은 1957년 인도양, 1958년 태평양에서 각각 시험조업을 실시한 이후 1960년대 중반부터 실질적인 조업이 시작되었다. 태평양 해역은 1985∼1997년간 한국 연승어업에 의한 다랑어류 년 평균 어획량의 55%를 차지하는 중요한 해역으로 눈다랑어와 황다랑어가 한국 전체 어획량의 82.2% 차지하고 있고, 이중 황다랑어는 20∼40%를 차지하고 있다. (중략)

  • PDF

주꾸미, Octopus ocellatus에 대한 마취제 염산리도카인의 마취효과

  • 김병균;정의영;김용민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3.05a
    • /
    • pp.365-366
    • /
    • 2003
  • 주꾸미는 서해 연안 어족의 자원감소와 함께 어장 환경 악화에 의해 매년 생산량이 감소되고 있으며, 금후에는 양적 성장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어업인의 소득 감소가 예상되고 있다. 따라서 주꾸미의 생산량을 지속적이고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지금까지의 어선ㆍ어업에서 탈피하여 주꾸미의 인공 종묘생산 및 자원조성을 위한 종묘의 대량 방류가 필요하다. 주꾸미 종묘생산시 시료의 무게 측정, 표지작업, 인공채란, 수송 그리고 질병치료 등을 위해 주꾸미 유생을 그물망으로 포획하는 것은 유생에 물리적 손상과 스트레스를 주어 폐사의 1차 원인이 되기도 한다.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