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어업총조사

Search Result 57,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비계통어업생산통계조사 표본설계

  • Yeom, Jun-Geun;Lee, Hae-Yong;Han, Geun-Sik;Lee, Gi-S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tatistical Society Conference
    • /
    • 2002.11a
    • /
    • pp.27-33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2000년 어업총조사 결과를 토대로 전국의 어업별, 어종별 수산물의 비계통생산량에 관한 통계를 정도높게 산출할 수 있는 표본설계를 하고, 그에 따른 추정식을 마련함으로써 보다 편리하면서도 신뢰성이 높은 어종별 총생산량 통계를 산출하도록하였다. 본 설계에서는 가능한 한 기존의 설계에 비해 업무량이 크게 늘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효율적인 통계를 생산하는 것을 기본방향으로 하고 있으며 구체적인 방향들은 첫째, 조사 설계의 목적이 '비계통어업생산량'의 효율적인 추정인 만큼 각 어종들의 생산량 추정치의 정도를 높이는 것을 주목적으로 정하였다. 둘째, 조사대상 어종이 114종에 이르고 어종별 비계통생산량이 상이함으로 어종별 정도를 고려하면 거의 전수조사를 해야하는 실정이므로 해양수산부에서 요청한 주요 어종과 어류생산 어가가 많은 어류 등 41개 어로어업 어종과 11개 양식어업 어종의 생산총계가 정도높게 작성될 수 있도록 표본설계를 하였다. 셋째, 표본의 할당 및 추출은 조사원의 업무량의 범위를 크게 벗어나지 않도록 하였다.

  • PDF

A Sampling Design of the Non-consignment Fishery Products (수산물 비계통 생산량 조사를 위한 표본설계 연구)

  • 박진우
    •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 /
    • v.12 no.1
    • /
    • pp.1-15
    • /
    • 1999
  • 수산물 비계통 생산량 조사는 수산물 생산량 조사 중 어가부분에서 비계통 출하된 양에 대한 표본조사이다. 본연구는 1995년 어업 총조사 자료에 근거하여 새로운 표본 설계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표본은 층화 2단 집락 추출방식에 의해 추출되었으며 층화변수로는 어업조사구 내의 일반어류 어가 비율을 사용하였다.

어가경제조사를 위한 새로운 표본설계

  • Ryu, Je-Bok;Kim, Yeong-Won;Park, Jin-U
    • Proceedings of the Korean Statistical Society Conference
    • /
    • 2002.11a
    • /
    • pp.35-42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2000년 어업총조사에서 얻은 어가를 모집단으로 하여 어가경세조사를 위한 표본설계룰 하였다. 진체 어가를 전업 및 1종 겸업어가를 포함하는 부차모집단1과 2종 겸업어가로 구성된 부차모집단2로 구분하였다. 새로운 표본설계에서는 최적 집락크기를 구하고, 층화를 위해서 SAS Enterprise Miner에서 제공하고 있는 의사결정나무모형(Decision Tree Model)을 이용하였다. 층별 표본배정은 네이만 배정법을 사용하였고 두 가지 추정법을 제시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sample design of the fishery household economy survey (어가경제조사 표본설계에 관한 연구)

  • 김규성;전종우;박홍래
    •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 /
    • v.8 no.2
    • /
    • pp.43-54
    • /
    • 1995
  • The fishery household economy survey is a sample survey which produce estimates on the fishery household economy and fishery management in Korea. We propose a sample design for this survey. This design is developed based on results of 1990 fishery census and Shi-Do is assumed to be subpopulation for Shi-Do estimates. Samples are selected by stratified two-stage cluster sampling in Shi-Do and income function is found for stratification. Fishery household income is estimated by a linear estimator.

  • PDF

A Study on the Advanced Schemes on the Welfare Accommodation of Fishing Crew (어선원 복지공간 확보를 위한 어선 선진화 방안 추진 연구)

  • Kim, Kyung-Woo;Lee, Hee-Joon
    • Journal of Korea Ship Safrty Technology Authority
    • /
    • s.34
    • /
    • pp.2-17
    • /
    • 2013
  • 본 연구는 주력업종별 연 근해 어선원의 복지환경에 대한 실태조사 및 국내 외기준의 비교 분석하고 어선원 노동협약 및 일본 어선의 대형화취급방침을 고려하여 어선원 복지 공간 확보할 수 있는 시설기준(안)을 제시하고 시설기준(안) 적용을 통한 총톤수 증가량을 분석하여 "어업허가 및 신고 등에 관한 규칙" 등의 연근해 어업의 종류별 어업허가 상한톤수 개정(안)을 마련하였으며, 개정(안) 적용시 불법 건조를 방지할 수 있는 방안을 검토하여 제시하고자 하였다.

  • PDF

Forming Weighting Adjustment Cells for Unit-Nonresponse in Sample Surveys (표본조사에서 무응답 가중치 조정층 구성방법에 따른 효과)

  • Kim, Young-Won;Nam, Si-Ju
    • Communications for Statistical Applications and Methods
    • /
    • v.16 no.1
    • /
    • pp.103-113
    • /
    • 2009
  • Weighting is a common form of unit nonresponse adjustment in sample surveys where entire questionnaires are missing due to noncontact or refusal to participate. A common approach computes the response weight as the inverse of the response rate within adjustment cells based on covariate information. In this paper, we consider the efficiency and robustness of nonresponse weight adjustment bated on the response propensity and predictive mean. In the simulation study based on 2000 Fishry Census in Korea, the root mean squared errors for assessing the various ways of forming nonresponse adjustment cell s are investigated. The simulation result suggest that the most important feature of variables for inclusion in weighting adjustment is that they are predictive of survey outcomes. Though useful, prediction of the propensity to response is a secondary. Also the result suggest that adjustment cells based on joint classification by the response propensity and predictor of the outcomes is productive.

다중 주파수의 음향 자료와 가상 에코그램을 이용한 오징어 어군의 분리

  • 강돈혁;황두진;신형호;김용주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2.10a
    • /
    • pp.25-26
    • /
    • 2002
  • 살오징어(Japanese flying squid, Todarodes pacificus)는 우리나라 전역과 동중국해에서 채낚기, 대형선망, 안강망 어업을 통하여 년중 어획되고 있으며, 1995년 이후 년간 20만 톤 이상을 꾸준히 어획하는 중요 상업 어종 가운데 하나이다(국립수산과학원, 1999).오징어는 일본의 경우 총허용어획량(TAC) 대상 어종으로 자원의 일정한 관리를 위해 음향 조사를 이용한 자원량 파악을 실시하고 있지만 우리나라의 경우 아직 TAC어종에 포함되지 못하고 있다. (중략)

  • PDF

한국동해의 동물플랑크톤 장.단기 변동특성 II - 이.화학적 환경요인과의 관계 -

  • 오봉철;박정훈;성기탁;김복기;김안영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0.10a
    • /
    • pp.137-138
    • /
    • 2000
  • 동해는 면적이 약 100.8만$\textrm{km}^2$, 용적이 약169.8만㎦로, 수심은 최대 4049m (평균 수심 1700m)에 달하여, 한국에서는 유일하게 심해환경을 갖고 있는 해역이다. 특히 해수 용적으로는 남해와 서해를 합친 것보다도 10배 이상이나 된다. 1917년부터 동해의 해양조사가 시작되어, 1961년부터 현재까지 8개정선 총58개 정점에서 비교적 체계를 갖춘 조사가 이루어져 오기는 하였으나, 대부분 상층부에 국한된 조사로 중ㆍ심층을 대상으로 한 조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중략)

  • PDF

독도 연안의 봄철 어류상

  • 명정구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0.10a
    • /
    • pp.305-306
    • /
    • 2000
  • 독도는 울릉도에서 동남쪽으로 92km떨어진 곳으로 우리 나라에서는 가장 동쪽에 위치한 섬이다. 이 섬의 위도는 북위 37 $^{\circ}$14‘’, 동경 131 $^{\circ}$52‘’이며 총89개의 부속도와 암초로 구성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독도 수중 생태 조사의 일환으로 독도 주변 해역에 서식하는 어류상을 파악하고자 1999년 5월 12 - 15일 사이에 수중 다이빙을 통한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조사에 의해 확인된 어류 목록의 작성과 수중 생태에 대하여 보고하는 바이다.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