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어린이용 OPAC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8초

공공도서관 어린이용 OPAC 디스플레이의 특성에 관한 연구 (A Research on the Characteristics of Children's OPAC Displays in Public Libraries)

  • 윤정옥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25-53
    • /
    • 2007
  • 이 연구의 목적은 공공도서관 어린이용 OPAC 디스플레이의 기능성 및 그에 관련된 검색 인터페이스의 특성을 분석하고, 그 개선방안을 제안하는 것이다. 청주기적의도서관, 노원어린이도서관의 OPAC과 미국 로스앤젤레스 공공도서관과 핀란드의 HelMet어린이용 OPAC을 대상으로 간략 및 상세검색 화면의 구조. 간략 디스플레이 서지레코드의 간략 및 완전 디스플레이, 다수 검색 결과와 검색 실패 시 디스플레이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이들의 특성은 IFLA의 'OPAC 디스플레이 지침(초안)'에서 제시된 38개 권장사항 및 Nielsen의 '이용자 인터페이스 디자인 원칙'을 참조하여 검토하였다. 청주기적의도서관과 노원어린이도서관 OPAC 디스플레이가 어린이들의 요구와 행태를 특별히 반영하지 않은 한편. LAPL은 매우 단순하고 시각적인 특성을 지닌 어린이용 OPAC을 제공했으며, HelMet 어린이용 OPAC도 상당히 단순하고 어린이용으로 조정된 특성을 보여주었다.

우리나라 공공도서관 어린이용 OPAC 디스플레이의 분석 (An Analysis of Children's OPAC Displays in Public Libraries in Korea)

  • 윤정옥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317-343
    • /
    • 2006
  • 본 연구의 목적은 IFLA의 'OPAC 디스플레이 지침(초안)'에서 제시된 38개 권장사항들을 중심으로 어린이 도서관의 OPAC 디스플레이를 검토하여, 디스플레이에 반영되는 OPAC의 기능성 및 검색과 관련된 제 문제점을 분석하고 개선방안을 제안하는 것이다. 서울특별시립어린이도서관, 청주기적의 도서관, 및 용산도서관 어린이도서관의 OPAC을 중심으로 검색화면의 구조와 검색방법, 간략 디스플레이, 레코드 정렬, 용어 및 명칭의 적절성, 및 서지 레코드 완전 디스플레이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연구대상 도서관 OPAC은 어린이의 요구와 행태를 반영한 기능성과 디스플레이를 제공하지 않았고, KOLAS 시스템의 전형적인 일반용 OPAC의 특성을 다음과 같이 보여주었다: 간략검색의 지나친 복잡성, 상세검색의 불필요한 검색 및 제한 기능, 미작동 기능, 도움말의 부재, 간략 디스플레이 및 소장정보의 복잡성, 도서관 전문용어의 사용, 목록 화면의 복잡성 등.

  • PDF

어린이용 목록에 대한 공공도서관 사서의 인식 (Librarians' Perception of Kid's Catalog in Korean Public Libraries)

  • 노지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89-109
    • /
    • 2011
  • 이 연구는 다수의 어린이를 일상적으로 경험해 온 전문가의 관점을 통해 어린이의 목록 이용 과정에서 나타나는 문제점과 한계에 대해 고찰하고, 더불어 어린이용 목록의 개발에 도움이 되는 기초 데이터를 확보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번 연구에서 밝혀내고자 시도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서들이 관찰한 어린이의 정보탐색 과정은 어떠한 특징을 가지고 있을까? 둘째, 사서들은 어린이의 목록 이용과 목록 이용 과정에서 나타나는 장애 요인에 대해 어떠한 경험을 축적하여 왔는가? 셋째, 어린이 전용 목록의 개발에 대해 우리 공공도서관 사서들은 어떠한 기대를 가지고 있는가? 마지막으로, 어린이용 목록의 개발과 관련하여 당면한 향후 과제는 무엇인가? 등이다. 연구에 필요한 데이터는 공공도서관에서 어린이 서비스를 담당하는 사서 29명을 대상으로한 설문조사와 면담조사를 통해 확보하였다. 연구의 결과, 사서들은 현행 목록이 어린이의 수준에 적합하지 않다고 느끼고 있으며, 어린이의 정보요구와 탐색행태에 기초한 어린이 전용 목록의 개발을 절실히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