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어린이안전사고

Search Result 101,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Special Theme - 어린이 안전교육의 중요성과 방향

  • Gang, Gyeong-Hwa
    • The Safety technology
    • /
    • no.178
    • /
    • pp.6-10
    • /
    • 2012
  • 가을철은 기온이 선선해지면서 사람들의 활동량이 늘어나는 계절이다. 어린이들도 학교나 가정 등, 실내외 활동이 왕성해지면서 각종 안전사고에 노출되기 쉬워진다. 특히 어린이들은 주변 사물에 대한 호기심이 크고 활동량이 많은 특징을 가지고 있으나 주의력과 판단력 등 인지능력이 아직 성숙하지 못한 까닭에 위험에 대처하는 능력이 미숙하다. 띠라서 상시 안전사고 예방교육을 통해 어린이들에게 위험요소들에 대한 주의와 대처 능력을 키워주어야 한다. 어린이들의 활동량이 늘어나는 계절 10월, 이번호에서는 어린이 안전사고 예방 교육의 중요성과 각종 안전사고 사례, 예방과 응급처치 등에 대한 특집을 마련한다.

  • PDF

Potential Risk Factors Analysis for Children Traffic Accident Based on Rescue Operations and Emergency Medical Services Data (구조구급활동 데이터 기반 어린이 교통사고 잠재적 위험요소 분석)

  • Kim, Yoo Jung;Hwang, Woo-Suk;Pyo, Kyung-S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20.07a
    • /
    • pp.227-228
    • /
    • 2020
  • 어린이 교통관련 안전사고 잠재적 위험요인 및 개선요인을 도출하기 위해 119구조구급자료 중 6세부터 11세까지의 어린이 사고 자료를 분석하였다. 4개 광역지자체의 2014년부터 5년간 자료에 대한 사고내용을 전수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주요 사고 장소 및 시간대 분석 결과 어린이 교통사고는 하교시간 오후 시간대에 도로에서의 집중적 관리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어린이 교통사고 잠재적 위험요인을 분석한 결과 자동차와 자전거를 이외 탈 것에 관한 사고비율이 최근 높아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연간 교통사고 전체 건수에 대한 추이는 큰 변화는 없었으나 개인 탈것의 사고 증가는 뚜렷하였다. 그 중 킥보드에 대한 사고가 가장 많았고, 퍼스널 모빌리티가 가장 뚜렷한 증가 분야였다. 현재 어린이에게 적용되고 있는 퍼스널 모빌리티 등에 대한 안전가이드라인이나 규정 등은 미비하나 향후 퍼스널 모빌리티의 보급은 크게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향후 어린이 교통사고를 줄이기 위해서는 어린이가 개인 전동 이동수단 활용 시 안전에 대한 규정마련과 교육이 시급하다.

  • PDF

A Study on the Safety Improvement of Child Protected Zone (어린이 보호구역의 안전성 향상에 관한 연구)

  • Ju, Seokjun;Jeong, Myeongjin;Kwak, Cheol;Song, Taeseung;Cha, Juhee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
    • v.6 no.4
    • /
    • pp.139-147
    • /
    • 2020
  • The number of deaths from child traffic accidents in Korea is currently higher than the average figure of OECD members, and attention needs to be paid to reduce the school zone accident rate. According to the TAAS statistics of the Traffic Accident Analysis System, the number of deaths from traffic accidents in children (under 12 years of age) in Korea has been steadily decreasing recently, but the number of accidents and injuries has been continuously increasing and decreasing. With the number of accidents and injuries of children in Korea continuing to increase and decrease, the number of traffic accidents, deaths, and injuries of children in the school zone (under 12 years of age) has also been on the rise since 2019. Therefore, we were different from the preceding study (Study on Improvement through School Zone Accident Risk Survey, Study on Improvement of Children's Traffic Safety Facilities through Simulation Program). In order to prevent traffic accidents among school zones, which have the highest accident rate among children, a survey was conducted on traffic safety facilities and safety awareness of drivers. After that, we will analyze the problems and present measures for improving traffic safety in the school zone and improving drivers' safety awareness.

The Study on the Severity of Children Traffic Accident using Ordin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순서형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한 어린이 사고심각도 분석 연구)

  • Yoon, Byoung-Jo;Ko, Eun-Hyeck;Yang, Sung-R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6.11a
    • /
    • pp.259-260
    • /
    • 2016
  • 어린이의 경우 다른 연령층에 비해 신체적, 정신적으로 완성되지 못하여 교통사고의 가능성이 높으며, 특히 전국의 어린이 교통사고는 점진적으로 감소 추세이나 인천의 어린이 교통사고는 감소하다가 다시 증가 추세에 들어선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어린이 교통사고 심각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들을 발견하고 제시하고자 하였다. 순서형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활용하여 순서척도인 반응변수에 대한 설명변수의 오즈(Odds)를 확인하고자 하였으며 안전운전불이행, 차대사람(횡단중), 차대차(측면직각충돌)사고가 유의한 결과로 나타났다. 안전운전불이행으로 인한 사망사고와 기타사고의 오즈차이는 1.35배, 측면직각충돌로 인한 사망사고와 기타사고의 오즈차이는 1.76배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횡단중인 경우에는 오히려 사망 위험도의 오즈값이 0.58배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Design for Safety System get On or Off the Kindergarten Bus using User Authentication based on Deep-learning (딥러닝 기반의 사용자인증을 활용한 어린이 버스에서 안전한 승차 및 하차 시스템 설계)

  • Mun, Hyung-Jin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 /
    • v.10 no.5
    • /
    • pp.111-116
    • /
    • 2020
  • Recently, many safety accidents involving children shuttle buses take place. Without a teacher for help, a safety accident occurs when the driver can't see a child who is getting off in the blind spot of both frontside and backside. A deep learning-based smart mirror allows user authentication and provides various services. Especially, It can be a role of helper for children, and prevent accidents that can occur when drivers or assistant teachers do not see them. User authentication is carried out with children's face registered in advance. Safety accidents can be prevented by an approximate sensor and a camera in frontside and backside of the bus. This study suggests a way of checking out whether children are missed in the process of getting in and out of the bus, designs a system that reduce blind spots in the front and back of the vehicle, and builds a safety system that provide various services using GPS.

A Research of Elevator Door Sign design for children Based on Disaster prevention design (방재디자인 기반 엘리베이터에서의 어린이 손끼임 방지 주의표지 디자인 개발 연구)

  • Kim, jeong-a;Noh, hwang-woo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203-204
    • /
    • 2017
  • 엘리베이터에서의 어린이의 안전사고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으나 현재 사용되는 보호자 중심의 주의표지는 효과적인 사고의 예방이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방재디자인을 기반으로 엘리베이터에서의 어린이 손끼임 사고의 예방을 위하여 국내외 주의표지 디자인을 분석하고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적용하여 어린이 중심의 손끼임 방지 주의표지를 제안하였으며 대전 소재 어린이집의 어린이 34명을 대상으로 한 위험성 표시 평가를 통하여 선정된 어린이 중심의 주의표지는 엘리베이터에서의 어린이 손끼임 사고의 예방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 Study of the Physical Experience Using Serious Game Design Traffic Safety Education for Children applied using 3D Depth Gesture Recognition Technology (3차원 동작인식기술을 적용한 어린이 교통안전교육 체감형 기능성 게임디자인 연구)

  • Jang, Chang-Ik
    • Journal of Korea Game Society
    • /
    • v.12 no.6
    • /
    • pp.5-14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monstrate how three-dimensional gesture recognition technology, in children's traffic safety programs, can be an effective solution for instructing children in the safest ways to interact with traffic. In terms of traffic accidents, walking unaccompanied is the most dangerous traffic related activity for children. By using a three-dimensional serous game training program that implements gesture recognition, more accurate real life scenarios can be implemented in existing children's traffic training programs. The implementation of this technology will increase the possibility of changing the habits and attitudes of children, which in turn will lower the amount of walking related traffic accidents in children.

New Methodology about the Criteria for Appointing School Zones (어린이보호구역 지정 기준의 방법론 제시에 관한 연구)

  • Kim, Yo-Sep;Park, Je-Jin;Park, Kwang-Won;Park, Seong-Yong;Kim, Jeong-Hyu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6 no.5
    • /
    • pp.29-40
    • /
    • 2008
  • Police agency is indicated that the number of children's traffic accident is tending downwards, however about one child is dead every day due to traffic accident. Major parts of the accidents happen during walking; among the rest, jaywalking is the biggest reason. Many accidents take plate on the road to school or near the home so government legislate children safeguard zone at 1995. According to the legislation, drivers have to reduce speed and there are safety facilities for children at children safeguard zone. This study finds the problems of children safeguard zone and suggest more effective and quantitative method for children safeguard zone. Firstly this study grasps the characters of children's pattern movement and children's traffic accident at children safeguard zone and then divides specific danger factors of children's traffic accident at children safeguard zone. Secondly, each factor is given danger level depending on danger degree and suggests effective method for assignment standard of children safeguard zone using all of these thin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