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어린이급식소

검색결과 24건 처리시간 0.118초

어린이 급식소 조리종사자의 직무만족도 조사 -100인 미만의 어린이 급식소를 중심으로- (Job Satisfaction of Children Foodservice Employees at Daycare Centers)

  • 신혜원;최주희;이영화;조우균
    •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 /
    • 제21권3호
    • /
    • pp.241-252
    • /
    • 2015
  • The research was conducted by center for children's foodservice management in Hanam-si. In order to improve job satisfaction, a survey was carried out by working conditions and job satisfaction in children foodservice employees working at child daycare centers registered from January to April. Ninety-five surveys out of 120 were collected, and 76 surveys were analyzed. Job satisfaction consisted of four elements, working environment, welfare, human relationships, and job-itself, analyzed by general characteristics. Pearson's correlation was carried out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change job by Likert 5 scales using SPSS statistic program. The percentages of child daycare centers owned by civilians was 52.6%, high school education level was 65.8%, permanent workers was 68.4%, and less than 1 year of foodservice was 34.2%. Average scores of job satisfaction were as follows: working environment scored 20.6 out of 25 points, welfare scored 10.3 out of 15 points, human relationships scored 17.5 out of 20 points, and job-itself scored 13.2 out of 15 points. The lowest job satisfaction average was 'I get paid fairly regarding the working hours and the amount of work' with a score of 3.6 points. Job satisfaction based on facility type, age, education level, and working period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whereas hired status, numbers of foodservice children, and intention to change job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Hired statu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with welfare satisfaction (P<0.05). Numbers of children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with welfare and human relationship satisfaction (P<0.01, P<0.05). Intention to change job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with four elements of job satisfaction (P<0.05, P<0.01, P<0.01). In conclusion, to improve job satisfaction of children foodservice employees, working conditions and welfare satisfaction should be increased.

'몸에 좋으니 무조건'먹던시대 지나 영양 ㆍ기능성 고려한 제품선택 필요

  • 윤덕인
    • 우유
    • /
    • 통권62호가을호
    • /
    • pp.13-20
    • /
    • 1995
  • 우유는 건강한 소의 유미관에서 분비되는 것으로 초유는 포함되지 않으며 어린이의 발육과 성장에 필수적인 영양소가 풍부하게 포함되어 있는 완전식품으로, 그대로 마시거나, 소스 · 수프 · 육류요리 · 비스켓 · 케이크 등의 재료로 이용되며, 이 우유를 원료로 해서 버터 · 치즈 · 크림 · 발효유 · 아이스크림과 같은 유가공품 으로서도 널리 이용된다. 우리나라 식생활에서는 식품섭취영태는 당류의 섭취도가 높고, 단백질이나 칼슘급원식품의 섭취가 부족한 상태이므로 우유를 칼슘의 급원식품으로 한 사람이 매일 1컵 이상의 우유를 섭취하도록 권장하고 있다. 특히 성장기의 어린이를 위하여는 학교급식에서 싼 가격으로 우유를 먹을 수 있도록 배려하며 하루 3~4컵의 우유를 섭취할 것을 권장하고 있다. 이와 같은 시점에서 본고에서는 우유와 유가공품을 선택하여 먹고 마시는 경우에 그 식품 본래의 영양성분과 맛을 잃지 않고 섭취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과 보관할 때의 주의할 점과 언제 먹고 마시는 것이 효과를 증진할 수 있는지 등을 알아보고자 한다.

  • PDF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 직원의 업무만족, 직무만족, 조직몰입 및 이직의도 (Task Satisfaction,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sion of Center for Children's Foodservice Management Employees)

  • 박은혜;이영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12호
    • /
    • pp.1881-1894
    • /
    • 2015
  • 본 연구는 전국의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 중 총 30개 센터, 227명의 직원을 대상으로 2013년 12월 27일부터 2014년 1월 30까지 업무에 대한 만족도, 전반적 직무만족, 조직몰입, 이직의도를 조사하고 이들의 관계를 규명함으로써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 사업의 효과를 높이고 직원들의 직무만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으며,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어린이 대상 방문교육'의 업무만족도가 4.24점으로 가장 높았고, '재정관리' 업무만족도가 2.92점으로 가장 낮았다. 직무만족 조사도구의 타당도 분석을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총 9개의 요인이 도출되었다. 직원의 직무만족에 대한 응답 결과 전반적 직무만족의 전체 평균값은 3.45점으로 나타났고, '동료와의 관계' 요인이 평균 3.99점, '직무성취감' 요인이 평균 3.98점, '회원 어린이급식소와의 관계'가 평균 3.45점으로 높게 응답되었다. 직무만족이 가장 낮게 응답된 요인은 '보수'로 2.45점이었으며, '업무의 양' 요인도 2.66점으로 낮게 응답되었다. 직원의 조직몰입에 대한 응답 결과 조직몰입의 전체 평균값은 3.54점으로 이직의도의 전체 평균값은 3.07점으로 나타났다. 전반적 직무만족, 조직몰입, 이직의도에 영향을 끼치는 단면적 직무만족 요인 회귀분석 결과 전반적 직무만족, 조직몰입, 이직의도에 공통적으로 상사와의 관계, 직무성취감, 고용안정성 및 복리후생 요인이 유의적인 영향을 끼쳤다. 센터의 공통적인 대표 업무 6가지로 영양순회지도 업무, 위생 안전순회방문지도, 어린이 방문교육, 조리원 방문교육, 집합교육, 재정관리를 선정하여 업무만족도, 근무하는 센터의 개소시기, 직원의 직위와 직무만족, 조직몰입, 이직의도 간의 관계를 보기 위하여 6개의 모형의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6개의 모든 모형에서 업무만족도는 직무만족에 유의적인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조직몰입이 직무만족에 비해 이직의도에 직접적으로 더 강한 상관을 보였고, 직무만족과 이직의도 사이에 조직몰입이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업무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위생 안전순회방문지도 업무(업무만족도 3.88점), 어린이대상 방문교육 업무(4.24점), 조리원대상 방문교육 업무(3.80점)는 경로모형에서 업무만족도가 직무만족도와 조직몰입에 유의적인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타 업무에 비해 업무만족도가 4.24점으로 확연히 높게 응답된 어린이대상 방문교육 업무의 경우 업무만족도가 이직의도에도 유의적으로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나, 업무만족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업무만족도가 낮은 업무를 수행하는 직원을 대상으로 업무가 센터 업무 수행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함을 상기시킴으로써 조직몰입을 높이거나 업무만족이 낮은 업무와 높은 업무를 센터의 상황에 맞게 적절히 혼합하여 업무를 배정하는 방법을 통해 업무만족도를 높이는 방안을 찾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직무만족이 조직몰입과 이직의도 모두에 유의적인 영향을 끼치므로 직무만족에 유의적인 영향을 끼치는 '상사와의 관계', '담당기관과의 관계', '직무성취감', '고용안정성 및 복리후생' 요인에 해당하는 직무환경을 개선하여 최종적으로 이직의도를 감소시키고 센터에 필요한 유능한 인재를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 등록 시설 국물음식의 염도 모니터링 (Salinity Monitoring of Soups of The Institutions Enrolled at Center for Children's Foodservice Management)

  • 박현내;김순미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507-516
    • /
    • 2016
  • 본 연구는 지속적인 염도 관리의 교육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강동구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에 등록된 21인 이상의 어린이집에서 제공되는 국물음식의 염도를 모니터링 하였으며, 그 결과는 아래와 같다. 1. 모니터링을 실시한 시설은 1차 102개소, 2차 76개소, 3차 78개소이며, 맑은 장국, 된장국, 곰국, 찌개, 기타로 구분한 국물음식의 평균 염도는 1차(0.45%), 2차(0.41%), 3차(0.39%)로 진행됨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1). 2. 어린이집 유형에 따른 염도는 국공립어린이집의 경우, 1차 0.43%, 2차 0.35%, 3차 0.38%로 유의적인 감소를 나타내지는 않았으나, 민간어린이집은 1차 0.46%, 2차 0.43%, 3차 0.39%로 모니터링을 진행할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p<0.01). 3. 집단급식소 등록 여부에 따라 급식 인원 50인 이상의 대규모 급식소와 50인 미만의 소규모 급식소의 염도를 비교한 결과, 대규모 급식소의 국물음식의 평균 염도가 낮았으나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모두 1차에 비해 3차의 평균 염도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4. 3차에 걸친 모니터링 시 어린이집에서 제공한 국물음식의 횟수는 총 256회였으며, 이 중 맑은 장국이 139회로 가장 많이 제공되었고, 된장국이 76회, 기타(들깻국, 수제비 등) 24회, 찌개 9회, 곰국 8회 순서로 나타났다. 5. 국물음식의 종류별 염도는 곰국을 제외하고는 맑은 장국, 된장국, 찌개 모두 1차에서 3차로 진행될수록 염도가 감소하였으나, 국의 종류 및 모니터링 차수에 따른 염도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그러나 동일한 국물음식 간에도 염도의 차이가 매우 커서 개별 국물음식의 최소치와 최대치의 차이는 1차의 경우 달걀국이 0.62%, 2차는 감잣국이 0.54%, 3차는 양송이국이 0.64%를 나타냈다. 본 연구 결과, 지속적인 염도 모니터링 진행을 통해 어린이집 국물음식의 염도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나, 센터에서 진행하는 교육의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영유아 급식시설에서의 국물음식의 염도 기준은 명확하게 제시되어 있지 않으나,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는 성인의 경우 0.6% 이하, 영유아 급식시설에서는 이보다 더 낮은 0.5% 이하로 관리하도록 권고하고 있다. 그러나 적정 염도는 음식의 종류에 따라 다르므로 영유아를 위한 주요 나트륨 급원 메뉴의 적정 염도범위를 설정할 필요가 있다. 또한 본 연구에서 3차에 걸쳐 조사된 국물음식의 전체 염도 평균치는 모두 0.5% 미만으로 적절한 범위에서 관리하고 있었으나, 개별 국물음식의 염도는 매우 큰 차이를 나타내었다. 영유아는 미각이 형성되는 시기이며, 염도는 음식에 대한 기호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국물음식의 염도는 일정한 범위 내에서 관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추후 최고 염도뿐만 아니라, 음식의 맛과 건강을 함께 고려하는 최저 염도에 대한 논의도 함께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기능성 식이섬유 소재의 생산기술

  • 김종태
    • 한국식품영양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품영양학회 2000년도 춘계학술심포지엄
    • /
    • pp.5-7
    • /
    • 2000
  • 국내에서의 식이섬유의 이용은 대부분 저분자량의 수용성 식이섬유를 이용한 음료형태가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밀기울, 귀리, 옥수수 껍질 등으로 부터 얻는 불용성 식이섬유는 제과 및 제빵등에 이용되어 오고 있다. 수용성 식이섬유는 혈중 콜레스테롤을 저하시키며, 불용성 식이섬유는 변비예방과 장기능 증진효과가 탁월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므로, 대장암과 변비같은 장질환 환자가 날로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국내산 미이용 자원으로부터 불용성 식이섬유의 기능성 향상과 활용기술을 개발하는 것은 식품산업적 가치가 크다고 할 수 있다. 또한, 국내에서 소비되고 있는 폴리덱스트로스와 올리고당과 같은 기능성 당류의 대부분이 외국에서 수입하여 국내에 보급되고 있기 때문에 큰 외화지출이 되고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국내산 미곡 부산물인 밀기울 식이섬유 세포벽의 불용성 구조를 수용성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변형기술과 얻어진 수용성 식이섬유 소재의 특성을 소개하고자 한다. 즉, 밀기울 세포벽의 수용화를 위한 가공처리는 압출성형 공정에 의하여 실시하였으며, 수용화가 수반되는 압출성형 조건에 따른 식이섬유 소재의 이화학적 특성과 수용화가 일어난 세포벽 성분의 분해기작에 대한 연구결과를 정리하였다. 그리고, 현행 올리고당과 식이섬유의 산업적 생산공정에서 문제점으로 대두되고 있는 효소처리, 산성하에서의 감압가열, 고점도 원료물질의 이송, 생물공학적 공정제어, 반응시간, 잔여 효소의 불활성화 및 재활용, 제조원가 상승 등과 같은 것을 해결하거나 개선할 수 있는 효율적인 압출반응공정의 조건과 생산된 소재 glucooligosaccharide, fructooligosaccharide, galactooligosaccharide 등의 특성에 대하여 논하여 보기로 한다.경우가 많지 않다. 또한 그 발생 경위나 원인요소에 대해서는 일반에게 공개되지 않고 있어, 우리가 실천하여 식중독을 예방할 수 있는 정보가 함께 제시되지 못하는 형편이다. 따라서 본 고에서는 최근 수년간 외국에서 학교급식을 비롯한 집단급식 등에서 발생한 식중독 사례를 중심으로 고찰, 분석하였다. 이로부터 식중독 발생에 기여한 주요 원인을 찾아내고 여기서 얻어지는 교훈을 토대로 식중독 발생을 예방 및 최소화할 수 있는 실천적 대처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중의 E. coli O157:H7이 연관되어있다는 보고도 있다. 목장 방문시 원유를 마신 어린이에서 HUS가 유발하였고, 균분리 결과, 농장의 소와 어린이에서 유사한 E. coli O157:H7이 분리된 바 있다. 본 연자들은 베로톡신 유형, plasmid profiles, RFLP 분석, phage type을 기초로하여 소에서 분리된 E. coli O157:H7이 사람유래주와 매우 유사함을 확인하였다.mm 및 2-6mm 난포에서의 101개(67.8%) 및 47개(50.0%) 보다 매우 낮게 나타났다. 전체 회수 난포란수도 4등급이 59.1%(149/252)로써 1, 2, 3등급의 0.4% (1/252), 7.6%(19/252) 및 32.9%(83/252)보다 높게 나타났다. 1회 평균 회수 난포란은 $\leq$2mm 난포에서 4.8$\pm$3.7개로써 2-6mm(3.0$\pm$3.4개) 및 $\geq$6mm (0.3$\pm$0.6개)보다 높았으며, 1회당 평균 8.1$\pm$5.1개의 난포란을 회수하였다. investigation can be separated into sa

  • PDF

키토산 및 키토산올리고당 의생리 활성 기능

  • 박헌국
    • 한국식품영양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품영양학회 1999년도 학술심포지움 자료집
    • /
    • pp.39-57
    • /
    • 1999
  • Chitin은 새우나 게 등을 비롯한 해산 갑각류의 가공 폐기물로 버려지는 부패, 악취발생 등의 환경공해를 일으키며 처리비용 등 여러 가지 문제를 야기하던 물질이지만 최근에는 부가가치가 높은 chitosan 및 chitooligosaccarides로 가공되기 때문에 폐기물의 자원화와 미이용 자원의 개발 등 여러 가지 측면에서 기대가 모아지고 있는 다당류이다. 더욱이 chitin의 탈아세틸화로 얻어지는 chitosan은 polycation의 성질을 가지고 있어서 현재 응집제로서 각종 공업 분야에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그 외에도 다양한 생리적 기능성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의료, 생호학, 화장품, 식품, 화학 공업 및 농업용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 가능한 신소재로서 기대가 높아지고 있다. 그런, chitosan은 생리적 기능은 우수하지만 물에 용해되지 않고 점도가 높으며 떫은맛이 나기 때문에 식품을 비롯한 기타 응용분야에 이용이 제한되고 있다. 따라서 많은 연구자들은 이와 같은 물리적인 장애를 개선함으로써 chitosan 자체가 갖는 우수한 생리적 기능을 이용할 뿐만 아니라 항종양성을 비롯한 새로운 생리적 기능을 갖는 chitosan 유도체의 개발을 시도하고 있다. Chitosan 유도체 중에서도 chitooligosaccharides는 chitosan의 가수분해로 얻어지는 저분자 화합물이므로 물에 잘 용해도며 점도가 낮고 용액이 단맛을 낼뿐만 아니라 chitosan이 갖지 않는 새로운 생리적 기능성을 갖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관심이 집중되기 시작하였다. 본고에서는 chitosan과 chitooligosaccarides의 생리 활성 기능에 대한 지금까지의 연구결과를 소개하고자 한다.에 대한 면밀한 사안이 밝혀지는 경우가 많지 않다. 또한 그 발생 경위나 원인요소에 대해서는 일반에게 공개되지 않고 있어, 우리가 실천하여 식중독을 예방할 수 있는 정보가 함께 제시되지 못하는 형편이다. 따라서 본 고에서는 최근 수년간 외국에서 학교급식을 비롯한 집단급식 등에서 발생한 식중독 사례를 중심으로 고찰, 분석하였다. 이로부터 식중독 발생에 기여한 주요 원인을 찾아내고 여기서 얻어지는 교훈을 토대로 식중독 발생을 예방 및 최소화할 수 있는 실천적 대처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중의 E. coli O157:H7이 연관되어있다는 보고도 있다. 목장 방문시 원유를 마신 어린이에서 HUS가 유발하였고, 균분리 결과, 농장의 소와 어린이에서 유사한 E. coli O157:H7이 분리된 바 있다. 본 연자들은 베로톡신 유형, plasmid profiles, RFLP 분석, phage type을 기초로하여 소에서 분리된 E. coli O157:H7이 사람유래주와 매우 유사함을 확인하였다.mm 및 2-6mm 난포에서의 101개(67.8%) 및 47개(50.0%) 보다 매우 낮게 나타났다. 전체 회수 난포란수도 4등급이 59.1%(149/252)로써 1, 2, 3등급의 0.4% (1/252), 7.6%(19/252) 및 32.9%(83/252)보다 높게 나타났다. 1회 평균 회수 난포란은 $\leq$2mm 난포에서 4.8$\pm$3.7개로써 2-6mm(3.0$\pm$3.4개) 및 $\geq$6mm (0.3$\pm$0.6개)보다 높았으며, 1회당 평균 8.1$\pm$5.1개의 난포란을 회수하였다. in

  • PDF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의 위생교육 프로그램이 영유아 보육교사의 배식위생 수행도 및 영유아 급식소 배식환경 개선에 미치는 효과 -대전 동구, 중구 지역을 중심으로- (Effects of an Education Program on Sanitation Status at Centers for Children's Food Service Management - Focusing on Jung-gu and Dong-gu regions of Daejeon Metropolitan City -)

  • 서유진;전민선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447-459
    • /
    • 2015
  •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assess the improvement of teachers' sanitation performance and food distribution environment at Centers for children's food service management after a sanitation education program. Methods: The subjects were 119 teachers working at child care centers registered in the Daejeon Center for Children's Foodservice Management in Dongu and Jung-gu, Daejeon. The sanitation education was provided three times from March to August in 2014, and the survey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before and after the education. The sanitation status of food service environment of the centers was examined by ATP(adenosine-5'-triphosphate) bioluminescence. Results: After the sanitation education, the teachers showed higher levels of sanitation knowledge. Also, sanitation performance and recognition level of the importance of it significantly improved after the education program. The mean variation scores of importance and performance after the education were 0.14 and 0.23. According to the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 results of 26 sanitation attributes about the food service environment, the selection attributes with relatively low performance and importance were mostly distributed in the children's and distributer's personal hygiene management area. However, all attributes except using a personal water bottle and cup were moved to high performance and importance level. Also, the ATP examination results showed that the sanitation status of the food service environment was improved after the education program. Conclusions: The sanitation education program was effective in improving the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sanitation and its performance with regard to food service management.

학부모와 어린이급식소 교직원의 전통간식에 대한 인식연구 -대전·충남·세종지역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Recognition of Korean Traditional Snacks of Parents and Teachers at Children's Foodservice Facilities in Daejeon, Chungnam and Sejong)

  • 유주희;윤혜려
    •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 /
    • 제26권2호
    • /
    • pp.101-115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crease the utilization of traditional snacks in the Daejeon, Chungnam and Sejong regions by investigating the awareness of traditional snacks by parents and teachers of Children's foodservice facilities. The survey method was a self-monitored survey, and 576 people (298 parents, 278 teachers)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es. 66.4% of parents believed that the snacks provided at facilities are nutritious, and that traditional snacks are rich in nutrition but difficult to cook (66.1%). Further, 77% of parents preferred traditional snacks, and 92% thought that traditional snacks should be passed on to future generations and continuously developed. Increasing the number of stores selling traditional snacks (41%) and a generalized awareness of traditional snacks (34%) are needed to expand the use consumption of traditional snacks. For teachers of Children's foodservice facilities, 92.8% said that the number of snacks provided per day was twice, and snacks were made and served more than twice a week (77.7%). The reasons for not making these traditional snacksit more often were the long cooking time (47.1%) and lack of labor (20.5%).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s of traditional snacks among the types of children's foodservice facilities, but the private and public facilities showed a higher usage demand than the family type foodservice facilities for of traditional snack-focused food education programs. In order to increase the utilization of traditional snacks, it is necessary to create programs according to the facility types and to develop traditional snacks to meet the needs of consum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instructions and programs for increasing the consumption of traditional snacks at children's foodservice facilities.

어린이 급식소 특성에 따른 위생·안전관리 수행도 비교 (A Comparison of Hygiene and Safety Management Execution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Children's Food Service Facilities)

  • 이진용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573-582
    • /
    • 2016
  • The objectiv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compare the execution of hygiene and safety management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children's food service stations, with the ultimate objective of providing sanitary and safe food service to children. To this end, the study conducted surveys of 73 public and private pre-schools with fewer than 100 children in district A from July 30 to October 31 2015. The differences were evaluated by t-test and analysis of variance. The confidence and validity of the results were analyzed by six food ingredient and facilities management questions, three personal hygiene and facilities management questions, four environmental management questions, and five storage and treatment management questions; for a total of 18 questions. The cumulative distribution of the four factors was 61.569%, and the Cronbach's alpha was 0.821, which indicated that the results were reliable. The results revealed that public pre-schools (a) and home-based pre-schools (b) had different levels of food ingredient and facility management, but no differences in the number of cooks, number of children served, type of food distribution, and the existence of mass food service facilities. The results of the study may be used to develop hygiene and safety management manual and educational contents to promote the health of the children served.

부천시 어린이 급식소 맞춤형 위생 관리 매뉴얼 개발 및 효과 평가 (Development of Customized Hygiene Management Manual for Bucheon Children Meal Supply Organization and Evaluation of Effects)

  • 조신호;배미애;이현선;박소현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275-282
    • /
    • 2014
  • This study developed Bucheon customized children meal hygiene central control point (CCP) to promote practical hygiene and safety management in a children meal supply organization in Bucheon. Education was administered to 54 organizations using the developed CCP, and the study evaluated kitchen hygiene management improvement effects. When the effects of hygiene education in eight categories (CCP 1~8) were examined, total scores increased by 9.31 from $22.36{\pm}5.039$ before education to $31.67{\pm}3.262$ with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0.001). After CCP education, personal hygiene management, food material management, cooking management, serving management, facility and equipment management improved significantly. The result demonstrates that CCP education was effective for kitchen hygiene management. Using CCP education, overall CCP education items were significantly improved, but there was almost no significant increase in the non-relevant item of CCP education. As there was an average difference in the non-relevant item of CCP education after follow-up evaluation, CCP education had an overall effect on hygiene and safety improvement. Based on the above result, the effect could be potentiated if CCP is complemented, if a systematic hygiene management manual is developed for the nationwide children meal supply organization, and if CCP education media is continually developed along with edu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