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어깨뼈

검색결과 50건 처리시간 0.025초

어깨뼈 안정화운동과 등뼈관절가동술이 어깨뼈 기능이상이 있는 성인의 어깨 기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capular Stabilization Exercise and Thoracic Joint Mobilization on the Scapular Function in Adults with Scapular Dysfunction)

  • 이상빈
    • 산업융합연구
    • /
    • 제19권3호
    • /
    • pp.83-90
    • /
    • 2021
  • 본 연구는 어깨뼈 기능이상이 있는 사무직원에 대해 어깨뼈 안정화 운동과 등뼈관절가동술을 시행한 후 어깨뼈의 위치와 움직임 및 어깨기능장애지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행되었다. 연구 대상자는 충남의 N대학에서 근무하는 사무직원 중에서 어깨뼈 기능이상 검사(Scapular Dyskinesis Test, SDT)를 하여 이에 해당되는 42명을 연구 대상자로, A그룹은 어깨뼈 안정화운동 적용군(N=14), B그룹은 등뼈관절가동술 적용군(N=14), 그리고 C그룹은 어깨뼈 안정화운동과 등뼈관절가동술을 결합한 실험군(N=14)으로 나누었다. 각 중재는 4주간 주 3회, 회당 25분씩 총 12회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어깨뼈 위치 변화의 그룹 간 비교에서는 C그룹이 다른 그룹에 비해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어깨뼈 움직임의 변화에서 위팔뼈 벌림 45°에서는 C그룹이 다른 그룹과 비교하여 그룹 내 및 그룹 간 비교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1). 벌림 90°에서도 C그룹이 그룹 내 및 그룹 간 비교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어깨기능장애지수(Shoulder pain and disability index, SPADI)에서는 C그룹이 다른 그룹에 비해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본 연구의 결과, 어꺠뼈 안정화운동과 등뼈관절가동술의 결합은 어깨뼈 기능이상이 있는 사무직원의 어깨뼈 위치와 움직임 그리고, 상지기능장애지수의 향상에 유의한 효과가 있었다.

테니스 플랫서브시 키네시올로지 테이핑 적용에 따른 어깨뼈의 운동학적 분석 (Kinematic analysis of scapular movements during flat first serve depending on tape application)

  • 김태규;최호경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9호
    • /
    • pp.325-332
    • /
    • 2020
  • 본 연구는 대학 테니스 선수를 대상으로 플랫서브 동안 어깨관절 충돌 증후군 유무에 따른 어깨뼈 움직임의 차이를 분석하고 어깨뼈 움직임을 조절하는 키네시올로지 테이핑 적용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K대학교에서 훈련 중인 15명의 엘리트 테니스 선수를 어깨관절 충돌 증후군(SIS)집단 7명(남자 3명, 여자 4명)과 대조(CON)집단 8명(남자 5명, 여자 3명)으로 분류하였고, 3차원 영상분석을 통해 플랫서브 동안 어깨뼈 움직임을 분석하였으며, 키네시올로지 테이핑 적용 후 어깨뼈 움직임을 재분석하였다. 플랫서브는 5개의 이벤트로 구분하였고, 어깨뼈의 아래쪽(+)/위쪽(-) 돌림, 뒤쪽(+)/앞쪽(-) 기울임 및 안쪽(+)/가쪽(-) 돌림을 수치화하였다. 그 결과, 남자선수의 경우 위팔뼈가 최대 가쪽돌림이 되는 지점과 임팩트 순간에서 SIS집단의 어깨뼈(각각 -7.31±1.19°와 -5.28±1.08°)가 CON집단(각각 -0.98±5.38°와 -0.44±3.52°)에 비해 앞쪽으로 더 기울어져 있었고(각각 Z=-2.309, p=.021와 Z=-2.309, p=.021), 여자선수의 경우 위팔뼈가 최대 가쪽돌림이 되는 지점에서 SIS집단의 어깨뼈(-8.11±2.57°)가 CON집단(-0.97±3.31°)에 비해 앞쪽으로 더 기울어져 있었으나(Z=-2.121, p=.034), 테이핑 적용에 따른 어깨뼈 움직임의 긍정적인 변화는 보이지 않았다.

몸통교정테이핑 융합치료가 뇌졸중환자의 몸통 근활성도 및 안정성, 팔 기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trunk correction taping on trunk muscle activity and stability, upper extremity function in stroke patients)

  • 박신준;조균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2호
    • /
    • pp.411-419
    • /
    • 2017
  • 본 연구는 어깨뼈 설정 운동과 몸통 교정 테이핑 융합이 뇌졸중 환자의 몸통 근활성도, 몸통 균형 및 팔 기능개선에 효과적인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뇌졸중환자 20명을 연구군(테이핑+어깨뼈 설정) 10명과 대조군(어깨뼈 설정) 10명으로 나눈 뒤 4주간 주당 30분의 중재를 실시하였다. 연구군은 몸통 교정 테이핑을 적용받았고 동시에 어깨뼈 설정운동을 받았다. 측정은 몸통 근활성도, 몸통손상척도(Korean version Trunk Impairment Scale, K-TIS), 팔 기능검사 (Manual Function Test of upper extremity, MFT)를 실시하였다. 중재 전 후 연구군에서 몸통 근활성도, K-TIS, MFT 점수에 유의한 증가를 보였고(P<.05), 대조군 보다 K-TIS와 MFT 점수에 유의한 개선을 보였다(P<.05). 본 연구를 통해 어깨뼈 설정 단일 운동 보다 몸통 교정테이핑 융합 적용이 뇌졸중 환자의 몸통 근활성도, 몸통 균형 및 팔 기능개선에 더욱 효과적인 것을 알 수 있었다. 향후 연구에서 개별 근수축 개시시간(onset time)에 관한 변화를 확인한다면 더욱 임상적 의의가 있겠다.

근전도 바이오피드백을 적용한 어깨뼈 동적 안정화운동이 위등세모근, 큰가슴근 및 앞톱니근 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capular Dynamic Stabilization Exercise Applying EMG Biofeedback on Upper Trapezius, Pectoralis Major and Serratus Anterior Activities)

  • 윤삼원;강종호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7권4호
    • /
    • pp.159-164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근전도 바이오피드백을 적용한 어깨뼈 동적 안정화운동이 위등세모근, 큰가슴근 및 앞톱니근 활성도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었다. 건강한 성인 남성 15명이 연구에 자발적으로 참여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대응표본 t-검정 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근전도 바이오피드백 적용 시 위등세모근과 큰가슴근의 활성도가 유의하게 감소하였고(p<0.01), 앞톱니근의 활성도는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1). 이를 통해 근전도 바이오피드백을 적용한 어깨뼈 동적 안정화 운동이 선택적으로 앞톱니근의 활성도를 증가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어깨뼈 동적 안정화 운동에 근전도 바이오피드백을 적용한 첫 연구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여겨진다.

어깨뼈 후전사방향촬영에서 Tube 각도와 환자의 회전각도 관한 연구 (A Study of Tube Angle and Patient's Rotation Angle in Scapular Y View)

  • 안병주;이준행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7권4호
    • /
    • pp.271-275
    • /
    • 2013
  • 어깨뼈 검사는 일상생활, 스포츠 활동 시에 어깨관절의 후측부나, 후외측부에 강한 외력이 가해서 발생하는 직접외상에 의한 경우와 상완부에 주로 외전, 신전, 외회전력이 가해져 어깨관절 탈구 등 병변의 유무를 관찰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어깨관절 후전사방향촬영(shoulder PA oblique projection, scapula Y-view)의 촬영각도에 따른 영상의 왜곡을 방지하고 방사선학적 진단에 가장 유용한 촬영 각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어깨뼈체부와 봉우리(acromion) 및 부리돌기(coracoid process)는 Y자를 이루게 되는데 $10^{\circ}$에서는 어깨뼈와 봉우리사이의 각도가 협착되어 나타나고, $20^{\circ}{\sim}25^{\circ}$에서는 Y자에 위팔뼈머리가 겹쳐 보이며, 어깨관절과의 위치도 적절해 보였다. $35^{\circ}$에서는 위팔뼈머리가 Y자에 겹쳐 보이지만, 위팔뼈머리와 어깨관절이 왜곡되어 보였다. 환자체위는 $45^{\circ}$ 거상시킬 때 가장 적합한 측면상을 관찰되며, 봉우리(acromion) 및 부리돌기(coracoid process)도 Y 자를 이루었다.

봉우리밑충돌증후군 환자의 날개 어깨뼈 평가에 대한 신뢰도 검사 및 날개 어깨뼈와 어깨뼈 안정성에 대한 상관성 연구 (Reliability Test for Winged Scapula and Correlation between Winged Scapula and Scapular Stability in Patients with Subacromial Impingement Syndrome)

  • 김영훈;김태규;김수용
    • PNF and Movement
    • /
    • 제20권3호
    • /
    • pp.399-408
    • /
    • 2022
  •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ifferences in winged scapula between the symptomatic side and asymptomatic side, the reliability of the winged scapula test, and the correlation between winged scapula and the stability of the scapula in patients with subacromial impingement syndrome. Methods: Twenty-four patients with unilateral subacromial impingement syndrome participated in this study. Winged scapula was compared between the symptomatic and asymptomatic sides using a scapulometer. The reliability of the scapulometer was assessed by calculating the 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 (ICC), standard error of measurement (SEM), and minimal clinically important difference (MCID). The correlation between winged scapula and the results of the upper quarter Y-balance test were also obtained. Conclusion: Winged scapula was significantly greater on the symptomatic side compared with the asymptomatic side (p < 0.05). High to excellent ICCs were obtained for the winged scapula test, and SEM and MCID values were obtained for winged scapula (SEM: 0.2-0.3 cm, MCID: 0.6-0.8 cm); however, winged scapula and the results of the upper quarter Y-balance test were not correlated. Conclusion: The scapulometer is useful for measuring winged scapula in patients with subacromial impingement syndrome.

수동적 어깨뼈 자세 교정 전략과 능동적 어깨뼈 뒤쪽 기울임 전략이 어깨뼈 주변근육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assive Scapular Postural Correction and Active Scapular Posterior Tilt Strategies on Peri-scapular Muscle Activation)

  • 강민혁
    • PNF and Movement
    • /
    • 제20권2호
    • /
    • pp.215-222
    • /
    • 2022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effects of passive scapular upward rotation and posterior tilt and active scapular posterior tilt on the muscle activity of the upper trapezius (UT), lower trapezius (LT), and serratus anterior (SA). Methods: Fifteen healthy subjects performed general arm elevation, arm elevation with passive scapular upward rotation and posterior tilt, and arm elevation with active scapular posterior tilt. For active scapular posterior tilt, the subjects were trained in this movement using visual biofeedback and a motion sensor. During each arm elevation condition, electromyography was used to measure the muscle activity of the UT, LT, and SA. The measured data were analyzed using a one-way repeated ANOVA. Results: LT muscle activity was significantly increased during arm elevation with active scapular posterior tilt compared to both general arm elevation and arm elevation with passive scapular upward rotation and posterior tilt (p < 0.05). SA muscle activity was greater during arm elevation with passive scapular upward rotation and posterior tilt than during general arm elevation (p < 0.05).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in UT muscle activity among the tested arm elevation conditions (p > 0.05). Conclusion: Performing arm elevation with active scapular posterior tilt and performing arm elevation with passive scapular upward rotation and posterior tilt may be useful strategies for increasing muscle activation of the LT and SA, respectively.

어깨뼈 아래쪽돌림 증후군이 있는 대상자에게서 둥근어깨각, 어깨뼈 아래 돌림비율과 아래등세모근 근력과의 상관관계 (The Correlation between Rounded Shoulder Angle, Scapular Downward Rotation Ratio and Lower Trapezius Muscle Strength in Subjects with Scapular Downward Rotation Syndrome)

  • 고은경
    • 대한물리치료과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14-22
    • /
    • 2023
  • Background: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capular downward rotation ratio (SDRR), lower trapezius (LT) muscle, and rounded shoulder angle (RSA) on each side in subjects with scapular downward rotation syndrome (SDRS). Design: Cross-sectional Study Methods: Fifteen subjects have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RSA and SDRR were assessed using a tape measure in standing posture. The RSA was computed by the angle made by two lines: one was the distance between the root of the scapula and the acromion, and the other was the distance between the acromion and the horizontal line in the root of the scapula. The SDRR was computed by two horizontal lines: one was the distance between the mid-line and root of the scapula, and the other was the distance between the mid-line and inferior angle of the scapula. LT muscle strength was performed in a prone position by the hand-held dynamometer. Results: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DRR and LT strength in the less affected sides (r=.59; p=.02), however,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RSA and LT strength in the more affected sides (p>.05).

X-ray 영상에서 개선된 허프 변환을 이용한 척추만곡도 측정 (Measurement of Spinal Curvature by Using Enhanced Hough Transform on X-ray Imaging)

  • 정향수;김광백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8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360-362
    • /
    • 2018
  • 본 논문에서는 X-ray 영상에서 척추 영역을 추출 및 분석하여 척추만곡도를 자동으로 측정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은 X-ray 영상에서 어깨뼈와 골반뼈 등과 같이 필요 없는 영역을 제거한 ROI(Region of Interest) 영역을 추출하고, 추출된 ROI 영역에서 척추 에지를 검출하기 위해 가우시안-라플라시안(Laplacian of Gaussian) 필터를 적용하여 척추 에지를 검출한다. 추출된 척추 영역을 척추의 Apex를 기준으로 Above Apex와 Below Apex 영역으로 구분하고 허프 변환(Hough Transform) 기법을 적용하여 두 영역에 대한 ($r,{\theta}$) 허프 공간을 구한다. ($r,{\theta}$) 허프 공간에서 척추만곡도 측정에 필요한 수평 직선만을 검출하기 위하여 수직 직선을 나타내는 교점들의 영역을 제거하여 척추만곡도 측정에 필요한 영역을 추출한다. 제안된 척추 추출 방법을 다양한 X-ray 영상을 대상으로 실험한 결과, 전문의가 척추만곡도를 효과적으로 측정하고 분석할 수 있는 척추 영역이 추출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운동면과 어깨 관절 굽힘 각도가 어깨뼈 내밈 운동 시 어깨뼈 위쪽 돌림근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ovement Plane and Shoulder Flexion Angle on Scapular Upward Rotator During Scapular Protraction Exercise)

  • 정성대;원종혁;정도영
    • 대한물리의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41-48
    • /
    • 2013
  • PURPOSE: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the plane of movement (sagittal plane vs. scapular plane) and shoulder flexion angle ($90^{\circ}$ vs. $130^{circ}$) during scapular protraction exercises in healthy subjects by investigating the elecromyographic (EMG) activities of the serratus anterior (SA), upper trapezius (UT), and pectoralis major (PM). METHODS: Twenty-one healthy subjec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Subjects performed maximal scapular protraction at the $90^{\circ}$ or $130^{\circ}$ shoulder flexion angles in the sagittal or scapular planes. Surface EMG was recorded from the SA and UT, and PM muscles. Dependent variables were examined by 2 (plane) ${\times}$ 2 (angle) repeated measures of analysis of variance (ANOVA). RESULTS: Significantly increased EMG activities in the SA and UT were found during scapular protraction exercise at the $130^{\circ}$ shoulder flexion angle in the sagittal and scapular plane. Also, EMG activity of the PM significantly decreased at the $130^{\circ}$ shoulder flexion angle in the sagittal plane and the $90^{\circ}$ and $130^{\circ}$ shoulder flexion in the scapular plane. CONCLUSION: we recommend scapular protraction exercise at the $90^{\circ}$ shoulder flexion in the sagittal plane to selectively strengthen the SA muscle with limitation of upper trapezius activity and at the $130^{\circ}$ shoulder flexion in the scapular plane to selectively strengthen the SA muscle with limitation of pectoralis major activ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