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양중

검색결과 301건 처리시간 0.024초

개인건강기록의 맞춤형 시각화 표현을 위한 선행연구 (A Previous Study on Customized Visualization Expression of Personal Health Record)

  • 양중기;이용준;김해나;이영호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9권11호
    • /
    • pp.115-126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건강검진을 통해 얻은 PHR정보를 개인의 특성에 따라 맞춤형 표현 방법론 및 디자인을 제시하여, 긍정적인 동기 부여 및 건강 상태 인지력을 높이기 위해 의사결정지원시스템을 통한 가이드라인을 제공하고 통합한 의료 시각화 표현 서비스 방법을 제안한다. 색상, 형태, 위치 3가지 요소를 사용하여 이미지기반의 시각화하여 제안하는 표현 방법은 기존에 수치로만 제공하였던 정보를 방사형차트로 만들어 정보의 인지력을 높였으며, 정상수치를 물방울을 핏방울로 형상화한 모습으로 제공하여 자신의 수치가 핏방울보다 다른 정도에 따라 혈액검사의 결과에 대한 상태의 심각함을 알 수 있다. 표준 수치와 함께 결과를 제공하여 시각적으로 비교하여 자신의 건강상태를 정확히 알 수 있으며, 인체와 연관 지어 시각화하여 표현 하였다. 또 한 개발된 종합 검진결과 시각화는 사람의 신체의 위치를 표시하고 검사항목을 해당 장기부분에 위치시켰다. 검사를 대표할 수 있는 아이콘을 사용함으로 결과에 대한 집중도를 높일 수 있으며, 정보의 습득시간을 단축시켰다.

디젤 오염 토양 세척시 계면활성제 종류의 영향 (Effect of Surfactant Types on Washing of Diesel-contaminated Soil)

  • 양중석;이유진;김성혜;신현재;양지원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13권3호
    • /
    • pp.8-14
    • /
    • 2008
  • 디젤로 오염된 토양을 효과적으로 정화하기 위해 계면활성제의 종류와 음이온성-비이온성 혼합 계면활성제의 비율에 따른 디젤 제거효율을 살펴보았다. 회분식 실험결과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HLB가 12-13 사이의 값을 갖는 경우 가장 좋은 제거 효능을 보였으며, 사용된 계면활성제 중에서는 Tergitol 15-S-7 (T15S7)이 20 g/L의 농도에서 79-88%의 가장 높은 디젤 제거능을 보였다.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대체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에 비해 디젤 제거능력이 떨어졌다. 비이온성과 음이온성 혼합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였을 경우 디젤의 제거효율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양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T15S7 : SDS가 3 : 1의 비율로 혼합된 10 g/L의 계면활성제가 단일 계면활성제에 비해 상승된 76%의 디젤 제거율을 보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현장 디젤 오염토양 복원시 적절한 계면활성제 선정의 기준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전(田)·답토양(畓土壤)의 유효인산(有效燐酸) 분석방법(分析方法) 비교(比較) 연구(硏究) (Comparison of Several Methods for the Determination of Available Phosphorus in the Soils for Corn and Rice)

  • 박백균;윤정희;호교순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8
    • /
    • 1998
  • 토양(土壤)의 유효인산(有效燐酸) 분석방법(分析方法)에 있어서 우리나라 토양(土壤)에 적합(適合)한 인산(燐酸) 분석방법(分析方法)을 확립(確立)하고자 밭토양과 논토양에 각각 옥수수와 벼를 재배(栽培)하여 Lancaster법(法), Olsen법(法), Bray No.1, Bray No.2법(法), Mehlich II 법(法), Calcium lactate법(法) 등(等) 6개 분석방법(分析方法)을 사용한 토양중(土壤中) 유효인산함량(有效燐酸含量)과 식물체중(植物體中) 인산흡수량(燐酸吸收量)과의 관계를 비교 검토하였다. 1. 분석방법을 달리한 밭토양의 유효인산함량(有效燐酸含量)과 옥수수 식물체중(植物體中) 인산흡수량(燐酸吸收量)과의 관계(關係)는 모든 분석방법(分析方法)이 유의성(有意性) 있는 직선회귀(直線回歸) 관계(關係)를 나타내었고, 분석(分析) 방법별(方法別) 결정계수(決定係數)($R^2$) 크기는 Olsen-P $0.891^{**}$, Bray No. 2-P $0.880^{**}$, Lancaster-P $0.878^{**}$, Bray No.1-P $0.792^{**}$, Mehlich II-P $0.787^{**}$, Calcium lactate-P $0.596^{**}$이었다. 2. 논토양중 有效燐酸含量과 벼의 燐酸含量과의 關係에서 밭토양과 달리 Michaelis-Menten 式 ($Y=K_1X/(1+K_2X)$을 따랐으며 (Y, 벼의 燐酸吸收量, X ; 土壤 有效燐酸, K : 係數), 본 식에 따른 決定係數 ($R^2$)는 Lancaster-P $0.923^{**}$, Bray No.1-P $0.919^{**}$, Bray No.2-P $0.914^{**}$, Calcium lactate-P $0.769^{**}$, Olsen-P $0.712^{**}$, Mehlich II-P $0.607^{**}$이었다.

  • PDF

사례분석을 통한 모듈러 건축의 현장 작업자 안전관리 체크리스트의 분류 체계 제안 (Proposal of a Classification System of Checklists for Safety Management of On-Site Workers in Modular Construction)

  • 전영훈;김균태;전은비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22권6호
    • /
    • pp.120-130
    • /
    • 2021
  • 최근 정부는 건설재해 예방을 위하여 건설공사 안전관리를 강화하고 있으며, 예방적 차원의 작업자 안전관리 방안이 중요한 실정이다. 한편 모듈러 건축은 중고층 건축물 등으로 점차 확대 적용될 예정이나, 작업환경이 열악하고 안전관리가 미흡한 중소규모 건설현장이 많아 재해예방을 위한 안전관리가 미흡한 실정이다. 또한 국내 모듈러 건축의 안전관리 방안은 작업자의 안전사고에 영향을 미치나 시공오차, 하자 등 구조안전과 관련한 요소를 관리하는 품질관리에 집중되어 있어, 작업자의 안전보건을 관리하여 재해를 예방하는 작업자 안전관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국내 연구 개발된 사례들을 분석하고 전문가 자문을 통하여 도출된 모듈러 건축의 작업자 안전관리를 위한 체크리스트의 분류체계를 제안하였다. 분류체계는 공장제작, 운송, 현장시공을 대분류로 구성하였으며, 하위체계는 현장시공의 6가지의 중분류 중 모듈러 골조설치 공사의 세부작업인 양중작업과 조립작업을 중심으로, 12가지의 단위작업을 구분하였다. 그리고 안전관리를 위한 관리요소에 따른 단위작업별 작업내용을 정의하고 분류체계에 최종적으로 반영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가 모듈러 건축의 건설현장에서 효율적인 안전관리를 수행하는데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모듈러 건축공사의 현장시공계획수립을 위한 BIM 활용성 분석 (Analysis of BIM Utilization for On-site Construction Planning in Modular Construction Project)

  • 이명도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263-272
    • /
    • 2019
  • BIM과 모듈러 공법은 건설 산업의 위기를 극복하는데 도움이 되는 중요한 기술로 인식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국내 모듈러 건축 프로젝트에서 BIM의 활용은 미미한 수준이며 구체적인 활용지침이 제시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모듈러 건축공사의 현장시공계획단계를 위한 BIM 활용성 분석을 목적으로 하였다. 첫째, 기존문헌 고찰과 전문가 인터뷰를 통해 적용 가능한 BIM 업무를 선정하였으며, 모듈러 건축공사의 시공계획서를 분석하여 BIM 활용 업무를 5가지로 분류하였다. 이후 설문을 통해 각 항목에 대한 BIM 활용성을 필요성과 효율성으로 분석하였으며 이를 BIM utilization Index(BIM UI)를 통해 제시하였다. 설문 결과 모듈간 접합부 시공상세도 구축, 양중계획 검토, 기타공사 주요 시공부위의 상세도 구축, 현장공정 계획 검토, 그리고 현장배치계획 검토가 0.811, 0.787, 0.770, 0.729, 0.699 순으로 분석되었다. 이후 사례연구를 통해 BIM을 적용한 BIM 기반 시공계획서를 도출하여 전문가 자문을 실시하고 논의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모듈러 프로젝트에서 BIM의 적정한 활용 방안을 제시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모듈러 건축의 타워크레인 배치계획 수립을 위한 다중 최적화 모델 개발 (Multi-objective Optimization Model for Tower Crane Layout Planning in Modular Construction)

  • 윤성부;박문서;정민혁;현호상;안수호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22권1호
    • /
    • pp.36-46
    • /
    • 2021
  • 최근 모듈러 건축의 고층화와 함께 현장에서의 T/C 사용도 증가하였다. 이러한 T/C의 대수, 제원 및 위치를 결정하는 TCLP는 프로젝트의 공사비용, 공사기간, 안전, 생산성에 큰 영향을 미친다. 특히 모듈러 건축 프로젝트에서 조건에 부합하지 않는 TCLP는 추가 장비 투입, 재설계 등의 작업으로 이어져 공사기간과 공사비 증가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현장관리자는 현장조건, 양중대상, T/C 제원 등 수많은 제약을 고려하여 프로젝트에 적합한 TCLP를 수립해야 한다. 하지만 다중 T/C를 사용하는 건설현장의 경우 추가적인 고려사항과 변수들로 인해 경험과 직관을 통해 TCLP를 수립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비용과 간섭면적의 최소화를 목적으로 하는 다중 최적화(multi-objective optimization) 알고리즘을 개발하고, 이를 활용하여 T/C 대수, 제원 및 위치를 선정하는 모델을 제안한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단일 최적화 방식과 달리 다중 최적화를 통한 TCLP 수립 프로세스를 제안함으로써, 비용과 간섭면적의 trade-off를 고려한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프로젝트 완료를 기대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드론 영상기반 교통안전시설 효과분석 방법론 연구 (A Study on the Methodology for Analyzing the Effectiveness of Traffic Safety Facilities Using Drone Images)

  • 박용우;김양중;박신형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22권5호
    • /
    • pp.74-91
    • /
    • 2023
  • 교통안전시설의 설치효과를 분석한 여러 연구사례에서는 주로 설치시점을 기준으로 전후의 교통사고자료나 지점검지기에서 수집되는 속도자료를 통해 사고건수, 사고심각도, 속도 등의 변화를 비교하는 방법을 활용하고 있다. 하지만 교통사고 자료는 설치 시점 기준 최소 전후 1년 이상 수집해야 하므로 소요시간이 길고, 자료 수집기간동안 분석 대상 시설 외에 다른 교통안전시설이 추가되는 등 도로환경이 변화하여 사고감소 효과가 분석 대상 시설로 인한 효과라고 판단하기 어려울 가능성이 있다. 또한 속도자료는 지점검지기 위치가 분석이 필요한 지점과 다른 경우가 많고 현장조사시 교통사고 위험에 노출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드론으로 영상을 촬영하고 프로그램을 이용해 자료를 추출한 다음, 속도완화구간 도입 전과 도입 후의 차량 주행속도를 비교하여 실효성을 파악하는 일련의 방법론을 정립하여 사례연구를 수행하였다. 드론을 활용한 차량의 속도 조사는 고속도로에서 이루어지는 관측조사에 비해 훨씬 안전하게 조사할 수 있고, 차량의 주행궤적을 따라 속도 변화를 추적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향후 다양한 교통조사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격강구(隔薑灸)의 연소(燃燒) 특성(特性)에 관한 실험적(實驗的) 연구(硏究) (Experimental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Combustion in the Indirect Moxibustion with Ginger)

  • 이건목;이건휘;문성재;황병천;국우석;장지연;김양중;장재호;윤주영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21권3호
    • /
    • pp.193-214
    • /
    • 2004
  •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chanism and effect of moxibustion with ginger objectively, to be used as the quantitative data through the measurement of temperature, and to grasp the thermodynamic characteristics of moxibustion with ginger. Methods : We have selected the indirect moxibustion with ginger among many indirect moxibustions. We produced a slice of ginger to a thickness of 3, 4, 5mm and the moxa cone having a diameter of 8mm, a height of 10mm for making a comparative study of characteristics of moxa cone according to change the density. We have made a comparative study of the thermodynamic characteristics of moxibustion with ginger with or without holes. We measured combustion times and calculated temperatures, temperature gradients in each period during a combustion of moxa. Results : 1. We found out it was not significantly influenced by the existence of the punched holes in a slice of ginger because the punched holes grow smaller immediately. 2. The duration of the preheating period became longer according to thickness of a slice of ginger and was not directly proportional to the density of moxa cone. The duration of the preheating period was extremely short when it burned a 100mg moxa cone. That was influenced by the density of moxa cone. 3. The duration of the heating period became longer according to thickness of a slice of ginger likewise the preheating period bacause the density of moxa cone had effected on the combustion characteristics. The duration of the heating period was extremely long when it burned a 100mg moxa cone. On the other hand the maximum temperature in the heating period was appeared that the combustion with a thin slice of ginger was highest and measured that the large density of moxa cone was higher. But the maximum temperature in the heating period was about $37.8^{\circ}C{\sim}44.2^{\circ}C$respectively lower in others. 4. The duration of the retaining period was some doubling shorter than that of the heating period that is concerned the shape of moxa cone. The temperature measured the close of a retaining period was $36.6^{\circ}C{\sim}41.8^{\circ}C$, that was considerably lower temperature. 5. The mean ascending temperature velocity and the mean descending temperature velocity were $0.042{\sim}0.073^{\circ}C/sec$, $-0.027{\sim}-0.064^{\circ}C/sec$ respectively. Then, the ascending temperature velocity was some faster than the ascending temperature velocity. Conclusions : The quantitative standard for obtaining the effective heating stimulation is that if the slice of ginger made a hole in it, we had to use the needle above 1.5mm diameter. The recommended size of a slice ginger is the 14mm diameter and the 2~3mm thickness. The moxa cone is formed the conical shape that the base diameter was 8mm, the height was 10mm, the density was $600mg/cm^2$.

  • PDF

환경차이에 따른 밭토양 중 살균제 Myclobutanil의 잔류 및 토양미생물상 변화 (Residue of Fungicide Myclobutanil and Change of Soil Microflora in Upland Soil at Different Evironmental Conditions)

  • 한성수;최찬규;정재훈;백승화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28-44
    • /
    • 1995
  • 밭토양중 myclobutanil의 분해성과 이 농약이 토양미생물상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살균 ${\cdot}$ 비살균토양과 수분함량, 토양 pH, 토양 온도, 약제처리농도, 토양종류 및 실내 ${\cdot}$ 포장토양등의 조건에 따라 myclobutanil을 처리한후 경시적으로 토양을 채취하여 농약잔류량과 토양미생물수를 조사하였는바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회귀식에서 구한 분해반감기로 본 myclobutanil의 분해속도는 살균토양에서보다 비살균토양에서, 실내실험에서보다 포장실험에서, 20ppm처리보다 10ppm처리에서, 그리고 미사질양토에서보다 식양토에서 각각 3.9배, 1.6배, 1.4배 그리고 1.2배 정도 빨랐다. 토양 pH의 차이에 따른 myclobutanil의 분해속도는 pH 9에서 가장 빨랐고 pH 5.5에서 가장 느렸으며, 토양온도의 차이에 따른 myclobutanil의 분해속도는 $27^{\circ}C$ > $37^{\circ}C$ > $17^{\circ}C$ 의 순으로 빨랐고, 토양수분함량별 실험에서 myclobutanil의 분해속도는 차이가 없었다. 살균토양에서의 미생물수는 매우 적었으나 비살균토양에서는 많이 발생되었다. 수분함량, pH, 온도, 처리농도 및 토성의 차이에 따른 myclobutanil의 처리구와 무처리구간의 미생물수를 T-검정한 결과 차이가 나지않았다. 포장실험토양에서 사상균 및 총균수는 myclobutanil 처리구가 무처리구보다 많았으나 실내실험토양에서는 차이가 나지 않았다. Myclobutanil 무처리구내에 있어서 pH, 처리농도, 토성 및 실내.포장조건의 차이에 따른 미생물수는 차이가 나지 않았으나, 포장용수량의 60% 수분함량에서는 40% 수분함량에서 보다 세균이 그리고 토양온도 $17^{\circ}C$에서는 $37^{\circ}C$에서보다 사상균이 각각 많이 발생되었다. Myclobutanil 처리구내에 있어서 pH 및 포장.실내조건의 차이에 따른 미생물수는 차이가 없었으나, 세균과 총균수가 포장용수량의 80%수분함량에서는 40%와 60%수분함량에서보다 많았으며, 방선균의 수는 $17^{\circ}C$에서보다 $27^{\circ}C$에서 그리고 미사질양토에서보다 식양토에서 각각 많았다.

  • PDF

논토양(土壤)의 탈질작용(脫窒作用)에 관(關)한 연구(硏究) -제(第)4보(報) 토양유기물함량(土壤有機物含量), 온도(溫度), pH, 질소비종(窒素肥種) 및 시비량(施肥量)이 탈질작용(脫窒作用)에 미치는 영향(影響) (Studies on the Denitrification in the Submerged Paddy Soil -IV. Influences of soil organic matter contents, soil temperature, pH values, kinds and levels of N-fertilizer on the evolution of N2O gas)

  • 이상규;김승환;박준규;안상배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55-61
    • /
    • 1987
  • 담수상태(湛水狀態)의 논토양중(土壤中) 유기물함량(有機物含量), 온도(溫度), pH 질소비종(窒素肥種) 및 시비량등(施肥量等)을 달리했을때 탈질작용(脫窒作用)과 탈질량(脫窒量)을 알고저 질내(窒內)에서 항온시험(恒溫試驗)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담수상태(湛水狀態)의 논토양(土壤)에서 탈질량(脫窒量)에 관계(關係)가 큰 요인(要因)은 토양유기물함량(土壤有機物含量) > 항온온도(恒溫溫度) > pH가(價) > 질소비종(窒素肥種) > 질소시비량(窒素施肥量)의 순(順)으로 컸다. 2. $N_2O$ gas의 생성량(生成量)은 토양유기물함량(土壤有機物含量) 3.0%인 토양(土壤)에서 항온온도(恒溫溫度) $20^{\circ}C$, pH 6.0일때 $KNO_3$ 20mg/100 토양(土壤) 시용구(施用區)에서 가장 많았다. 3. $N_2O$ gas 1 mole 생성(生成)하는데 소모(消耗)되는 탄소(炭素)는 전체평균(全體平均)이 0.5 mole 이였으며 탄소량(炭素量)이 제일(第一) 많이 요구(要求)되는 경우는 토양유기물함량(土壤有機物含量) 1.0%인 토양(土壤)에서 류안(硫安) 10mg/100g 토양(土壤) 시용시(施用時)(1.06 mole)였으며 제일(第一)적은 탄소요구(炭素要求)의 경우는 유기물함량(有機物含量) 3.0%인 토양(土壤)에서 $KNO_3$ 20mg/100g 토양(土壤) 시용시(施用時)(0.13 mole)였다. 4. Michealis-Menten의 효소반응식(酵素反應式)에서 유도(誘導)된 $N_2O$ gas의 V/2가(價)는 유기물(有機物) 1.0% 토양(土壤)에서 $(NH_2)_2CO$ 시용시(施用時) 550, $KNO_3$ 시용시(施用時)는 $1100N_2O{\mu}g/100g$ 토양(土壤)이였고 3.0%인 토양(土壤)에서 $(NH_4)_2SO_4$ 시용시(施用時)는 $490N_2O{\mu}g/100g$ 토양(土壤)이였으며 $KNO_3$ 시용시(施用時)는 시비량(施肥量)이 증가(增加)할수록 V/2가(價)는 계속 증가(增加)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