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양자 내성 암호

Search Result 79, Processing Time 0.255 seconds

저성능 사물인터넷 상에서의 양자 내성 암호 구현

  • Seo, Hwa-jeong
    • Review of KIISC
    • /
    • v.30 no.1
    • /
    • pp.13-21
    • /
    • 2020
  • 기존 공개키 암호의 보안성을 저하시킬 수 있는 양자 컴퓨터와 양자 알고리즘의 급속한 발전으로 인해 미국의 NIST에서는 양자 내성 암호 표준화를 수행하고 있다. 전 세계에서 다양한 양자 내성 암호 표준안을 제시하였으며 현재 2 단계로 넘어가 차세대 양자 내성 암호를 다방면에서 평가하고 있다. 양자 내성 암호를 평가하는 다양한 항목 중에는 암호 보안강도와 암호 구현 효율성이 있다. 본 기고에서는 자원적인 제한사항이 많은 저성능 사물인터넷 상에서의 양자 내성 암호구현에 대해 확인해 보도록 한다.

국내·외 양자내성암호 전환 정책 및 상용화 동향

  • Da Eun Yoo;Jun-Sub Kim;Ki-moon Kim
    • Review of KIISC
    • /
    • v.33 no.1
    • /
    • pp.59-63
    • /
    • 2023
  • 양자컴퓨터의 등장으로 기존 암호체계의 붕괴 위협이 가시화 되면서 이에 대한 대책 마련이 필요한시점이다. 미국 등 세계 주요 국가들은 양자컴퓨터로도 해독하기 어려운 양자내성암호를 연구하고 암호체계 전환을 준비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국내·외 양자내성암호 전환 계획, 추진 전략 등을 살펴보며, 산업계에서의 양자내성암호 적용 사례 등의 양자내성암호 전환 관련 동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양자내성암호 국가공모전

  • Nari Lee;Kyung Chul Jeong;Seongtaek Chee;Daewan Han
    • Review of KIISC
    • /
    • v.33 no.3
    • /
    • pp.7-14
    • /
    • 2023
  • 1990년대에 P. Shor가 소개한 양자 알고리즘에 의해 양자컴퓨팅을 사용하여 다항식 시간 내에 인수분해나 이산대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것이 알려졌다. 양자컴퓨터의 실용화가 기존 공개키 암호에 심각한 위협이 되는 것이다. 이에 대한 대응으로 많은 국가들이 양자내성암호 개발 및 표준화에 힘쓰고 있으며, 대표적으로 미국의 국립표준기술연구소(NIST)가2017년에 양자내성암호 표준화 공모사업을 시작하였다. 국내에서도 양자내성암호 분야의 활성화 및 자체 기술력 확보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그 일환으로 국가보안기술연구소가 국가정보원의 후원으로 2021년에 발족한 양자내성암호연구단은 현재 '양자내성암호 국가공모전'을 진행하며 양자내성암호 개발에 힘쓰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1라운드가진행중인양자내성암호 국가공모전의 추진 배경, 취지 및 진행 상황을 소개하고자 한다.

양자내성암호 표준화, 연구 동향 및 전망

  • Park, Taehwan;Kim, Howon
    • Review of KIISC
    • /
    • v.28 no.5
    • /
    • pp.31-35
    • /
    • 2018
  • 최근 양자 컴퓨팅 환경에서도 안전한 양자내성암호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미국 국립표준기술연구소에서는 2017년 11월 30일부터 양자내성암호에 대한 연방 표준화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현재 표준화 1라운드가 진행되고 있으며, 제출된 양자내성암호들에 대한 안전성 분석이 진행되고 있다. 또한 CHES와 같은 세계 유수의 학회에서도 이러한 양자내성암호에 대한 많은 연구결과들이 발표되고 있으며, 본 논문에서는 양자내성암호 표준화와 연구의 최신 동향을 살펴보며, 이에 따른 향후 연구 전망을 제시하고자 한다.

양자내성암호 특허동향

  • Min-Sung Kang
    • Review of KIISC
    • /
    • v.33 no.3
    • /
    • pp.97-101
    • /
    • 2023
  • 양자컴퓨터의 개발이 가속화됨에 따라 기존의 공개키 암호에서 양자내성암호로 시급하게 전환해야 하는 상황이다. 이러한 상황을 가장 신속하게 대응하고 있는 미국은 NIST를 통해 양자내성암호로의 전환을 위한 표준화를 진행하고 있으며, 표준화 대상 알고리즘까지 선정한 상황이다. 그 외 일본, 중국, 및 유럽의 각국도 양자내성암호 기술을 확보하기 위해 많은 투자를 하고 있다. 본 고에서는 양자내성암호의 국적 및 세부기술별 특허출원 동향을 살펴보고, 나아가 양자내성암호의 구현특허 출원 동향도 함께 분석한다.

양자 내성 암호 최신 소프트웨어 구현 동향

  • Park, Tae-hwan;Seo, Hwa-jeong;Lee, Ga-ram;Kim, Ho-won
    • Review of KIISC
    • /
    • v.27 no.6
    • /
    • pp.21-28
    • /
    • 2017
  • 최근 양자 컴퓨터 기술의 발전에 따라 기존에 많이 사용하고 있는 대칭키 암호와 공개키 암호의 보안 위험성이 고려되어야하며, 이에 따라 양자 컴퓨터 환경에서도 보안성을 제공할 수 있는 암호 알고리즘인 양자 내성 암호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와 관련하여 미국 NIST의 양자 내성 암호 표준 공모전이 진행중에 있다. 본 논문에서는 양자 내성 암호별 다양한 플랫폼/디바이스 환경 및 언어 기반의 최신 소프트웨어 구현 동향을 살펴본다.

KpqC에 제출된 코드기반 암호의 소개 및 분석

  • Ji-Hoon Hong;Byung-Sun Won;Jon-Lark Kim
    • Review of KIISC
    • /
    • v.33 no.3
    • /
    • pp.49-57
    • /
    • 2023
  • Shor 알고리즘의 영향으로 RSA 등 기존 잘 알려진 암호 알고리즘들은 양자컴퓨터가 등장하면 안전성에 대한 위험을 받게 된다. NIST에서는 양자컴퓨터 환경으로부터 보안성이 유지되는 암호를 선정하기 위한 양자내성암호 공모전을 개최하였다. 또한, 국내에서도 양자내성암호 분야의 경쟁력 향상과 기술 저변 확대를 위해 양자내성암호 국가공모전(KpqC 공모전)을 개최하였다. 본 논문은 KpqC 공모전 1라운드에 제출된 4개의 코드 기반 양자내성암호 알고리즘에 대한 소개, 퍼포먼스 및 안전성에 관하여 살펴볼 것이다.

사물인터넷 장비 상에서의 양자내성암호 구현 동향

  • Kwon, HyeokDong;Eum, Siwoo;Sim, MinJoo;Seo, Hwajeong
    • Review of KIISC
    • /
    • v.32 no.2
    • /
    • pp.37-49
    • /
    • 2022
  • 양자컴퓨터의 발전에 따라 양자알고리즘에 대한 보안성을 보장하는 양자내성암호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미국 국립표준기술연구소 (NIST, National Institute of Standards and Technology)는 양자내성암호 표준화 공모전을 개최하여 차세대 공개키 암호에 대한 검증을 현재 Round 3까지 진행한 상태이다. 본 고에서는 최근에 활발히 연구되고 있는 NIST 양자내성암호 공모전에 제안된 양자내성암호에 대해서 확인해 보도록 한다. 또한 해당 양자내성암호의 연산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사물인터넷 장비 상에서 최적 구현 기법에 대해 확인해 보도록 한다.

격자기반 양자내성 키 교환 알고리즘 구현

  • Park, Chanhui;Yun, Youngyeo;Park, Haeryong;Choi, Eunyoung;Kim, Howon
    • Review of KIISC
    • /
    • v.30 no.3
    • /
    • pp.11-16
    • /
    • 2020
  • 기술의 발전으로 이론으로만 존재하던 양자 알고리즘의 실현 가능성이 보이면서 기존 암호체계의 위협이 발생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미국 국립표준기술연구소에서는 양자컴퓨터 환경에서도 안전한 새로운 공개키 기반의 암호체계가 필요하다는 것을 강조하였고 양자내성암호 표준을 위한 공모전을 개최하였다. 암호는 네트워크 통신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고 네트워크 보안 프로토콜로 TLS가 많이 사용된다. 본 논문에서는 IoT와 같은 경량 환경에 적합한 TLS 라이브러리인 mbedTLS 상에서의 격자기반 양자내성 키 교환 알고리즘을 구현하고 성능을 평가하여 양자내성암호의 사용 가능성에 대해 제시한다.

양자내성 전자서명의 블록체인 적용에 관한 연구동향

  • Hangyeol Kim;Dabin We;Myungseo Park
    • Review of KIISC
    • /
    • v.33 no.2
    • /
    • pp.49-56
    • /
    • 2023
  • 양자 컴퓨터의 기술이 발전됨에 따라 Shor 알고리즘과 Grover 알고리즘을 통해 기존의 공개키, 대칭키 및 해시 암호체계에 위협을 줄 수 있다. RSA 및 ECC 암호체계는 Shor 알고리즘에 의해 다항시간 내에 해독이 가능해진다. 이러한 보안위협의 증가로 양자내성의 성질을 지닌 양자내성암호가 주목받고 있으며 양자내성 전자서명을 블록체인의 전자서명에 적용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양자내성암호를 블록체인의 전자서명에 적용하는 연구동향에 대해 설명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