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양육 자신감

검색결과 39건 처리시간 0.022초

자녀양육에 대한 국내 간호학분야 연구논문 분석 (An Analysis of Nursing Research on Child Rearing in Korea)

  • 이동원;권인수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20권4호
    • /
    • pp.264-274
    • /
    • 2014
  •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간호학분야에서 수행된 양육에 대한 연구논문을 양육의 속성과 지식체 유형을 중심으로 분석하여 추후 자녀양육에 대한 연구와 간호실무의 방향을 설정하는 근거자료를 제시하는 것이다. 방법 KoreaMed, 한국학술정보, 과학기술정보통합서비스, 과학기술학회 마을, 한국교욱학술정보원의 5개 온라인 사이트를 통해 201편의 논문을 선정하였고, 개념을 양육의 속성과 지식체 유형별(기술적, 설명적, 처방적 지식)로 분석하였다. 결과 연구설계는 실험연구가 27.3%, 비실험연구가 72.7%였고, 연구대상자는 양육자로는 어머니가 가장 많았고(36.0%), 피양육자로는 신생아가 가장 많았다(29.6%). 양육속성별로는 양육에 대한 반응 영역이 가장 많았고(49.9%), 양육지식 영역이 가장 적었다(2.2%). 양육속성의 하위영역별로는 양육에 대한 반응 영역에서는 양육스트레스, 양육자신감/효능감 양육태도 등의 순이었고, 양육실제 영역에서는 애착, 부모-자녀 상호작용, 양육행동/양육실천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아동의 성장/발달/행동 영역에서는 영아의 성장과 발달, 행동/건강 문제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지식체 유형별로는 설명적 지식이 가장 많았고(55.2%), 처방적 지식(30.0%), 기술적 지식(14.9%)의 순으로 나타났다. 결론 자녀양육과 관련하여 다양한 지식체가 개발되었으나 처방적 지식의 개발이 미흡하며, 발달단계별 양육과 어머니 외의 다른 양육자 대상 연구가 부족하였고, 양육의 실제적인 측면보다는 양육에 대한 반응에 관한 연구가 더 많았다. 따라서 양육의 공동 책임자인 아버지와 대리 양육자 대상의 연구, 아동의 발달 단계별 건강을 위한 아동간호학의 차별화된 지식 개발 연구, 양육실제를 유도하는 처방적 지식을 개발하는 연구와 아동양육의 국가적 중요성을 감안하여 아동양육정책 개발 연구를 제언한다.

퇴원교육 프로그램이 미숙아 어머니의 모성역할 자신감,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Discharge Education Program for Mothers of Premature Infants on Maternal Role Confidence and Parenting Stress)

  • 권희경;권미경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13권1호
    • /
    • pp.58-65
    • /
    • 2007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a discharge education program on maternal role confidence and parenting stress of mothers who delivered premature infants. The program provided them with information on childrearing and supportive educational nursing care. Method: This study was based on pretest-posttest nonequivalent nonsynchronized quasi-experimental design.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30 mothers who delivered premature infants at a general hospital in G city. The instruments used in this study were Maternity Confidence Inventory, Parenting Stress Index(PSI). Results: The first hypothesis that the mothers in the experimental group would undergo changes in maternal role confidence after the intervention was accepted, a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gap between the two groups(F=9.386, P=.000). The second hypothesis that mothers in the experimental group would undergo change in parenting stress after the intervention was accepted, a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gap between the two groups(F=4.425, P=.380). Conclusion: The findings suggest that the Discharge Education Program was an efficient intervention method to boost the maternal confidence of mothers with premature infants and to decrease their parenting stress.

  • PDF

초산모의 영아 양육자신감에 미치는 영향요인 (Factors Influencing Parenting Confidence in First-time Mothers of Infants in Their First Year)

  • 김희순;김태임;;;;심미경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13권2호
    • /
    • pp.119-127
    • /
    • 2007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parenting confidence in first-time mothers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development of maternal role education programs. Method: The participants were 194 first-time mothers of babies aged 1-6 months who visited well-baby clinics in 4 hospitals. Instruments used in this study were self-reported questionnaire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Results: The parenting confidence level was moderate with a mean score of 3.26(range 1-6). Infant temperament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maternal role confidence. Maternal role confidence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child-rearing environment. Infant temperament and parenting stress were significant predictors explaining 50% maternal role confidence. Conclusions: Nursing Interventions to promote parenting confidence among first-time mothers of infants in their first year are needed to improve maternal perception to infant temperament and reduce parenting stress.

  • PDF

추후관리를 받은 저출생체중아 어머니의 양육자신감, 사회적지지 및 자아존중감 비교 (The Effects of Follow-Up Care on Social Support, Self-esteem and Maternal Confidence in Low Birth-weight Infant's Mothers)

  • 이광옥;이자형;백윤미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628-638
    • /
    • 2004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follow-up care on the social support, self-esteem and maternal confidence in mothers of low birth weight infants. Method: This study applied a quasi-experiment study method to examine the pre-post intervention effects. Eighty-eight mothers whose infants were below 2.5kg of Low birth weight were studied. The period for the data collection was from July to December in 2003. Self Reported Survey and Face to Face Interview by the highly trained home Visiting Nurses were used for this study. Result: Most of the participants report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s in the score of social support, self-esteem and maternal confidence after they received the intervention. Conclusion: Longitudinal study for the mothers of low birth weight infants might reveal more comprehensive findings. Moreover, follow-up care, which is linked with community health care services, is needed to continue the post hospital care services. Additionally, qualified and professional intervention programs should be provided to consider the characteristics of mothers of low birth weight infants.

  • PDF

어머니의 신생아에 대한 지각, 신생아 돌보기 자신감 및 양육태도 (A Study on the Mothers Perception, Caring-Confidence, and Attitude towards Own Newborn Infants)

  • 강경아;김신정;손은진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10권3호
    • /
    • pp.311-320
    • /
    • 2004
  • Purpose: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among mother's perception of her own newborn, her caring-confidence level, and her child-rearing attitude; and to provide data for developing effective nursing education programs on maternal newborn care. Method: Explorative survey questionnaires were completed by 159 married mothers of newborns from November 2003 to March 2004.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Win 10.0 by t-test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Result: The mean scores of the mother's perception of her own newborn, her caring- confidence level, and her child-rearing attitude were .26, 3.13, and 3.43 respectively.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mother's perception of her own newborn and her child-rearing attitude.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mothers caring-confidence level and her child-rearing attitude. Score of caring-confidenc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depending on the availability of helper and history of delivery. Conclusion: Availability of helper and history of delivery significantly affected mothers caring-confidence. This in turn, along with mothers perception of her own newborn, enhanced mothers child-rearing attitude. Thus, an effective education for mothers should include these factors.

  • PDF

모성역할 증진 프로그램이 미숙아어머니의 모성역할 긴장, 양육 자신감, 모성 정체감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a Maternal Role Promotion Program for Mothers of Premature Infants on Maternal Role Strain, Maternal Role Confidence and Maternal Identity)

  • 장영숙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11권4호
    • /
    • pp.472-480
    • /
    • 2005
  • Purpos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n maternal role strain, maternal role confidence and maternal identity of a maternal role promotion program for mothers of premature infants. Method: A quasi-experimental non-equivalent pre-and-post test was used to compare the two group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62 mothers from September 10. 2003 to August 30, 2004 at Neonatal Intensive Care Unit(NICU) located in S. city and K. city. The maternal role promotion program was provided three times during the period from two-three days after the baby's admission to 1 month after the baby's discharge. The instruments for measurement were the Perceived Role Difficulty & Steffensmeier Scale, Self Confidence Scale and Semantic Differential Scale. Data were analyzed by means of frequency, mean and SD, $x^2$-test and t-test.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maternal role strain level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t=2.163, p=.035), in the maternal role confidence between the two groups(t=-5.645, p=.000) and in maternal identity between the two groups(t=-4.923, p=.000).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maternal role promotion program had positive effects in decreasing maternal role strain levels and increasing maternal role confidence and maternal identity.

  • PDF

그룹 음악심리치료 프로그램이 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a Group music psychotherapy program on Parenting Stress, and Self-Efficacy in Mother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 양지은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
    • 제4권1호
    • /
    • pp.1-20
    • /
    • 2007
  • 장애아동의 부모, 특히 주양육자가 되는 어머니는 자녀를 양육함에 있어 자녀의 장애로 인해 많은 어려움을 겪는다. 이들은 자녀 양육에 대한 현실적, 심리적 부담감으로 인해 스트레스가 많으며 이로 인해 점차적으로 자신의 능력에 대한 신뢰가 감소되어 무력감을 경험하는 경우가 많다. 본 연구에서는 그룹 음악심리치료 프로그램을 초등학교 특수학급 학부모들에게 적용함으로써 그룹 음악심리치료 프로그램의 실시가 참여자들의 양육 스트레스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아울러 프로그램에 참여한 참여자들의 경험이 의미하는 바를 알아보았다. 연구 참여자는 경기도 부천시내에 위치한 초등학교 특수학급에 재학 중인 장애아동의 어머니 20명이며 이들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각각 10명씩 배치하였다. 실험집단의 어머니는 약 8주에 걸쳐 15회기로 진행된 그룹 음악심리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하였다. 그룹 음악심리치료 프로그램이 양육스트레스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로는 '부모의 양육 스트레스 척도(Parenting Stress Index/Short Form: PSI/SF)'(Abidin, 1990)와 '자기효능감 척도(The Generalized Self-Efficacy Scale: GSE)'(Tipton & Worthington, 1984)를 사용하였다. 결과의 검증을 위하여 실험집단의 사전 사후 차이점수와 통제집단의 사전 사후 차이점수에 대해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한편 그룹 음악심리치료 프로그램 참여자(실험집단)의 양육 스트레스와 자기효능감의 구체적인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연구자가 개발한 프로그램 평가 질문지를 참여자들이 작성하도록 하였으며 프로그램의 마지막 세션에서 실시한 그룹 토론을 통해 얻게 된 내용을 녹음하여 자료를 수집한 후 전사된 자료를 바탕으로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그룹 음악심리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한 장애아동의 어머니(실험집단)의 양육 스트레스, 자기효능감의 변화정도는 통제집단의 양육 스트레스, 자기효능감의 변화정도보다 유의하게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그룹 음악심리치료에 참여한 어머니들의 경험에 대한 프로그램 평가 질문지와 녹취 자료를 분석한 결과 양육 스트레스의 감소에 영향을 준 구체적인 경험의 변화는 '자녀에 대한 인식의 긍정적인 변화', '스트레스의 해소', '삶의 여유 공간 인식', '감정의 공유'의 4개의 하위영역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기효능감의 증진에 영향을 준 구체적인 경험의 변화는 '나의 발견', '새로운 자극', '심리적 지지'의 3개의 하위영역으로 나타났다. 평가 질문지와 녹취 전사본에서 도출된 내용들의 의미를 고찰해 볼 때 그룹 음악심리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한 장애아동의 어머니들은 자녀 양육에 있어 스트레스가 감소되고 자신감이 증진됨을 경험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장애아동의 양육으로 심리적인 부담감과 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자기 자신에 대한 믿음이 부족한 어머니들에게 그룹 음악심리치료 프로그램이 이들의 정서적인 안정과 자신감 획득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 PDF

초ㆍ중학교 아동의 우울과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의 관계 (A Relationship betwee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Depression and Parenting Stress of their mothers)

  • 최정미;우희정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73-84
    • /
    • 2004
  • 본 연구는 초ㆍ중학교 아동을 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아동의 우울을 중심으로, 아동의 성과 학년에 따라 아동의 우울은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아동의 성과 학년에 따라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따라 아동의 우울은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고, 마지막으로 아동의 우울과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두 변인간에 어떠한 상관관계가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를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의 성과 학년에 따른 아동의 우울은 아동의 성별과 학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의 성이 여자인 경우가 남자인 경우보다 우울이 더 높고, 학년에 따라서는 중학교 1, 2학년이 초등학교 5, 6 학년보다 우울이 더 높게 나타났다. 둘째, 아동의 성과 학년에 따른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는 아동의 성에 따라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는 학습기대와 관련된 양육스트레스만이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아동의 학년에 따라서는 자녀와의 관계로 인한 양육스트레스와 학습기대와 관련된 양육스트레스가 유의미하게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따른 아동의 우울은 자녀의 기질과 관련된 스트레스, 자녀와의 관계로 인한 스트레스, 학습기대와 관련된 스트레스요인 모두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아동의 우올과의 상관관계는 자녀의 기질과 관련된 스트레스, 자녀와의 관계로 인한 스트레스, 학습기대와 관련된 스트레스 순으로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구성되었다. 연구 결과 상호작용에 있어서의 변화를 살펴보면, 첫째, 수업이 진행될수록 아동간의 대화의 양과 질이 증가하였다. 둘째 아동간의 의존성과 신뢰성이 증가하였다. 리더 역할을 하는 아동이 자발적으로 나타났으며 조원들간의 의견을 수렴하고 조언을 해주었다. 셋째, 아동간의 친밀감과 협동심이 증가하여 서로 도움을 주고받았다. 넷째, 교사와 아동간의 친밀감이 증가하여 지속적인 우호적 관계가 형성되었다. 또한 수업 태도의 변화를 살펴보면, 첫째, 아동들은 점차 학습에 대한 자신감과 만족감을 갖게 되었다. 둘째, 아동들은 헝겊 인형에 대한 흥미와 관심이 증가하여 적극적이고 집중력이 높은 수업 태도를 보였다 셋째, 아동들은 자신이 만든 인형에 애착을 가지게 됨으로서 긍정적인 수업태도를 보였다. 전체적으로 내성적인 성향, 독단적인 성향, 과잉행동 성향, 산만하거나 주의력 결핍 아동들이 보다 큰 변화를 보였다 따라서 ‘헝겊 인형 만들기’ 바느질 수업의 전개과정이 아동간의 상호작용 및 수업에 대한 태도를 더 바람직한 방향으로 변화시켰다고 볼 수 있다.었다. 조기 수술이 권장되며 조기수술이 안 되어 병변의 진행이 심해지면 대동맥판막성형술의 완벽한 결과를 기대하기 어려운 경우가 적지 않으므로 병변이 심한 경우 대동맥판막대치술도 수술방법의 선택목록에 포함시켜야 한다.하지 않은 그룹 0 수혜견에 이식한 심장의 생존시간은 5분이었으나 PCPP에 의해 자연항체를 제거 후 이식된 심장의 생존시간은 90분으로 현저한 증가를 보였다. 또한 조직 병리학적으로도 이식 거부에 대한 특징이 그룹

  • PDF

신생아 돌보기 교육프로그램이 산후조리원 이용 초산모의 양육자신감과 양육행위 정확도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a Newborn Care Education Program on Newborn Care Confidence and Behavioral Accuracy of Primiparas in a Postpartum Care Center)

  • 김현경;정인숙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125-134
    • /
    • 2007
  • Purpose: The study aimed to identify the effects of a newborn care education program on newborn care confidence and behavioral accuracy of primiparas in a postpartum care center. Method: This was a quasi-experimental study with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non-synchronized design. Subjects were 29 primiparas selected from a postpartum care center in D and P hospitals in Ulsan. The intervention was a newborn care education program which was composed of education with a booklet, demonstration, watching a video, and verbal encouragement. The outcome variables were newborn care confidence and behavioral accuracy. Data was collected from Feb. 1 to Mar 22 in 2005 with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and observation by researchers. Data was analyzed using the $X^2-test$, Fisher's exact test, t-test and ANCOVA. Result: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core changes between the pre-test and post-test in confidence and behavioral accuracy than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The newborn care education program showed positive effects on newborn care confidence and behavioral accuracy of primiparas in a postpartum care center. Therefore, we recommend that this program should be applied in postpartum care centers.

초산모와 경산모의 신생아에 대한 지각, 자신감, 양육태도의 차이 (The Comparison of Mother's Perception of the Newborn, Caring-confidence, and Child-rearing Attitude between Primipara and Multipara)

  • 강경아;김신정
    • 부모자녀건강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33-143
    • /
    • 2004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mother's caring-confidence, between primipara perception of the newborn, and child-rearing attitude and multipara. Method: The data was collected from 159 married mothers of newborns in the post-partum care center using self-rating questionnaires from November, 2003 to March, 2004. Data was analyzed using SPSS/Win program by t-test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Result: 1) The mean score of mother's perception of the newborn, the newborn caring-confidence, and child-rearing attitude were .26, 3.13, and 3.43. 2) The score of the newborn caring-confidence of multipara was greater significantly than the one of primapara. 3) The score of mother's perception of tile newborn and child-rearing attitude of primapara were greater than the one of multipara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4)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mother's perception of the newborn and child-rearing attitude and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caring-confidence and child-rearing attitude. 5) The score of mother's perception of the newborn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he level of education type of family and delivery planned. 6) The score of caring-confidenc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he helper, the history of delivery. 7) The score of child-rearing attitude was significantly difference according to the level of education and the birth weight of newborn. Conclusion: When the newborn care giver in the postpartum care setting is teaching the method of infant care to mother, there should be in consideration of the rearing experience of mothers. Mother's perception of the newborn, caring-confidence, and child-rearing attitude should be considered to develop the effective education program for mothers who have newborn. And its educational contents must be focused on the promotion of trust between infant and mother.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