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양육관련비용부담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8초

걸음마기 한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Parenting Stress in Mothers with Only One Child in Toddler Stage)

  • 이선영;안선희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34권1호
    • /
    • pp.33-47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factors which influence maternal parenting stress. The subjects were 182 mothers with toddlers 12 to 36 months old living in Seoul and Gyeonggi-do Province. The instruments used for this study were a self-report questionnaire, PDH(Parenting Daily Hassles), EAS(Emotionality, Activity, Sociability), Value of children by Lee et al., PAI(Parenting Alliance Inventory), and burden of the costs of children. The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using the SPSS 18.0 program.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mean score of activity temperament, emotional value of children and husband's support were higher than average. The mean score of Emotionality temperament, instrumental value of children, burden of the costs of children and maternal stress were average. Second, maternal parenting stress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emotionality temperament, mother's age, burden of the costs of children, and negatively correlated with emotional value of children, and instrumental value of children, husband's support. Third, emotionality temperament, husband's support, burden of the costs of children, maternal employment status, and instrumental value of children had an impact on maternal parenting stress.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providing basic data for establishing a policy to decrease maternal parenting stress.

근로능력이 부족한 여성한부모의 공공부조서비스 이용 경험 (Single Mothers' Experiences of Public Support Service: The Case Study of Single Mothers Who are Lack of Work Ability)

  • 성정현;김지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12호
    • /
    • pp.261-275
    • /
    • 2013
  • 본 연구는 국민기초생활보장수급자중 근로능력이 부족한 것으로 판정된 여성한부모의 공공부조서비스 이용경험을 탐색하여 개선 방안을 모색해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대~50대의 미성년자녀가 있는 수급자 5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이들은 일을 통해 가계에 보탬이 되고 자녀에게 가난한 어머니로서의 이미지를 벗어나고자 수없이 시도하였으나 좋지 않은 건강과 일을 배우는데 드는 비용, 자녀양육부담, 그리고 근로능력판정상의 점수 등으로 본인의 계획을 관철하지 못하였다. 이러한 과정이 반복되면서 가난한 어머니로서의 스트레스와 우울감이 강화되고, 또 자녀에게 부적절한 훈육과 양육으로 투사되었다. 이는 공공부조서비스 이용 과정에서 더 강화되는 경향이 있었다. 결국, 자격 평가 기준에 따른 좌절의 반복과 심신의 건강의 악화로 근로무능력 상태가 장기화되면서 수급자로 만성화되는 경향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통해 결론에서 근로능력 판정제도와 관련된 정책 및 실천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세대간 동거와 기혼여성의 노동공급 (Co-residence and Its Effect on Labor Supply of Married Women)

  • 성지미;차은영
    • 노동경제논집
    • /
    • 제24권1호
    • /
    • pp.97-124
    • /
    • 2001
  • 자녀양육에 수반되는 시간적 금전적 비용부담이 기혼여성의 노동시장 진입과 경력단절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지적한 선행 연구들은 이에 대한 정책적 지원을 강조하였다. 사회복지정책이 발달한 국가에서 세대간 동거(co-residence)는 고령층의 의료 및 부양과 관련된 공적 비용을 사적 비용으로 전환하고, 공식적인 부양을 비공식적인 것으로 대체하는 동시에 기혼여성의 노동공급을 증가시킨다는 관점에서 정책 설정에서 주요한 개선방안으로 인식되고 있다. 본 연구는 "한국노동패널" 2차년도(1999) 자료를 이용하여 부모세대와의 동거상태, 부모 및 기혼여성 본인의 건강상태가 기혼여성의 노동공급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다. Tobit모형의 추정 결과, 동거 여부, 여성노인과의 동거, 노동시장 근로를 하지 않는 여성노인과의 동거는 동거하는 노인의 건강상태에 관계 없이 기혼여성의 노동공급량에 정(+)의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대간 동거는 세대간 사적 자원이전 (intergenerational private transfer of resources)을 통하여 기혼여성의 노동공급에 긍정적인 영향올 미치며, 이는 세대간 사적 자원이전이 여성노인을 중심으로 시간자원의 이전이라는 형태를 취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