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양성 성대점막 질환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22초

후두미세수술시 성대 점막하주입술(submucosal infusion technique)의 유용성

  • 김형태;조승호;김민식;박영학;선동일;유우정
    • 대한음성언어의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음성언어의학회 1998년도 제10회 학술대회 심포지움
    • /
    • pp.185-185
    • /
    • 1998
  • 배경 : 양성성대질환에 대한 기저막영역과 성대고유층에 대한 연구를 통해서 양성성대질환의 조직병리학적 특성이 밝혀지고 있으며, 질환발생과 관련된 병인과 병태가 밝혀지고 있다. 목적 : 양성성대질환의 병리학적 특성에 맞게 후두미세수술시 성대 고유층 최상층을 최대한 보호하고 병변부위만을 제거할 수 있는 성대점막하주입술의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중략)

  • PDF

성대양성질환에서 Videokymography 소견 (Videokymographic Findings of Benign Vocal Fold Lesions)

  • 안철민;윤선영;정덕희
    • 대한음성언어의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음성언어의학회 1998년도 제10회 학술대회 심포지움
    • /
    • pp.183-183
    • /
    • 1998
  • 음성이 성대진동에 의해서 생성된다는 것이 밝혀진 이래로 이것을 확인해 보기 위한 많은 노력이 있어왔다. 특히 성대의 빠른 진동을 느린 움직임으로 정확하게 관찰하기 위해서 후두스트로보스코프같은 기구가 사용되고 있지만, 이것은 실제 시간에 따른 성대움직임을 보는 것이 아니고, 또 불규칙한 진동이 나타날 경우에는 성대점막의 움직임을 관찰하는 것이 불가능한 단점이 있었다. 저자들은 초 당 8000 개의 연속된 영상을 기록할 수 있는 videokymography를 이용하여 성대점막의 실제 시간에 따른 움직임을 관찰해보고, 후두질환에서 나타나는 영상을 확인해 보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작하였다. (중략)

  • PDF

양성 성대질환의 콜라겐 발현 및 분포양상

  • 손영익;고영혜;고석주
    • 대한음성언어의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음성언어의학회 1997년도 제8회 학술대회 심포지움
    • /
    • pp.263-263
    • /
    • 1997
  • 성대결절, 폴립, 부종 등은 성대의 남용이나 과용등의 성대손상이 그 공통된 주된 원인으로 거론되고 있다. 하지만 음성치료를 비롯한 보존적 치료에 대한 반응이 서로 상이하며, H&E 염색을 이용한 병리조직학적인 감별이 곤란하여 진단에 혼돈이 있으며, 치료의 방침을 결정하거나 예후를 예측함에 있어서도 어려움이 있다. 양성성대질환은 기저막부 위와 세포외 간질에 주된 변화가 발생함이 알려져 있고, collagen type IV의 발현양상이 성대결절과 폴립에서 서로 다름에 대하여는 보고된 바 있으나 기타 점막하층의 골격유지를 주기능으로 하는 대표적 세포외간질인 collagen subtype에 대하여는 아직 보고된 바가 없는 실정이다. Collagen 발현의 차이를 연구하는 것은 상기질환의 병인을 이해하고 질환분류의 guideline을 제시하며 나아가 적절한 치료방범을 제시하는 데에 큰 의미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Paraffin에 고정되어 있는 5례 이상씩의 성대결절과 성대폴립, 육아 종 및 라인케씨 부종 조직을 collagen type I부터 VII에 대하여 peroxidase kit를 사용하여 염색한 후 각 군간에 collagen 분포양상과 발현정도에 차이가 있는가 비교하였다.

  • PDF

양성 성대 질환의 병태생리에 관한 최신지견 (Current Standpoints on the Pathophysiology of Benign Vocal Fold Lesions)

  • 권택균;김민수
    • 대한후두음성언어의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91-93
    • /
    • 2015
  • Substantial confusion exists regarding the nomenclature of benign vocal fold lesions (BVFL), because there were no pathologically diagnostic findings and deep understanding of pathogenesis in the past. There is no consensus on specific labels for BVFL, nor are the most commonly used terms defined. There is a need for a defined nomenclature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communication among clinicians and with patients. Furthermore, precise definitions of BVFL will facilitate clinical research of voice disorders and may lead to a better understanding of outcomes for BVFL treatment. Laryngoscope, stroboscope, voice evaluation are used to diagnose BVFL. The objective of this review article was to develop a new paradigm of BVFL nomenclature using patient's history, stroboscope, voice therapy results, and operative findings. Furthermore, precise definitions of BVFL will facilitate clinical research of voice disorders and may lead to a better understanding of outcomes for BVFL treatment.

  • PDF

양성 성대 점막 질환의 음향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for Acoustic Features of Benign Laryngeal Disease)

  • 이재석;김진평;박정제;권오진;우승훈
    • 대한후두음성언어의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47-50
    • /
    • 2013
  • Background and Objectives: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features in acoustics and to learn useful features of parameters in order to distinguish laryngeal diseases through many acoustic variables. Materials and Methods: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25-male patients who had been diagnosed with vocal nodule, vocal polyp, vocal cyst, Reinke's edema, leukoplakia. To research the features of each disease in acoustics, they are measured 34 parameters by using MDVP. Results:It is clear that in order to see a meaning result when distinguishing laryngeal diseases, $F_0$, $MF_0$, $T_0$, Fhi, Flo, PER variables are significant (p<.05). It means that variables related to fundamental frequency are important to anticipate which group will be diagnosed with Reinke's edema and leukoplakia. vAm had an effect on getting a significant result in terms of amplitude perturbation parameters, which is useful to distinguish between laryngeal polyp/cyst and other laryngeal disease (p<.05). ATRI made a significant result in related to tremor parameters, which is useful to distinguish between laryngeal polyp and other laryngeal disease (p<.05). Conclusion:$F_0$, $MF_0$, $T_0$, Fhi, Flo, PER, vAm, ATRI might be meaningful parameters distinguishing pathologic from benign laryngeal diseases. Especially, the vAm and ATRI are an important factor when forecasting which group would be diagnosed with vocal polyp.

  • PDF

성대에어로빅치료법이 음성장애환자의 음성개선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vocal aerobic treatment on voice improvement in patients with voice disorders)

  • 박준희;유재연;이하나
    • 말소리와 음성과학
    • /
    • 제11권3호
    • /
    • pp.69-76
    • /
    • 2019
  • 본 연구는 성대에어로빅치료법(vocal aerobic treatment, VAT)이 음성장애 환자의 음성 개선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알아보았다. 연구대상은 후두스트로보스코피, 음성검사 상 음성장애로 진단된 20명(남 13명, 여 7명)이었다. 음향학적 평가는 CSL(computerized speech lab)의 MDVP(Multi-Dimensional Voice Program)와 VRP(Voice Range Profile)를 통해 평가하였다. 공기역학적 평가는 PAS(Phonatory Aerodynamic System)를 통해 평가하였다. MDVP를 통해 치료 전 후 기본주파수(Fo), 주파수변동률(Jitter), 진폭변동률(Shimmer), 소음대배음비(NHR)의 변화를 측정하였고, VRP에서는 치료 전 후 주파수 범위(Fo range), 강도범위(Energy range)를 측정하였다. PAS에서는 치료 전 후 폐활량(FVC), 최대연장발성시간(PHOT), 평균호기류율(MEAF), 성문하압(MPAP), 음성효율성(AEFF)의 변화를 알아보았다. 후두스트로보스코피에서는 치료 전 후 양측 성대의 규칙성, 대칭성, 점막파동, 진폭 변화 소견을 알아보았다. 음성치료는 총체적 음성치료 접근법 중 하나인 VAT 프로그램을 환자별로 주 1회 실시하였다. 환자별 평균 치료 회기는 6.5회였다. 연구결과, MDVP에서는 Jitter, Shimmer, NHR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1, p<.01, p<.05). VRP 결과, 주파수 범위에서 Hz와 Semitones이 치료 후 유의미하게 향상하였다(p<.01, p<.05). PAS 결과, FVC, PHOT에서 유의미한 향상이 나타났다(p<.01, p<.001). 후두스트로보스코피 결과 치료 후 기능적 음성장애, 인후두역류질환, 양성성대점막질환군에서 성대소견이 정상범주에 해당하였다. 따라서 VAT 프로그램은 음성장애환자의 음향학적 공기역학적 후두스트로보스코피 측면에서의 음성 개선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차후 연구에서는 동일 집단의 음성장애 환자에게 VAT 적용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또한 객관적인 음성 개선뿐만 아니라 주관적 음성 개선을 알아볼 필요가 있다. 나아가 직업적 음성사용자를 대상으로 VAT 효과에 대한 적용연구가 필요가 있다.

성대마비와 양성 성대점막질환의 음향학적 특성비교 (Comparative Study on Acoustic Characteristics of Vocal Fold Paralysis and Benign Mucosal Disorders of Vocal Fold)

  • 공일승;조영주;이명희;김종승;양윤수;홍기환
    • 대한후두음성언어의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22-128
    • /
    • 2007
  •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voices of the patients with voice disorders including vocal fold paralysis, vocal fold cyst and vocal nodule/polyp in the aspect of acoustic phonetics. This study intends to collect subsidiary acoustic data in order to make a speech treatment and an standardization of vocal disorders. Subjects and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64 adult patients who underwent indirect laryngoscopy and laryngostroboscopy, and were diagnosed as vocal fold paralysis, vocal fold cyst or vocal nodule/polyp. Experimental group consisted of 20 patients who were diagnosed as vocal fold paralysis, 21 patients who were diagnosed as vocal fold cyst and had the average age of 42.0 $({\pm}10.03)$ ; and 23 patients who were diagnosed as vocal nodule/polyp and had the average age of 40.9 $({\pm}13.75)$. For the methodology of this study, the patients listed above were asked to sit in a comfortable position at intervals of 10cm apart from the patient's mouth and a microphone, and subsequently to phonate a vowel sound /e/ for the maximum phonation time with natural tone and vocal volume then the sound was directly inputted on a computer. During recording, sampling rate was set to 44,100Hz and the 1-second area corresponding to stable zone except the first and the last stage of waveform of the vowel sound /e/ vocalized by the individual patients was analyzed. Results: Firs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jitter and shimmer between vocal fold paralysis and vocal fold cyst, while there was highly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m between vocal fold paralysis and vocal nodule/polyp. Second, looking into the mean values obtained from NNE, HNR and SNR results associated with noise ratio, the disease showing the most abnormal characteristics was vocal fold paralysis, followed by cyst and nodule/polyp in order. For NNE,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vocal nodule/polyp, and cyst or paralysis. In other words, it was found that the NNE of vocal nodule/polyp was weaker than that of cyst or paralysis. Similarly, HNR and SNR also showed the same characteristics;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vocal fold paralysis and vocal fold cyst or nodule/polyp, and HNR and SNR values of vocal fold paralysis were lower than those of vocal fold cyst or nodule/polyp. Conclusion: For vocal fold paralysis, the abnormal values of acoustic parameters associated with frequency, amplitude and noise ratio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vocal fold cyst and nodule/polyp. This finding suggests that the voices of the patients with vocal fold paralysis are the most severely injured due to less stability of vocal fold movement, asymmetry and incomplete glottic closure. In addition,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coustic parameters of tremor among vocal fold paralysis, vocal fold cyst and vocal nodule/polyp. Further studies need to ascertain reasonable acoustic parameters with various vocal disorders as well as to clarify the correlation between acoustics-based objective tools and subjective evaluation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