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양성종양

Search Result 883,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임상가를 위한 특집 2 - 구강악안면영역에서 양성 종양의 영상진단

  • Kim, Gyeong-A
    • The Journal of the Korean dental association
    • /
    • v.47 no.10
    • /
    • pp.637-646
    • /
    • 2009
  • 양성 종양(benign tumor)을 언급하기에 앞서 과오종(hamartoma) 및 과다 형성(hyperplasia)과의 차이를 구분할 필요가 있다. 양성 종양은 기원조직과 유사한 조직이 이상 증식하는 것으로 서서히 성장하지만 일반적으로 치료하기 전까지 이상 증식을 지속하는 진성 신생물을 일컫는다. 이에 비해 과오종은 정상 조직이 무질서하게 과증식하는 것으로 일정기간 후에는 성장을 멈추기 때문에 진성 신생물로 간주하지 않는다. 그러나 일부 과오종이 양성 종양에 포함되기도 하는데, 예를 들어 치아종은 정상적인 치성 조직의 성장이 완료되는 시기와 거의 동일한 시기에 성장을 멈추지만 양성 종양으로 분류된다. 과다 형성은 조직의 세포가 정상적인 배열 양상을 보이면서 세포의 수가 증가하는 것으로 지속적인 성장 양상을 보이지만 그 성장이 제한적이므로 양성 종양과는 구별된다. 양성 종양은 일반적으로 무통성으로 서서히 성장하기 때문에 종양의 크기가 증가하여 안면 종창이나 동통 등을 유발하는 경우에 발견될 수 있으며, 방사선검사에서 우연히 발견되기도 한다. 방사선검사는 병소의 위치, 범위, 특징 및 병소와 인접 해부학적 구조와의 관계 등 많은 방사선학적 진단 정보를 제공한다. 일부 종양은 방사선사진에서 매우 특징적인 소견을 나타내기 때문에 방사선학적 소견으로 예비 진단을 할 수 있을 정도의 진단정보를 제공하기도 하는 반면 어떤 종양들은 방사선사진에서 관찰되는 소견이 매우 유사하여 진단에 어려움을 주기도 한다. 따라서 종양의 확진을 위해서는 생검이 필수적이며, 방사선검사는 반드시 생검에 앞서 진행되어야만 정확한 방사선학적 진단을 할 수 있다. 양성 종양은 각각의 특징적인 방사선학적인 소견을 나타내지만 일반적으로 관찰되는 양성 종양의 특징이 존재하므로 이러한 일반적인 특징을 관찰하여 병소가 양성인지 악성인지를 감별할 수 있다. 첫째, 양성 종양은 대개 호발하는 부위가 있으므로 종양의 발생부위는 감별 진단을 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치성 병소는 치아가 형성되는 하악관 상방의 치조돌기에서, 혈관성 및 신경성 병소는 하악관 내에서, 연골성 종양은 하악과두와 같이 연골세포가 잔존되어 있는 부위에서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둘째, 양성 종양은 대체로 명확한 경계와 피질골성 변연을 보이며, 종종 병소가 결체조직으로 둘러싸여 있어 병소 주위에 방사선투과성 띠가 관찰되기도 한다. 셋째, 양성 종양은 일반적으로 인접 주위 조직에 압력을 가하면서 서서히 성장하기 때문에 인접 치아의 변위 또는 흡수, 피질골의 비박, 팽융 등의 소견을 보이며 피질골의 천공은 드물다. 방사선학적으로 양성 종양의 병소 내부는 방사선투과상으로 관찰되거나, 방사선불투과상으로 관찰되거나, 방사선투과상과 방사선불투과상이 혼재된 상으로 관찰된다. 저자는 이 지면에서 이러한 방사선학적 특징을 기초로 하여 구강악안면영역에 발생하는 양성 종양을 분류하고 각각의 특징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 PDF

On the Classification of Normal, Benign, Malignant Speech Using Neural Network and Cepstral Method (Cepstrum 방법과 신경회로망을 이용한 정상, 양성종양, 악성종양 상태의 식별에 관한 연구)

  • 조철우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8.06e
    • /
    • pp.399-402
    • /
    • 1998
  • 본 논문에서는 환자의 음성을 정상, 양성종양, 악성종양으로 분류하는 실험을 켑스트럼 파라미터를 통한 음원분리와 신경회로망을 이용하여 수행하고 그 결과를 보고한다. 기존의 장애음성 데이터베이스에는 정상음성과 양성종양의 경우만 수록되어 있었고 외국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경우만 있었기 때문에 국내의 환자들에게 직접 적용할 경우 어떠한 결과가 나올지 예측하기가 어려웠다. 최근 부산대학교 이비인후과팀에서 수집한 국내의 정상, 양성, 악성종양의 경우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분석하고 신경회로망에 의해 분류함으로써 사람의 음성신호만에 의한 후두질환이 식별이 가능하였다. 본 실험에서는 식별 파라미터로 음성신호의 선형예측오차신호에 관한 켑스트럼으로부터 음원비인 HNRR을 구하여 Jitter, Shimmer와 함께 사용하였다. 신경회로망은 입, 출력 층과 한 개의 은닉층을 갖는 다층신경망을 이용하였으며, 식별은 두단계로 나누어 정상과 비정상을 분류한 후 다시 비정상을 양성과 악성으로 분류하였다[1].

  • PDF

Benign Schwannoma of the Esophagus Removed by Enucleation (식도에서 발생한 신경초종 수술례)

  • 박승일;이용직;박창률;최인철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v.34 no.5
    • /
    • pp.434-436
    • /
    • 2001
  • 식도의 양성 종양은 흔하지 않았으며 이중 신경초종은 아주 드문 식도 양성종양이다. 봉원에서는 점점 심해지는 연하곤란을 주소로 내워한 52세 여자환자에서 식도에 생긴 신경초종을 우측 개흉술을 통한 종양 적출술로 성공적으로 제거 하였기에 이에 문헌 고찰과 더불어 증례 보고하는 바이다.

  • PDF

Morphological Feature Analysis of Breast Nuclei for Diagnosis of Breast Cancer (유방질환 진단을 위한 유방 종양 세포핵의 형태학적 특성 비교.분석)

  • 황해길;최현주;최흥국;윤혜경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1.06a
    • /
    • pp.91-94
    • /
    • 2001
  • 유방 질만 분석을 위한 병리진단에서는 암종세포의 세관형성 정도와 핵의 다형성과 유사분말정도를 기준으로 하여 나누는 방법이 용이하고 재현성이 높다. 그 중에서도 세포핵의 크기와 다형성, 핵과 세포질의 비율은 양성종양과 악성종양을 분류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요소중의 하나이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유방 질단 영상에서 세포핵을 추출하여, 핵의 형태학적 특징값인 핵의 연적 둘레, 가로·세로(장·단축)의 길이를 구하고 핵과 세포질의 비율을 계산한 후, 추출한 형태학적 특성 칸들이 양성종양과 악성종양으로 분류하는데 있어서 유의한 특성 값인지 비교·분석하였다.

  • PDF

Tumors of the Foot (족부의 종양)

  • Shin, Duk-Seop;Park, Sung-Hyuk;Ahn, Jong-Chul
    • The Journal of the Korean bone and joint tumor society
    • /
    • v.9 no.1
    • /
    • pp.69-76
    • /
    • 2003
  • Purpose: This study was designed to provide the data base for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the foot tumor by investigation of the clinical and pat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distribution of the foot tumor. Materials and Methods: 142 foot tumors of 141 patients were studied. All patients were diagnosed with surgical biopsy. We investigated clinical and pat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epidemiologic distribution of the foot tumor by reviewing the medical records and imaging materials. The location of the tumors were classified with zone of Kirby et al. Results: 75 patients were female and 66 were male. The average age of the patients was 33.2 years old. Benign soft tissue tumors were the most as 68 cases, and followed by 57 benign bone tumors, 12 malignant soft tissue tumors and 5 malignant bone tumors. Ganglia were the most in benign soft tissue tumors as 36 cases, subungual exostoses in benign bone tumors as 18, squamous cell carcinomas in malignant soft tissue tumors as 7, and metastatic lung cancers in malignant bone tumors as 2. The rate of pain complaints was the highest in malignant bone tumors, the duration of symptom was longest in benign soft tissue tumors, and the size of the tumor was the biggest in malignant bone tumors. Neurological symptoms were found in only 3 benign soft tissue tumors. For the zonal distribution, zone 5 was the most in 59 cases and zone 4 was the least as 10. The most numbers of the benign bone tumors located in zone 5, of benign soft tissue tumors in zone 1, of malignant bone tumors in zone 1 and 2, and of malignant soft tissue tumors in zone 5. The methods of surgical treatment included intralesional or marginal resection, curettage with or without bone graft, toe amputation, below knee amputation and limb salvage. Conclusion: The tumors of the foot were rare and various, and mostly benign (88%), but we can do proper treatment of those tumors without excluding malignant tumors by considering the age of patients, pain, duration of symptom, size of the tumors, and zonal distribution.

  • PDF

A Clinical Study on Tumors of the Parapharyngeal Space (부인두강 종양의 임상적 고찰)

  • Kim Young-Min;Rho Young-Soo;Park Young-Min;Lim Hyun-Joon
    • Korean Journal of Head & Neck Oncology
    • /
    • v.10 no.1
    • /
    • pp.38-45
    • /
    • 1994
  • 부인두강(Parapharyngeal space)는 비인두강과 구인두강에 인접하여 위로는 두개저, 아래로는 설골사이에 위치하는 해부학적 잠재공간으로 이곳에 발생하는 종양은 매우 드무나 다양한 병리조직학적 소견을 보이며 인접한 중요장기들로 인한 수술적 어려움으로 두경부 외과의사의 관심이 되어 왔다. 최근 CT나 MRI의 도입으로 이학적 검사가 어려웠던 이부위의 진단에 많은 도움을 얻게 되었고, 발달된 수술방법의 사용으로 크기가 매우 큰 종양도 절제가 가능하게 되었다. 저자들은 1990년 9월부터 1993년 8월까지 한림대학교 이비인후과학교실에서 술전 CT나 MRI를 시행한 후 조직검사로 확진된 부인두강 종물 22례의 후향적 임상분석을 시행하여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1) 양성종양이 11례(30.0%), 악성종양이 11례(50.0%)로 빈도에 차이는 없었다. 2) 종양의 조직학적 기원은 타액선종양이 10례(45.5%)로 가장 많았으며 신경종양이 4례(18.2%)였고 기타 종양이 8례(36.4%)로 다양하였다. 3) 방사선학적 진단방법으로는 18례(81.8%)에서 CT를 시행하였고 필요한 경우에 MRI를 5례(22.7%), 혈관조영술을 3례(13.6%)에서 시행하였다. 4) 치료방법으로는 악성종양은 수술 및 방사선치료 또는 항암약물요법을 병리조직검사 결과에 따라 단독 또는 병합하여 시행하였고, 양성종양의 경우에는 모두 수술을 시행하였는데 수술방법은 경이하선 접근법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5) 추적조사는 평균 20개월로 양성종양의 경우는 모두 종양의 재발이 없이 치료되었으나 악성종양 중 전이암 1례와 악성 임파종 1례가 사망하였다.

  • PDF

Review of Primary Chest wall Tumors (원발성 흉벽종양의 임상적 고찰)

  • Sohn, Sang-Tae;Chon, Soon-Ho;Shin, Sung-Ho;Kim, Hyuck;Chung, Won-Sang;Kim, Young-Hak;Kang, Chung-Ho;Park, Moon-Hang;Jee, Heng-Ok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v.31 no.10
    • /
    • pp.988-994
    • /
    • 1998
  • Background: Chest wall tumors can classified into soft tissue tumors and bone tissue tumors and can be subclassified into benign and malignant tumors. Materials and methods: We report an analysis of 68 patients with primary chest wall tumors treated at the department of thoracic and cardiovascular surgery at Hanyang University Hospital from January, 1973 to September 1997. Results: Among a total of 68 patients 33(48.5%) were males and 35(51.5%) were females. The ages of the patients ranged from 10 to 79 years with a mean age of 39.3 years. According to the age distribution, 23 patients (33.8%) were from the 4th decade, 12 patients(17.6%) were from the 6th decade, and 10 patients(14.7%) were from the 5th decade. Among the primary chest wall tumors, 53 cases were benign and 15 cases were malignant. Among the benign tumors, 17 cases(32.1%) were in the 4th decade and among the malignant tumors, 6 cases(40%) were in the 4th decade. In both malignant and benign tumors the most common ages were in the 4th decade. The most common tumors were fibrous dysplasia and chondroma, each with a total of 14 cases(26.4%). Osteochondroma and lipoma each had 8 cases(15.1%). Among malignant tumors, osteosarcoma was most common with 8 cases (53.3%). According to location, 49 cases occured in both bone and cartilage tissue, 19 cases occurred in cartilage. Among the presenting symptoms, palpable mass was present in all cases. Fifty-one patients complained of tenderness and among cases with involvement of the lung, 3 patients had complained of respiratory distress. Among the malignant tumors 6 cases underwent a radical operation and 4 cases of benign tumors underwent a radical operation. Postoperativly, there was one case with recurrence from a desmoid tumor. There were no deaths postoperativly and no deaths due to complications(and their postoperative courses were uneventful). Conclusions: Most patients with primary chest wall tumors initially present with mass at admission. Resection is sufficient treatment for benign tumors but in malignant tumors wide resection of the chest wall is needed and mchest wall reconstruction.

  • PDF

Imaging Diagnosis in Salivary Gland Tumors (타액선 종양의 영상진단)

  • Han Moon-Hee
    • Korean Journal of Head & Neck Oncology
    • /
    • v.9 no.1
    • /
    • pp.88-90
    • /
    • 1993
  • 병변의 양상에 따른 감별진단 재발성 이하선 종대를 보이는 경우 타액선조영술이 영상진단방법중 1차적인 선택이 된다. Stensen 씨관이나 중심선관(central glandular duct)의 확장을 보이는 경우 만성 타액선염으로 진단할 수 있다. 소아에서의 단일성 양성종괴의 감별진단은 임파절, 혈관종, 양성혼합종양, 저급점액상피암, 임파관종 등이다. 성인에서의 단일성, 양성으로 관찰되는 종괴는 양성혼합종양, Warthin씨 종양, 저급점액상피암, 선상낭성암, 소포상세포암 등이다. 여러개의 종괴를 보이는 경우 Warthin씨 종양, 소포상세포암, 임파종, 육아종, 전이암 등이며 단일성 낭성종괴의 경우는 branchial cleft cyst,, Warthin씨 종양, 상피낭포 등이다.

  • PDF

Clinical Experiences of the Orbital Tumors (안와종양의 임상경험)

  • Lee, Kyung-Ha;Chung, Wha-Sun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v.13 no.1
    • /
    • pp.78-85
    • /
    • 1996
  • The authors reviewed 95 cases(46 men and 49 women) of the orbital tumors diagnosed histopathologically at the Department of Ophthalmology, Yeungnam University Hospital from March 1984 through August 1994. Seventy-five cases of benign tumors were found evenly in all decades, but twenty cases of malignant tumors were noticed more frequently in 1st, 6th, and 7th decades. The frequency of benign orbital tumors was in this order; dermolipoma(21%, 20 cases), dermoid cyst(11.6%, 11 cases), mucocele(8.4%, 8 cases), lipoma(7.4%, 7 cases) and pleomorphic adenoma(5.3%, 5 cases). Of malignant orbital tumors, the frequency was in this order; retinoblastoma(3 cases), malignant melanoma(2 cases), sebaceous carcinoma(2 cases), and maxillary sinus carcinoma(2 cases). Malignant orbital tumors of 8 expired patients were revealed as secondary or metastatic tumors.

  • PDF

Role of Endoscopic Ultrasonography in the Diagnosis of Gastrointestinal Stromal Tumors in the Stomach (위의 위장관 간질성 종양에 대한 내시경 초음파의 진단적 역할)

  • Yoon, Ji-Hoon;Kim, Hyun-Chul;Choi, Chang-Soo;Oh, Sang-Hoon;Choi, Young-Kil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v.5 no.2
    • /
    • pp.120-126
    • /
    • 2005
  • Purpose: Endoscopic ultrasonography (EUS) is a useful imaging procedure for the diagnosis of submucosal tumors in the stomach.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EUS features of benign and malignant gastrointestinal stromal tumors(GISTs) and assessed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Materials and Methods: Thirty patients with a GIST in the stomach were included in the study (23 benign and 7 malignant GISTs). We compared characteristic EUS findings (tumor size, location of tumor, regularity of the outer margin, echoheterogeneity, presence of cystic spaces, echogenic foci and mucosal ulceration) between benign and malignant GISTs. Results: Tumor sizes over 40 mm were observed in $85.7\%$ of the malignant and $8.7\%$ of the benign tumors (P=0.000). Intralesional cystic spaces were noted in $71.4\%$ of the malignant and $8.7\%$ of the benign tumors (P=0.003). The outer margin was irregular in $71.4\%$ of the malignant and $8.7\%$ of the benign tumors (P=0.014). $85.7\%$ of the malignant and $13.0\%$ of the benign tumors had an echo-heterogeneity in the tumor (P=0.001). The locations of tumor and the presence of echogenic foci or mucosal ulcerations were not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Conclusion: Tumor sizes over 40 mm, intralesional cystic spaces, irregular outer margins, and echo-heterogeneity in the tumor were significantly more frequent in malignant GISTs. EUS can provide informations in differentiating benign from malignant GIST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