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양면형 태양전지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22초

양면형 태양전지 기술 개발 동향 -효율향상, 성능측정 및 응용기술

  • 강준구;김준태
    • 한국태양광발전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57-64
    • /
    • 2015
  • 본고에서는 실리콘 기판을 기반으로 하는 태양전지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태양전지 전면뿐만 아니라 후면에도 전극을 배치하여 광흡수를 극대화한 양면형 태양전지의 연구 개발, 성능 측정 및 응용 기술 등에 대한 동향을 소개하고자 한다.

  • PDF

양면수광형 태양전지 성능평가를 위한 이중광원활용 측정 방법

  • 김수민;정상훈;김용배;최규석
    • 한국태양광발전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6-13
    • /
    • 2018
  • 최근 산업용 태양광 발전시장에서 주목 받고 있는 양면수광형 태양전지의 경우 지면 반사광(Albedo)의 영향으로 추가적인 광생성(Photogeneration)이 발생하여 태양전지의 전환효율(Conversion efficiency)을 증가시켜 주기 때문에 시장에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장점에도 불구하고 몇 가지 문제에 대한 논의가 진행되고 있는데 그 중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은 양면수광형 태양전지의 효율을 정의하는 부분이다. 양면수광형 태양전지의 효율을 정의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연구가 진행되었지만 현재까지 국제적인 기준이 제정되지 않아 정확한 효율의 정의가 어려운 상황이다. 양면수광형 태양전지의 성능 확인을 위한 측정 방식은 단일광원(Single light source) 조사 방식, 단일광원 분할(Single light splitter) 조사 방식, 이중광원(Double light source) 조사 방식으로 나눌 수 있다. 본고에서는 이중광원 조사 방식을 이용하여 후면 반사광의 광원을 개별적으로 정의함으로써 실제 발전 환경과 동일한 조건의 광량 정의를 통하여 다양한 지면 반사 조건에 대하여 정확한 태양전지의 전환효율을 측정하고 이를 통하여 다이오드 특성을 추출할 수 있는 측정 방식에 대하여 논하고자 한다.

  • PDF

양면형 BIPV 시스템의 커튼월 적용에 따른 온도 및 발전특성 분석 (Analysis of Temperature and Power Generation Characteristics of Bifacial BIPV System Applied into Curtain Wall)

  • 강준구;김용재;김준태
    • 한국태양에너지학회 논문집
    • /
    • 제35권4호
    • /
    • pp.57-66
    • /
    • 2015
  • BIPV system not only produces electricity at building, but also acts as a material for building envelope. Thus, it can increase the economical efficiency of PV system by saving the cost for building materials. Bifacial solar cell can convert solar energy to electrical energy from both sides of the cell. In addition, it is designed as 3 busbar layout which is the same with ordinary mono-facial solar cells. Therefore, many of the module manufacturers can easily use the bifacial solar cells without changing their manufacturing equipments. Moreover, bifacial PV system has much potential in building application by utilizing glass-to-glass structure of PV module. However, the electrical generation of the bifacial PV module depends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building surface which faces the module, as well as outdoor environment. Therefore, in order to apply the bifacial PV module to building envelope as BIPV system, its power generation characteristics are carefully evaluated. For this purpose this study focused on the electrical performance of the bifacial BIPV system through the comparative outdoor experiments. As a result, the power generation performance of the bifacial BIPV system was improved by up to 21% compared to that of the monofacial BIPV system. Therefore, it is claimed that the bifacial BIPV system can replace the conventional BIPV system to improve the PV power generation in buildings.

에너지 생산성 분석 기반 양면발전형 수직 태양전지의 활용 가능성 탐색 (A Study on the Applicability of Double-Sided Vertical Photovoltaic Panels Based on Energy Productivity Analysis)

  • 최승주;한승훈
    • 신재생에너지
    • /
    • 제19권4호
    • /
    • pp.84-97
    • /
    • 2023
  •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feasibility and potential applications of utilizing bifacial photovoltaic (PV) panels from an architectural perspective. It also aimed to establish a foundational dataset for installation and operational guidelines for bifacial PV panels through a comparative analysis of energy production performance with single PV panels. The research encompassed several key steps, including a comprehensive literature review, calculation of solar surface radiation values, development of datasets for bifacial and single PV energy production, and a performance comparison between both approache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bifacial PV panels exhibit optimized energy production capabilities within the range of 40 to 80 degrees, contingent upon the specific installation location. Consequently, it is recommended that the installation of bifacial PV panels in Korea should primarily focus on southwest-to-west orientation. Furthermore, it was concluded that bifacial PV panels could contribute an equivalent or even superior level of energy production compared to single PV panels, even if their performance exhibited a marginally lower efficiency of 2% to 5% with an 18% power generation efficiency.

박막 Si태양전지 응용을 위한 유리기판 위의 AZO-Ag 이중구조 배면전극의 전기광학적 특성 (Electrical and optical properties of back reflecting layer with AZO-Ag bilayer structure on a glass substrate for thin film Si solar cell applications)

  • 박재철;홍창우;최용성;이종호;김태원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대회 초록집
    • /
    • pp.124.2-124.2
    • /
    • 2011
  • 현재 박막형 태양전지는 실리콘계가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유리기판 또는 유연성 기판에 비정질 실리콘 박막을 형성시킨 태양전지와 실리콘 기판 양면에 태양전지를 형성하는 방법 등 효율을 극대화시킨 이종접합 태양전지 등이 연구되고 있다. 예컨대 밴드갭이 서로 다른 박막들 간의 이종접합을 이용한 tandem 구조 및 triple 구조의 Si 박막 태양전지의 경우 13%대 변환효율을 나타낸다고 보고된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비정질 Si 박막 태양전지 내 흡수층의 효율을 최대화하기 위하여 AZO/Ag 이중구조 박막의 특성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고자 한다. combinatorial sputtering system을 이용하여 AZO/Ag 이중구조 박막을 제작하였으며 타겟으로는 4-inch target(Ag, 2wt% Al2O3 doped ZnO)이 사용되었다. 유리기판 상에 combinatorial sputter system으로 상온에서 제작된 Ag 박막의 두께는 25nm로 성장시켰으며 연속공정으로 AZO 박막을 제작하였고, AZO 박막은 100~500nm의 두께경사를 나타내었다. 이 때 유리기판상에 성장된 Ag/AZO 박막의 면저항은 약 $2{\Omega}/{\Box}$ 값을 나타내었다. 본 발표에서는 AZO/Ag 이중 구조 박막의 우수한 전기적 특성을 기반으로 표면 거칠기 및 반사도 특성 등에 관하여 추가적으로 토론한다.

  • PDF

인조잔디 바닥종류에 따른 양면수광형 실리콘 태양광 모듈의 발전성능 평가 (Evaluation of Power Generation Performance for Bifacial Si Photovoltaic Modules installed on Different Artificial Grass Floors)

  • 유영균;서영주;박도현;김민수;장호준;권영훈;황보철;김우경;장성호
    • 에너지공학
    • /
    • 제27권3호
    • /
    • pp.1-9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양면수광형 태양광 발전시스템의 바닥면 적용을 목적으로 개발된 고반사율 인조잔디를 적용하여 태양광 모듈의 발전성능 옥외실증평가를 실시하였다. 사용된 모듈은 60셀 규격의 단면수광형 모듈과 2종의 양면수광형 모듈이며, 양면수광형 모듈들은 각각 split-type과 일반 box-type의 정션박스가 부착된 모델이다. 평가결과 양면모듈의 split-type 정션박스가 일반 box-type 정션박스 대비 후면출력개선에 크게 도움이 되었고, 이는 energy yield 향상으로 이어졌다. 양면수광형 모듈은 단면모듈 대비 일반 시멘트 바닥면에서는 평균적으로 28-29%, 인조잔디 바닥면에서는 29-33% 정도의 발전량 향상 (bifacial gain)을 보였다. 인조잔디의 경우 반사율을 높힌 시편의 경우 반사율(Albedo)이 0.18로 기존의 단모 및 장모의 반사율 0.14-0.15 보다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고, 이는 bifacial gain의 기존 29-30% 수준에서 33%로의 개선을 달성하였다.

SAIT에서의 전극함몰형 태양전지에 관한 최근 연구동향 (Present status of buried contact solar cell research in Samsung advanced institute of technology (SAIT))

  • A.U. Ebong;S.H. Lee;D.S. Kim;Y.H. Cho;C.E. Cho
    • 한국결정성장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399-405
    • /
    • 1996
  • 이 논문은 현재 삼성종합기술원에서 연구개발이 진행중인 태양전지의 현항을 소개하고, 미래의 연구를 예측해 보기위한 리뷰성 논문이다. 전극함몰형 태양전지의 공정결과를 기판별로 특성을 조사하고, 보다 저가 공정인 전극함몰형 양변 태양전지의 공정과 비교함으로서, 그 제작 가능성을 분석하였다. 양면 태양전지는 루프 타일형에 가장 적합한 것으로 사료되며, 변환효율은 18~20 %로 예상된다.

  • PDF

Flexible 박막 Si태양전지 응용을 위한 SUS기판 위의 AZO-Ag 이중구조 배면전극의 전기/구조적 특성 (Electrical and structural properties of back reflecting layer with AZO-Ag bilayer structure on a stainless steel substrate for thin film Si based solar cell applications)

  • 홍창우;최용성;박재철;이종호;김태원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대회 초록집
    • /
    • pp.125.1-125.1
    • /
    • 2011
  • 빛 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발전소자인 태양전지는 청정 재생 에너지원으로 최근 Si 박막 태양전지의 고 효율화를 위해 여러 기술적인 면에서 개발되어지고 있다. 현재 박막형 태양전지는 실리콘계가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유리 혹은 유연성기판(금속 or 고분자)에 비정질 실리콘 박막을 형성시킨 태양전지와 실리콘웨이퍼의 양면에 태양전지를 형성함으로써 효율을 극대화시킨 이종접합태양전지 등이 연구되고 있다. 특히 flexible 태양전지는 hard 기판에 비해 비교적 저가인 플라스틱 필름과 금속 foil을 기판으로 이용함으로서 저가화가 용이하며, 가볍고 유연성을 갖추고 있어 휴대와 시공에 있어 매우 우수한 장점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flexible 기판(stainless steel)을 이용하여 태양전지 내 반사막 층이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AZO/Ag 이중구조 박막의 특성을 연구하였다. RF magnetron sputtering system을 이용하였으며, 상온에서 Ag/AZO 이중구조 박막을 제조하였다. stainless steel 기판 위에 Ag층을 25nm 두께로 증착하였으며 연속공정으로 AZO 박막을 100~500nm의 두께경사를 가지도록 성장시켰다. 이 때의 AZO/Ag 이중구조 박막의 표면 morphology는 AFM 분석결과 7nm~3nm의 값을 나타내었으며, AZO 박막의 두께가 증가할수록 rms 값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본 발표에서는 flexible 기판 상에 성장된 AZO/Ag 이중구조 박막의 전기적, 광학적 특성 등에 관하여 추가적으로 토론한 후 태양전지 효율 중 흡수층 내 반사막 층이 미치는 역할을 알아보겠다.

  • PDF

대면적 양면형 슁글드 모듈을 위한 셀 전극 패턴에 따른 출력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Output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Cell Electrode Pattern for a Large-area Double-sided Shingled Module)

  • 어승아;김주휘;이재형
    • 신재생에너지
    • /
    • 제18권4호
    • /
    • pp.64-69
    • /
    • 2022
  • Double-sided photovoltaic (PV) modules have received significant attention in recent years as a technology that can achieve higher annual energy production rates than single-sided modules. The shingled technology is a promising method for manufacturing high-density and high-power modules. These modules are divided by laser and joined with electrically conductive adhesives. The output efficiency of the divided cells depends on the division pattern and the electrode pattern, making it important to understand the output characteristics. In this study, the output characteristics of large-area double-sided light-receiving shingled cells with different split patterns and electrode patterns were investigated. The M6 size, with 6 divisions in the electrode pattern, had the highest efficiency when using 142 front fingers and 146 rear fingers. The M10 size, with 7 divisions, had the highest output when using 150 fingers equally in the front and rear. The M12 size, also with 7 divisions, showed the highest output characteristics when using 192 front fingers and 208 rear fingers.

고댐핑 요크 구조 적용 대형 태양전지판의 수동형 제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assive Vibration Control of Large Scale Solar Array with High Damping Yoke Structure)

  • 박재현;박연혁;박성우;강수진;오현웅
    • 항공우주시스템공학회지
    • /
    • 제16권5호
    • /
    • pp.1-7
    • /
    • 2022
  • 최근 인공위성 임무 고도화에 따라 고성능의 전장품이 탑재되어 시스템 소요전력이 증가되고 있다. 이에 따라 충분한 전력확보를 위하여 태양전지판 크기 또한 점차 증가하고 있다. 태양전지판의 크기 증가 및 중량화는 위성체 자세 기동 시 발생하는 진동과의 커플링 등에 의해 태양전지판 탄성 진동의 크기 증가를 유발한다. 상기 진동은 힌지 및 요크를 통해 위성체에 전달되어 지향성능이 요구되는 고정밀 관측위성의 지향성능과 직결되어 고해상도 영상 획득 임무 성능을 저하시킨다. 종래에는 태양전지판의 탄성 진동을 저감시키고자 고강도 설계에 집중 또는 별도의 보강재 및 댐퍼 시스템을 적용하였다. 그러나, 이는 부피 및 무게를 증가시키며 시스템 복잡성이 증가하는 한계점이 존재한다. 본 연구에서는 상기 한계점을 극복하고자 초탄성 형상기억합금(SMA: Shape Memory Alloy) 양면에 점탄성 테이프로 박막층을 적층함으로써 댐핑 특성을 극대화하였으며, 별도 시스템 적용없이 작은 부피 및 무게로 진동을 저감하여 시스템 경량화에 기여할 수 있는 설계기법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초탄성 SMA 적층형 태양전지판 요크를 태양전지판 더미에 적용시켜 자유감쇠시험 및 온도시험을 통해 설계 유효성을 입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