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약 배양

검색결과 1,652건 처리시간 0.027초

호알카리성 Alcaligenes sp.의 배양에 의한 ${\gamma}$-PGA의 생산 (${\gamma}$-PGA Production by Cultures of Alkalophilic Alcaligenes sp.)

  • 이신영;강태수김갑수
    • KSBB Journal
    • /
    • 제8권3호
    • /
    • pp.217-223
    • /
    • 1993
  • 호알카리성 Alcaligenes속의 한 균종응 이용하여 peptide계 생분해성 고분자인 ${\gamma}$-PGA( p이yglutarnic a acid}의 회분 맺 연속배양어l 의한 대량 생산성을 조사하였다. 화분배양시 ${\gamma}$-PGA의 생생량 벚 생산생은 포도당 농도 50g/P 까지 포도당의 농도증가에 따라 증가하였으나 최대 생산수율은 10gjP 의 포도당 농도 에서 얻어졌으며, 이때의 수율은 63% 이였다. 또, 비 증식속도는 포도당 농도 50g/l 에셔 약 $0.25hr^{-1}$로 최대값을 나타냈으나, 이 이상의 농도에서는 고농도 기섣에 의한 균체생육의 저해륜 나타내였다. 온도, pH 및 교반속도(rpm)를 독랩변수로 한 반응표면 분 석에 의한 ${\gamma}$-PGA 생산의 최적 희분배양 조건은 배 양온도 $31^{\circ}C$, pH 10 및 회전속도 87rpm의 정상점에 서 얻어졌으며, 이 조건에서 ${\gamma}$-PGA의 생산량은 약 11g/l 로 추정되었다. 연속배양의 경우 wash out은 희석률 0.5hr-1에서 일어났으며, 희석률 $0.40hr^{-1}$일 때 최대 생산성을 나타내였고, 최대 생산생은 2.80g/l/h로 회분배양보다 약 9배 높았다.

  • PDF

Rhizoctonia solani의 균사융합군 및 배양형별 작물에 대한 병원성 (Pathogenicity of Anastomosis Groups and Cultural Types of Rhizoctonia solani on Crops)

  • 김완규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21-32
    • /
    • 1996
  • Rhizoctonia solani 균주들의 각 균사융합군 및 배형별 72종의 기주작물에 대한 병원성을 접종실험에 의해 조사하였다. 33종의 작물에서 단독으로 분리된 균사융합군 및 배양형은 그 기주작물에 병원성이 강하였으며, 8종의 작물에서 단독으로 분리된 것들은 병원성이 약하거나 강하였고, 6조의 작물에서 단독으로 분리도니 것들은 병원성이 약하거나 없었다. 26종의 작물에서 같이 분리된 균사융합군 및 배양형은 그 기주작물에 대한 병원성이 대부분 다르거나 간혹 비슷했다. AG-1(IA)는 1종을 제외한 기주작물에 잎마름병 혹은 잎썩음병과 잎집무늬마름병을 일으켰다. AG-1(IB)는 19종의 기주작물에 잘록병과 잎마름병 혹은 잎썩음병을 일으켰으나, 9종의 기주작물에는 병징을 약하게 유발시키거나 혹은 유발시키지 못했다. AG-1(IC)는 2종의 유채속작물에 잘록병과 밑둥썩음병 혹은 잎썩음병을 일으켰다. AG-2-1은 1종을 제외한 기주작물에 잘록병, 밑둥썩음병, 관부썩음병, 눈마름벼, 뿌리썩음병, 잎마름병을 일으켰다. AG-202(IIIB)는 기주작물에 뿌리 및 줄기썩음병, 잎마름병, 잘록병, 잎자루썩음병을 일으켰다. AG-2-2(IV)는 기주작물에 잘록병, 관부썩음병, 줄기썩음병, 라이족토니아마름병을 일으켰다. AG-3은 감자에 검은무늬썩음병을 일으켰다. AG-4는 42종의 기주작물에 여러 가지 병을 일으켰으나, 3종의 기주작물에는 잘록병, 눈마름병, 잎집무늬마름병을 일으켰으나, 9종의 기주작물에는 병징을 약하게 유발시키거나 혹은 유발시키지 못했다.

  • PDF

작약의 화분배양에 의한 캘러스 및 배발생 (Callus Induction and Embryogenesis Through Pollen Culture in Paeonia albiflora PALL)

  • 김영숙;이병기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3-17
    • /
    • 1995
  • 작약의 화분배양에 의한 반수체 식물을 유기시킬 목적으로 화분배양을 실시하여 배양중 소포자의 변화를 관찰하고 캘러스 및 배발생에 미치는 저온전처리(5$^{\circ}C$/10 days)의 효과와 배양화분의 생존율을 조사하였다. 작약의 화분배양시 캘러스 및 배발생에는 저온전처리의 효과가 다소 인정되었으나 약배양의 효과에는 미치지 못하였다. 화분를 첨가한 고체배지에 이식했을 때 구형배가 형성되었다. 화분의 생존율에는 저온전처리 및 배지조성간 의 영향이 미치지 않았으며 배양기간이 지남에 따라 화분의 생존율도 저하되었다.

  • PDF

DNA marker를 이용한 벼의 조직배양 효율 재선 (Improvement of Cultural Efficiency Using DNA Markers in Anther and Seed Culture of Rice)

  • 김경민
    • 생명과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527-533
    • /
    • 2006
  • 벼의 약 및 현미 배양효율과 관련된 DNA marker를 이용하여 인디카형 벼 품종인 'IR 36'의 조직배양 효율을 개선하기 위하여 실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MGRI집단의 약배양에서 식물체분화율이 높은 계통으로 선발된 'MGRI 079'와 'MGRI 036'의 약배양 효율은 각각 19.8%, 19.9%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MGRI 079'에 'IR 36'이 여교배되어 양성된 $BC_2F_4$ 100 계통에 대한 marker 검정을 실시하여 선발된 34 계통중 약배양에서 캘러스 형성률이 'IR 36'보다 높은 계통은 30계통이었고, 현미배양에서 'IR 36'보다 식물체 분화율이 높은 계통은 $BC_2F_4-28$ 외 14 계통이었다. $BC_2F_4$ 34계통 중에서 식물체분화능력이 높은 계통으로 선발된 $BC_2F_4-28$은 간장이 'IR 36'보다 큰 편이었으나 출수기와 미립특성은 'IR 36'과 비슷하였다. 'MGRI 036'에 'IR 36'을 반복친으로 여교배하여 양성된 $BC_4F_3$ 50계통의 현미배양을 실시한 결과 'IR 36'보다 식물체 재분화율이 높은 계통은 $BC_4F_3-3$ 외 10 계통이었고, 그중 $BC_4F_3-46$의 식물체 재분화율이 11%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배양중인 개구리 여포의 cAMP 흡수와 분해 (Uptake and Degradadon of cAMP by Frog Follides in vitro)

  • 권혁방;나철호;안련섭;김경진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81-187
    • /
    • 1991
  • 양서류 여포를 배양할 때 외부에서 cAMP를 첨가하면 호르몬에 의한 난자의 성숙이 억제된다는 많은 보고가 있었다. 그러나 실제 외부의 cAMP가 여포내로 들어간다는 보고는 아직 없다. 본 연구에서는 배양액내의 cAMP가 여포내로 침투해 들어가는 현상과 들어간 cAMP의 분해과정을 radioimmunoassay로 조사하였다. 개구리 여포를 배양하면서 배양액에 난자의 성숙을 억제하는 농도의cAMP(2.5 mM)를 첨가한 후 일정시간 간격으로 여포내 축척된 cAMP의 농도를 조사한 결과 2시간에서 이미 기본수준(여포당 약 3 p mole)의 수십배로 증가하였다.(여포당 90 p mole). cAMP를 포함한 배양액에서 6시간 배양 후 보통 배양액으로 옮겨 배양하면서 일정 시간마다 여포내 cAMP의 농도를 측정한 결과 6시간 내에 cAMP농도가 여포당 160 p mole에서 약 10 p mole로 급격히 낮아졌다. 그러나 18시간 후에도 기본 수준으로까지 내려가지는 않았다. 이러한 cAMP의 감소과정이 progesterone이나 isobuty methylxanthine (IBMX)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았다. 배양중인 여포를 forskolin(9 u m)으로 자극했을 때에는 기본 수준의 약 3배정도로 cAMP의 농도가 증가하였다. 본 결과는 배양액내의 cAMP가 여포내로 투과해 들어가고 이들은 곧 여포에 의해 분해된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 PDF

키토산분해효소 생산을 위한 Bacillus sp. P16 배양조건의 최적화 (Optimization of Culture Conditions of Chitosanase-producing Bacillus sp. P16)

  • 정미라;조유영;지연태;박노동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2권3호
    • /
    • pp.193-198
    • /
    • 1999
  • 키토산분해효소를 분비하는 세균 Bacillus sp. P16의 최적배양조건을 조사하였다. 키토산분해효소 생산을 위한 최적 탄소원은 0.5%분말 키토산이었으며, 최적 질소원은 1% tryptone이었다. 최적온도는 $37^{\circ}C$였으며, 최적 초기 pH는 7.0이었다. 이 조건에서 $60{\sim}$72시간 배양하였을 때 효소 생산이 최고에 도달하였으며, 효소활성은 약 30% 증가하였다. 이를 발효조에서 배양하면 $6{\sim}$12시간 배양으로 최대활성에 도달하였으며, 효소 생산은 약 100% 증가하였다.

  • PDF

농토배양이 목도열병 발생에 미치는 영향 (Reduction of the Incidence of Rice Neck Blast by Integrated Soil Improvement Practice)

  • 김장규;이승찬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5-18
    • /
    • 1982
  • 우리나라 논 토양면적의 약 $32\%$에 해당하는 409, 901.9ha가 사질토양으로 그중 약 $74\%$인 303,683.3ha는 객토를 요하는 면적이다. 현재 정부에서는 쌀의 증산을 위하여 농토배양사업을 적극 추진하고 있는데 농토배양은 토양의 물리화학성을 개양하여 증수의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도열병의 발생억제에도 큰 효과가 있다. 본 시험에서는 농토배양을 했을 때 목도열병의 발생은 품종에 따라 객토하지 않은 논에 비하여 $6.3\~59.5\%$까지 적게 걸렸으며 목도열병의 발생경감효과는 일반계품종보다 통일계품종에서 더욱 컸다. 한편 농토 배양구에서 11개 공시품종의 토장은 평균 6.4cm 길었고 이삭수는 2.3개가 많았으며 현미중에 있어서도 평균 $24.1\%$의 증수효과가 있었다.

  • PDF

식물조직배양 접종공정 자동화 시스템 개발(I) - 캘러스 인식을 위한 영상처리 시스템- (Development of a Robot System for Plant Tissue Handling(I) - Image Processing System for Recognizing a Callus -)

  • 권기영;손재룡;강창호;정석현
    • 한국농업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업기계학회 2002년도 하계 학술대회 논문집
    • /
    • pp.345-350
    • /
    • 2002
  • 바이오테크놀로지(BT, biotechnology)는 21세기의 첨단과학기술로서 생명공학, 생물공학, 생물이용기술 등으로 불리우고 있으며(일농기학회, 2000), 이 중 실용화되고 있는 기술중의 하나가 식물조직의 배양기술이다(백, 1993),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나리, 호접란 등의 우량묘 대량증식을 위하여 조직배양기술을 이용하고 있으나 배양공정의 대부분이 인력에 의존하고 있고 배양묘 생산에 소요되는 비용의 약 60% 정도가 노동비용에서 발생되고 있다(정, 1995). 따라서 배양묘 생산의 여러 과정 중에서 수작업에 의한 작업부분을 로봇 화하여 배양묘 생산비용을 절감하려는 연구개발이 활발히 수행되고 있으며, 이중 주목을 받고 있는 것은 배양기에서 증식된 소식물체의 적출, 절단, 이식과 같은 추후의 증식과정이다 이 공정은 노동집약적일 뿐만 아니라 공정의 수작업에 따른 절단의 불균일성, 품질저하, 조작의 미숙련성, 잡균오염의 위험성 등의 문제점이 로봇화로 해결 가능하기 때문이다. (중략)

  • PDF

Steinernema carpocapsae로부터 분리된 Xenorhabdus nematophilus에 의한 살충물질 생산을 위한 최적 배양조건 (Optimal Cultur Conditions for the Production of Insecticidal Toxin by Xenorhabdus nematophilus Isolated from Steinernema carpocapsae)

  • 유연수;박선호
    • KSBB Journal
    • /
    • 제15권1호
    • /
    • pp.100-105
    • /
    • 2000
  • 국내에서 서식하고 있는 곤충병원성 선충 Stemernema Carpocapsae로 부터 분리$\cdot$동정된 Xenorhabdus nematophilus를 대상으로 최적배지조성과 배양조건, 상변화 특성 및 곤충 독성물질 역기를 조사하였다. 균주의 최적배치 조성은 50-70g/L yeast extract, 3 g/L $K_{2}HPO_{4}$, 1g/L $NH_{4}H_{2}PO_{4}$, 2g/L ${MgSO}_4$$\cdot$${7H}_{2}O$,10g/L NaCl 이였으며, yeast extract의 농도가 균주성장 제한인자로 작용하였다. Yeast extract 농도에 대한 비성장속도의 의존도를 Monod equation을 가정하여 비교해 본 결과, 최대 비성장속도는 0.13 $ht^{-1}$이고 Monod 상수값은 20 g/L였다. 배양 배치의 pH는 초기 6-7에 관계없이 성장이 진행됨에 따라서 약 8.5-9.5까지 증가하였으며, 7L fermentor배양에서는 균주의 비성장속도가 약 0.18 $ht^{-1}$로 flask배양보다 1.4배 더 증가하였다. 상변화의 경우 정지기에서도 fermentor배양과 flask배양 모두 약 90% 이상 phase I이 유지되었다. 한편 꿀벌부채명 나방에 대한 구강독성을 시험해 본 결과, X. nematophilus 균주를 유충사료에 첨가하면 꿀벌부채명나방 유충의 정상적인 성장을 저해하였으며, 20여일 경과 후 완전히 유충을 사멸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배양 상등액을 유충에 직접 주사하였을 때 배양 24 시간인 지수성장기 초기에 가장 독성이 강하였으며, 배양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독성이 점차 감소하였다.

  • PDF

고구마(Ipomoea batatase)현탁배양에서 배지조성 및 세포접종량의 적정화에 의한 Pemxidase생산성 향상 (Improvement of Peroxidase Productivity by Optimization of Medium Composition and Cell Inoculum Size in Suspension Cultures of Sweet Potato (Ipomoea batatas))

  • 곽상수;김수경;정경희;유순희;박일현;유장렬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91-97
    • /
    • 1994
  • 고구마 현탁배양세포로부터 POD 고생산세포주로 선발한 SP-47세포주를 사용하여 POD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식물생장조절제 및 탄소원의 종류와 농도, 세포접종량 등의 배양조건을 적정화하였다. 30 g/L Surcrose, 1 mg/L 2,4-D가 첨가된 LS배지 50mL을 함유한 30 mL Erlenmeyer flask에 세포생중량 1 g을 접종하여 $25^{\circ}C$ 암소에서 100 rpm으로 진탕배양하였을 때 세포생장은 배양 후 15일에 절정에 달하였으나 단위세포당 POD 활성(unit/g dry cell wt)은 배양 25일에 약 6,800으로 이는 실생 서양겨자무뿌리의 것보다 약 30배 높았다. 배양시기별 단위세포당 단백질 함량은 계대배양후 약간 높았다가 감소한 후, 배양 25일까지는 거의 일정한 값을 유지하다가 계속 배양함에 따라 감소하였으나 POD 비활성(unit/mg protein)은 배양후 12일부터 배양말기 (40일)까지 계속하여 증가하였다. 배양시기별 POD 동위효소의 패턴은 배양시기에 관계없이 거의 일정하였으나 배양 25일이후 산성의 주요 동위효소들의 활성이 약간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고구마 세포배양의 POD는 세포생장 및 계대배양과 배지고갈로 인한 배양스트레스와 밀접한 관련 이 있을 것으로 간주된다. 본 연구에서 확립한 SP-47세포주는 하나의 동위효소가 강하게 발현되어 높은 활성을 보임으로써 새로운 POD 대량생산 시스템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