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약해

Search Result 40,544, Processing Time 0.054 seconds

Improvement of A Rice Seed Pelleting Machine for Direct Seeding in Rice Cultivation (직파용 벼 펠렛종자 제조장치 성능 개선 연구)

  • 유대성;유수남;최영수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Machinery Conference
    • /
    • 2002.02a
    • /
    • pp.35-41
    • /
    • 2002
  • 본 연구는 기존 벼 펠렛종자 제조장치의 제조성능 및 제조 벼 펠렛종자 품질향상을 위하여 펠렛재료 공급부, 성형부, 펠렛종자 배출부를 개선 설계 제작하여 그 성능과 제조 벼 펠렛종자 특성을 구명함으로써 직파용 벼 펠렛종자 대량생산을 위한 제조장치 개발의 기초 자료를 얻고자 수행하였으며 그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펠렛재료의 일정한 공급과 펠렛재료가 성형 홈으로부터의 이탈하는 것을 줄이고, 펠렛종자의 완전한 배출이 가능하도록 한 벼 펠렛종자 제조장치를 설계·제작하였으며, 벼 펠렛종자 제조장치를 상토 종자혼합비, 성형롤의 회전속도에 따라 실험한 결과 벼 펠렛종자 제조 능력은 성능 개선 전의 펠렛종자 제조장치에 비하언 약 1.7배 향상된 제조능력을 보였으며, 성형률은 최대 약 89 %로 나타나 개선 전의 71%에 비해 18 %정도 성형률이 향상되었다. 그러나, 벼 종자손실률은 약 24% ∼ 49%로 거의 비슷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제조된 벼 펠렛종자의 특성을 분석한 결과 펠렛종자의 구형률은 99.1%로 거의 구형으로 제조됨을 알 수 있었으며, 무게는 제조 직후에는 약 1.70 g, 완전 건조 후에는 1.31 g으로 나타났고, 직경은 약 12.03 mm에서 건조 후 11.53 mm로 축소되었다. 개선 전에 비해 직경과 무게가 약간씩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재선된 제조장치에서 펠렛재료가 성형롤의 성형 홈에 압축 공급되고, 펠렛재료의 손실도 적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제조된 한 개의 벼 펠렛종자 내에 포함된 완전 벼 종자의 개수는 상토 종자혼합비가 커질수록 성형롤의 회전속도가 낮을수록 많아지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모두 펠렛종자 당 평균 약 3 개 이상의 완전 벼 종자를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선 전에 비하여 펠렛종자 내에 포함된 평균 완전 종자수도 증가하였으며, 3개 이상 완전 종자를 포함한 펠렛종자의 비율도 증가하여 유압에 의한 펠렛재료 공급과 성형롤의 개선효과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음지 건조 후 벼 펠렛종자의 압축강도는 약 132 N ∼ 152 N으로 조사되었으며, 개선전에 비하면, 약 30 %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출아율 실험 결과 상토 종자혼합비 6 : 1, 성형롤 회전속도 7 rpm에서 건답직파는 100%, 답수직파는 97 %의 출아율을 보여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었으나, 그 외의 경우는 거의 90 % 이하의 출아율을 보여 출아율을 높이기 위한 방안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의 벼 펠렛종자 제조장치의 적정운전 조건은 제조된 벼 펠렛종자의 특성과 출아율을 고려해 볼 때 상토 종자혼합비 6 : 1, 성형롤 회전속도 약 7 rpm으로 판단되며, 이 때 제조능력은 시간당 약 65 Kg(펠렛종자 약 39,000 개), 성형률 약 87 %, 종자손실률은 약 30 %, 펠렛종자 내 평균 종자수는 약 5.5 개, 완전 벼 종자 3개 이상 포함 펠렛종자 비율은 약 100 %가 될 것으로 보인다.

  • PDF

Characteristic and Stability of Lipids in Yackwa at Various Shortening Ratios (쇼트닝 혼합유로 만든 약과의 유지 특성과 유지 안정성)

  • Kim, So-Won;Kim, Myong-A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 /
    • v.24 no.3
    • /
    • pp.344-349
    • /
    • 2009
  • The principal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effects of various ratios of sesame oil to shortening on the characteristics and stability of lipids in Yackwa. The sesame oil to shortening ratios assessed herein were 100:0, 75:25, 50:50, and 1:100. The lipid contents of Yackwa prepared with various shortening ratios ranged from 25.20 to 29.12%. The lipids in these Yackwa consisted primarily of the frying oil (soybean oil), and the oil contents were measured between 84-90%. The fatty acid compositions of the lipids in the Yackwa were unrelated to the ratio of shortening. The fatty acid compositions were as follows: linoleic acid 49.1-51.27%, oleic acid 26.05-26.77%, palmitic acid 10.07-11.71%, linolenic acid 5.51-5.72% and stearic acid 4.51-4.68%. These compositions were similar to that of soybean oil, which was the frying oil used to prepare the Yackwa. The acid value, peroxide value, and carbonyl value of the lipids in Yackwa did not differ with the various shortening ratios used during the storage time. Stability of lipids in Yackwa were mainly effected by frying oil. Our results suggest that shortening should prove useful as a substitute for sesame oil in the preparation of Yackwa.

Effect of Butachlor Injury to Yield Component and Yield of Rice Cultivar (Butachlor 의 약해정도차이(藥害程度差異)가 벼의 수량구성요소(收量構成要素) 및 수량(收量)에 미친 영향(影響))

  • Lee, Y.M.;Shin, D.Y.;Kim, C.S.
    • Korean Journal of Weed Science
    • /
    • v.9 no.2
    • /
    • pp.103-107
    • /
    • 1989
  • Five rice cultivars were treated by four dose of butachlor at transplanting seedling stage. Visual injury rate by butachlor was lowest in Zhy-Lian-Ai-dun-Nam and highest in Samseungbyeo, but reduction of yield was higher in Zhy-Lian-Ai-Yun-Nam and Hangangchalbyeo than in Samseungbyeo and Cheungcheungbyeo. Reduction of panicle number by butachlor was most effective factor to yield reduction.

  • PDF

COB, COH Package LED Module Thermal Analysis Simulation (COB, COH Package LED Module 열 해석 시뮬레이션)

  • Choi, Keum-Yeon;Eo, Ik-Soo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2 no.11
    • /
    • pp.5117-5122
    • /
    • 2011
  • In this paper, thermal analysis simulation program by taking advantage of COMSOL Multiphysics, LED Module for the production of the most preferred package type, omitting the COH Type COB Type and board simulation of the thermal analysis is in progress. LED Module that passes through the Heat-sink of the simulation results, depending on the location of the COB Type Max. Approximately $78^{\circ}C$ ~ Min. Approximately $62^{\circ}C$, COH Type the Max. Approximately $88^{\circ}C$ ~ Min. Approximately $67^{\circ}C$ has been confirmed that the temperature stability. Compared with COB Type Max. AIthough temperature difference is about $10^{\circ}C$, Min. At a temperature of about $5^{\circ}C$ confirmed to be enough to reduce the gap, LED Point confirming the results of the temperature curves for COB Type Max. Approximately $100^{\circ}C$ ~ Min. Approximately $77^{\circ}C$, COH Type the Max. Approximately $100^{\circ}C$ ~ Min. Approximately $86^{\circ}C$ temperature stability was confirmed that, COB Type COH Type, compared to approximately $10^{\circ}C$ temperature was higher.

An App. Development for Medication Compliance Enhancements with Smart Phone (약복용 순응률 향상을 위한 스마트폰 앱 개발)

  • Choi, Jae-Hun;Lim, Myung-Eun;Park, Soo-J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11.06b
    • /
    • pp.255-257
    • /
    • 2011
  • 본 논문은 스마트폰 환경에서 만성질환자의 약복용 순응률을 향상시키기 위한 앱을 모델링하고 구현하였다. 이 앱은 일상생활을 하면서 장기간 규칙적으로 약을 복용해야 하는 환자들을 대상으로 약복용을 지원할 수 있도록 모델링되었다. 또한, 스마트폰을 통해 모바일 환경에 있는 환자에게 약복용 알림, 복약지도, 순응률 조회 등의 모니터링 서비스를 제공한다. 앱 서버는 환자들의 약복용 스케줄 데이터를 관리하며, 이 데이터는 3GS 통신을 통해 스마트폰과 동기화 된다. 순응률은 약복용 알림에 대해 환자의 대응에 따라 자동으로 계산되며 조화될 수 있다. 이 앱 통신은 국제표준 IEEE P11073-10472으로 구현되었다.

'88년도 미국 타이어 시장현황

  • Lee, Seong-Eun
    • The tire
    • /
    • s.142
    • /
    • pp.30-38
    • /
    • 1989
  • 이 자료는 미국의 타이어 전문지인 「Modern Tire Dealer」에서 1988년도의 미국 타이어산업 및 타이어시장 전반에 관한 실적을 조사분석한 것이다. 이 자료에 나타난 1988년도 미국 타이어업계의 수급실적을 보면, 승용차용 타이어의 총출하량은 209.5백만개로 전년도보다 약 3% 증가하였으며, 트럭ㆍ버스용 타이어의 총출하량은 42.7백만개로 전년도보다 약 1% 증가하였다. 한편, 시장별로 보면, 교환용타이어시장에서는 승용차용이 150백만개로 전년도보다 약 3% 증가하였으며, 트럭ㆍ버스용은 34.3백만개로 전년도보다 오히려 약 1% 감소하였다. 그리고, 신차용 타이어시장에서는 승용차용이 53.5백만개로 전년도보다 약 1% 증가하였고, 트럭ㆍ버스용은 8.4백만개로 전년도보다 약 6% 증가하였다. 전반적으로 보아 1988년도의 미국 타이어시장의 수급실적은 전년도보다 약 2% 증가하였다.<편집자주>

  • PDF

세계 레이저시장 동향 및 전망

  • Korea Optical Industry Association
    • The Optical Journal
    • /
    • s.100
    • /
    • pp.26-29
    • /
    • 2005
  • 레이저 가공기 세계시장은 2010년에 약 70억 달러 이상의 규모가 예상되고 고출력 CW 고체 레이저 시장은 2010년까지 매년 약 30%의 성장이, 펄스레이저 시스템 및 레이저마킹기 시장는 연간 10% 이상의 성장을 예상하고 있다. 반면, 세계 레이저 발진기의 시장에서 CO2 레이저의 경우 시장의 규모가 작아져서 2004년에 약 4억 달러의 규모가 2010년에는 약 2.3억 달러 수준으로 하향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고체 레이저에서 특기할 사항은 2010년에 Lamp Pumped CW Nd;YAG 레이저의 경우 약 74백만 달러로 규모가 축소됨에 비해 고출력 DPSSL(Diode Pumped Solid State laser) 시장규모는 약 17억 달러로 급성장하며 레이저 마킹 및 미세 정밀 가공용 저출력 DPSSL의 시장 규모가 약 13억 달러로 고속 성장할 것으로 예측이 된다.

  • PDF

'87년도 미국 타이어 시장현황

  • Korea Tire Manufacturers Association
    • The tire
    • /
    • s.135
    • /
    • pp.24-31
    • /
    • 1988
  • 본자료는 미국의 타이어 전문지인 「Modern Tire Dealer」에서 조사한,87년도 미국의 타이어 산업 및 타이어시장 전반에 관한 실적분석이다. 87년도 미국 타이어 업계의 수급실적을 보면, 승용차용타이어의 총출하량은 202.8백만개로 86년보다 약 2% 증가하였으며,트럭ㆍ버스용 타이어의 총출하량은 41.7백만개로 86년보다 약 6% 증가되었다. 한편 시장별로 보면, 교환용타이어시장에서는 승용차용이 150백만개로 전년보다 약 4%증가되었으며, 트럭ㆍ버스용도 34.1백만개로 전년보다 약5%증가하였다. 또 신차용 타이어시장에서는 승용차용이 52.8백만개로 전년대비, 약 3% 감소되었고, 트럭ㆍ버스용은 7.6백만개로 전년대비 약 10% 증가되었다. 즉, 87년도 미국 타이어시장은 전반적으로 보아 86년보다 약 3%증가되었다.

  • PDF

국내 디지털 복합기 시장의 현황과 전망 -올 디지털화 약 4.7%로 관심 미미 사무환경 급변 속 크게 성장할 것

  • 이춘수
    • The Optical Journal
    • /
    • v.11 no.5 s.63
    • /
    • pp.70-72
    • /
    • 1999
  • 한 대로 복사기, 팩스, 프린터의 3가지 기능을 다하는 디지털복합기는 고객의 생산성 향상과 원가 절감에 크게 기여한다. 사무환경이 신속한 정보전달과 높은 생산성 창출을 요구하며 빠르게 변하고 있는 가운데 시장 전망이 밝다. 국내 사무기 시장은 아직 디지털화율이 빈약하지만, 1999년 약 3,000대(디지털화 비율 약 4.7$\%$로)에 이어서, 2000년에는 약 7,000대(디지털화 비율 약 10$\%$)로 비약적

  • PDF

디지털 카메라와 폰 카메라 산업

  • Korea Optical Industry Association
    • The Optical Journal
    • /
    • s.110
    • /
    • pp.67-69
    • /
    • 2007
  • 2006년도 국내 광산업의 시장규모는 약 17조원으로 전년대비 약 15.7% 증가한 것으로 예측된다. 이것은 세계시장의 약 5.5%를 차지하고 있으며 2010년에는 세계시장의 10% 정도에 이를 것으로 추정된다. 2006년도 국내 광산업의 생산규모는 27조원으로 시장규모보다 많으며 전년대비 약 16.9% 증가한 것으로 예측된다. 즉 내수보다는 수출위주로 그 비중을 계속 확대할 것이다. 여기서 광정밀기기, 광정보기기, 광학기기가 약 80%를 차지한다. 특히 향후 수출전망과 관련하여 디지털 카메라와 폰 카메라 등은 중국등 후발 국가들의 추격이 예상되지만 국가적으로 중요한 수출품목으로써의 역할을 계속할 것으로 기대되며, 그중에서도 중국에서의 시장확대가 계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