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약침액

검색결과 144건 처리시간 0.021초

인진 약침액이 신경아세포주에서 에탄올에 의해 유발된 아폽토시스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Artemisia capillaries Herbal Acupuncture on Ethanol-induced Apoptosis in Neuroblastoma Cell Line)

  • Ee-Hwa, Kim;Youn-Hee, Kim;Youn-Jung, Kim;Mi-Hyun, Jang;Joo-Ho, Chung;Chang-Ju, Kim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90-95
    • /
    • 2001
  • 목적:인진 약침액이 SK-N-MC 신경아세포주에서 에탄올에 의해 유발된 아폽토시스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방법 : SK-N-MC cell line에서의 아폽토시스 변화를 관찰하기 위해서 MTT assay, DAPI staining 및 flow cytometric analysis 방법을 이용하였다. 결과: MTT assay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농도에 따른 세포 독성의 효과가 에탄올 투여로부터 관찰되었다. 또한 인진 약침액으로 전처치하고 에탄올을 처치하였을 때 세포 독성이 크게 감소되었다. DAPI staining에서 인진 약침액 투여군은 에탄올 투여군에 비해서 fragmentation이 억제되었다. Flow cytometry를 통하여 인진 약침액 투여군은 에탄올 투여군에 비하여 세포주기 중 sub $G_1$ 분획의 증가가 억제되었다. 결론 : SK-N-MC 신경아세포주에서 에탄올에 의해서 유발된 아폽토시스는 전형적인 세포사별 형태를 나타내었다. 또한 인진 약침액은 에탄올에 의해서 유발된 아폽토시스에서 세포보호 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 PDF

생쥐에서 천궁(川芎) 약침액(藥鍼液)이 Cytochrome P450 효소 활성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Cnidium officinale Makino Aqua-acupunture Solution on the Activity of Cytochrome P450 Enzyme in Mice)

  • 한상훈;손윤희;남경수;임종국
    •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 /
    • 제19권2호
    • /
    • pp.57-61
    • /
    • 2002
  • 천궁약침액을 7일간 중완혈, 간수혈 및 임의혈에 투여한 후 마우스의 간에서 유도되는 phase I enzyme 억제 효과를 살펴본 결과 천궁 약침액은 CYP 1A1를 저해하였고, 생체의 CYP 2E1의 활성도 억제하였으므로 천궁 약침액은 암예방 효과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석창포(石菖蒲) 약침액(藥鍼液)의 암(癌) 예방(豫防) 관련 효소 유도 효과 (Effects of Acori Graminei Rhizoma Aqua-acupunture Solution(AGRAS) on Induction of Cancer Chemopreventive Enzymes)

  • 노동일;임종국
    •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 /
    • 제19권2호
    • /
    • pp.51-56
    • /
    • 2002
  • 발암물질을 무독화시키는 QR 생성 유도를 살펴보기 위하여 석창포 약침액 및 열수추출액을 생쥐의 간암세포인 Hepa1c1c7에 처리하여 측정한 결과, 석창포 약침액의 농도를 증가시킬수록 높은 QR 생성율을 보였으며, QR 활성 유도효과 보다는 낮았찌만 GSH와 GST 생성도 증가하였다.

  • PDF

황기(黃耆) 약침액(藥鍼液)의 Glutathione S-transferase 와 NAD(P)H: Quinone Reductase 유도 (Induction of Glutathione S-transferase and NAD(P)H:Quinone Reductase by Astragali Radix Aqua-acupuncture Solution)

  • 류준선;임종국
    •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 /
    • 제18권1호
    • /
    • pp.21-26
    • /
    • 2001
  • 발암물질을 무독화시키는 QR 생성 유도를 살펴보기 위하여 황기 약침액 및 열수추출액을 생쥐의 간암세포인 Hepa1c1c7에 처리하여 측정한 결과, 황기 약침액의 농도를 증가시킬수록 많은 QR 생성율을 보였으며, GSH 생성이 증가하였고, GST 생성 또한 증가하였다.

  • PDF

녹용(Cervi pantotrichum cornu) 추출물이 인간 정자 운동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Extract of Cervi pantotrichum Cornu on Human Sperm Motility)

  • 신동혁;김지영;이창훈;정창진;조용선;최동희;고정재;윤태기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187-193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한방의학에서 가장 중요한 약재중의 하나인 녹용을 정자의 처리에 있어 녹용약침액 상태로 배양액에 첨가 후 정자에 미치는 영향을 운동성 측면에서 비교해 보았다. 정상정액군에서는 Ham's F-10 배양액에 0.3% BSA가 첨가된 배양액과 Ham's F-10 배양액에 0.3% BSA와 녹용약 침액이 같이 첨가된 배양액에서 24시간 배양한 정자의 운동성이 높았으며, 48시간동안 배양 후의 운동성은 BSh와 녹용약침액이 같이 들어간 경우에서 다른 배양액과 비교하여 높은 정자의 운동성이 관찰되었다. 무력정자증을 보이는 정액군에서도 같은 양상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의 결과로 미루어 녹용성분(녹용약침액)을 포함한 배양액의 처리가 정자의 회수율을 증진시키고, 체외배앙시 회수되는 정자의 운동성 유지에 상당한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고, 인공수정이나 시험관 아기 시술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추가의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댑싸리하고초(夏枯草) 약침액(藥鍼液)의 암예방 활성 (Chemopreventive activity of Prunella Herba Vulgaris L. Aqua-acupuncture Solution)

  • 박신화;임종국
    •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 /
    • 제18권1호
    • /
    • pp.11-20
    • /
    • 2001
  • 댑싸리하고초 약침액을 이용하여 phase II detoxification 효소인 quinone reductase (QR 및 GST) 유도, GSH 생성량, phase I 효소 cytochrome P4501A1 활성억제, 발암물질 B[a]P-DNA adduct 형성의 저해효과 등을 측정하였다. QR 생성 유도를 Hepa1c1c7로 실험한 결과, 댑싸리하고초 약침액및 열수추출액 모두에서 유도 되었으며, 농도가 높아질수록 유도율이 더 높게 나타났으며, GSH와 GST의 유도율도 약침액에서 나타났다. 댑싸리하고초 약침액 $5{\times}$에서 45.2%의 cytochrome P4501A1 효소활성 저해효과를 측정할 수 있었다. 또한 B[a]P-DNA binding 저해효과를 실험한 결과, 약침액 $3{\times}$ 농도에서 45.0%의 저해효과가 있었다. 이상의 결과에 의하면 댑싸리하고초 약침액은 암억제 물질로서의 기능을 충분히 발휘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반하(半夏) 약침액(藥鍼液)이 사람 기관지 상피세포의 TARC 분비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Pinelliae Rhizoma Herbal Acupuncture on the Release of Thymus and Activation-Regulated Chemokine(TARC) in Human Bronchial Epithelial Cell)

  • 홍재화;서정철;임성철;정태영;한상원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22권1호
    • /
    • pp.155-164
    • /
    • 2005
  • 사람 기관지 상피세포에 알러지 환경을 유발 하고자 사이토카인을 처리하여 TARC의 분비를 유도하고, 이 케모카인 분비에 반하(半夏) 약쇄액(藥鎖液)이 미치는 효과를 실험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사람의 기관지 상피 세포주에 각각 IL-4, TNF-${\alpha}$, IFN-${\gamma}$ 및 IL-$1{\beta}$를 처리하는 경우와 IL-4와 TNF-${\alpha}$, INF-${\alpha}$와 IFN-${\gamma}$, IFN-${\gamma}$와 IL-$1{\beta}$를 병용 처리할 경우 TARC의 분비량를 측정한 결과 IL-4와 TNF-${\alpha}$와 TNF-${\alpha}$와 IFN-${\gamma}$를 병용 처리하였을 경우 TARC의 분비량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2. 반하(半夏) 약쇄액(藥鎖液) 처리군의 24시간 및 48시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감소를 관찰할 수 있었다. 3. 반하(半夏) 약쇄액(藥鎖液)에 의한 TARC 분비억제를 관찰 한 결과 농도의존적인 분비 감소 효과를 관찰 할 수 있었다. 4. MTT assay법을 이용한 세포 독성 측정에선 대조군과 반하(半夏) 약침액(藥鍼液) 처리군간에 유의성이 없었으므로 50, 100 및 200${\mu}g/m{\ell}$의 농도에선 세포독성이 없었음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에 반하(半夏) 약광액(藥鑛液)은 TARC 케모카인 억제를 통해 천식에 대한 치료효과를 나타낼 수 있을 것으로 사려된다.

  • PDF

Obovatol의 염증매개 생성 억제와 세포자멸사를 통한 Colon Carcinoma SW620, HCT116 세포의 세포증식에 대한 영향 (Obovatol Inhibits Inflammation Mediator Generation and Colon Carcinoma SW620, HCT116 Cell Growth Through Induction of Apoptotic Cell Death Via Inactivation of $NF-{\kappa}B$)

  • 정인모;송호섭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25권2호
    • /
    • pp.75-89
    • /
    • 2008
  • 목적 : 후박(厚朴)(Magnolia obovata)에서 추출한 낮은 농도의 obovatol 약침액의 RAW264.7 세포에서 LPS로 유발된 염증, $TNF-{\alpha}$로 유발된 human colon carcinoma SW620 및 HCT116 세포의 세포증식에 대한 영향과 그 기전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 RAW264.7 세포에서 LPS로 염증을 유발하고 낮은 농도의 obovatol 약침액을 처리한 후 cell viability, NO 생성량, iNOS와 COX-2의 발현, $NF-{\kappa}B$활성, 전사능력을 관찰하기 위해 WST-1 assay, NO determination assay, western blot analysis, EMSA, luciferase activity assay를 시행하였고, HCT116, SW620 세포에 $TNF-{\alpha}$로 증식을 유도하고 낮은 농도의 obovatol 약침액을 처리한 후 cell growth, apoptosis 및 apoptosis와 연관된 $NF-{\kappa}B$의 활성 변화를 관찰하기 위해 WST-1, Cell morphogy test, DAPI staining and TUNEL assay, EMSA, luciferase activity assay를 시행하였다. 결과 : 1. RAW264.7 세포에서 낮은 농도의 obovatol 약침액 처리는 $NF-{\kappa}B$의 활성 및 전사능력을 낮추고 iNOS와 COX-2의 발현과 NO 생성을 감소시켜 LPS로 유발된 염증을 억제하였다. 2. HCT116, SW620 세포에서 낮은 농도의 obovatol 약침액 처리는 $NF-{\kappa}B$의 활성을 낮추어 세포자멸사를 촉진함으로써 $TNF-{\alpha}$로 유발된 암세포의 성장을 억제하였다. 결론 : 이상의 결과는 낮은 농도의 obovatol 약침액이 항염 및 인간 전립선암세포주인 SW620, HCT116에 대한 증식억제 효과가 있음을 입증한 것이며, 향후 이를 바탕으로 한 생체 연구에서의 긍정적인 결과는 obovatol 약침액이 만성염증성 질환 및 대장암의 예방과 치료에 대한 효과적인 치료제 개발에 초석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상지, 상백피, 상엽 약침액의 발효 및 열처리 후 미백 효능에 관한 연구 (Whitening Effects of Mori Ramulus, Mori Cortex Radicis and Mori Folium Herbal-acupuncture Solution after Fermentation and Heating)

  • 박서영;김재수;이봉효;임성철;이세나;임강현;이경민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26권1호
    • /
    • pp.91-98
    • /
    • 2009
  • 목적 : 상지, 상백피, 상엽은 모두 뽕나무에서 유래한 것으로 한의학에서 수천 년 동안 사용되어왔다. 최근 이들의 미백효능이 발견되면서 더욱 주목을 받고 있다. 피부의 멜라닌 색소 침착은 자선에 대한 정상적인 방어기전이다. 그러나 비정상적인 색소침착은 심각한 미용적 문제를 가져온다. 최근 약침이 피부 미백에 이용되고 있다. 또한 발효와 열처리는 미백화장료 가공의 최신 경향이다. 이 연구에서는 상지, 상백피, 상엽 약침액이 발효와 열처리 후에 피부 미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 상지, 상백피, 상엽을 각각 4개의 그룹으로 나누었다. (1) 비발효, 비열처리, (2) 비발효, 열처리, (3) 발효, 비열처리, (4) 발효, 열처리한 그룹들에 타이로시나제 활성 및 도파 산화 활성, 그리고 멜라닌 함량을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결과 : 타이로시나제 활성 및 도파 산화 활성, 그리고 멜라닌 함량에 있어서, 발효, 열처리가 대체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멜라닌 함량에 있어서 발효, 열처리한 군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있는 감소를 보였다. 결론 : 주근깨, 흑색종, 간반(肝斑) 등 비정상적인 색소 침착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상지, 상백피, 상엽 약침액 제조에 있어, 발효 및 열처리 방식을 적용하면 보다 나은 미백효능을 발휘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PGT-{\beta}$ 세포주에서 자하거 약침액의 $H_2O_2$로 인한 Apoptosis에 대한 방어 기전 (Protective Mechanism of Hominis Placenta Extract Against ${H_2O_2}-Induced$ Apoptosis in $PGT-{\beta}$ Cells)

  • Jung-Chul, Seo;Jae-Dong, Lee;Dong-Suk, Park;Sung-Keel, Kang;Byung-Cheol, Ahn;Ee-Hwa, Kim;Soon-Ae, Kim;Hee-Jae, LeeK;Chang-Ju, Kim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92-97
    • /
    • 2001
  • 목적 :본 연구는 최근 임상에서 많이 사용하는 자하거 약침액이 과산화수소($H_2O_2$)로 야기된 송과선 세포의 Apoptosis에 있어서 세포 보호에 미치는 영향과 그 기전을 분석하였다. 방법 :송과선 세포주에서 자하거 약침액의 $H_2O_2$로 인한 Apoptosis에 대한 방어 기전을 관찰하기 위하여 면역세포화학법. 세포화학법 및 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을 시행하였다. 결과 : 자하거 약침액 투여군에서는 nuclear factor kappa B (NFkB),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nicotinamide adenine dinucleotide phosphate (NADPH)-diaphorase의 발현이 $H_2O_2$ 투여군보다 감소하였다. RT-PCR에서는 caspase-3의 발현이 자하거 약침액 투여군에서 $H_2O_2$ 투여군보다 억제되었다. 결론: 이상의 결과를 통하여 자하거 약침액이 $H_2O_2$로 유발된 Apoptosis에서 세포보호 효과가 있으며 그 기전은 iNOS와 caspase-3의 억제에 기인할 가능성을 시사한다고 하겠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