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약사급여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7초

국외 약사서비스 지불보상체계 현황 : 일본, 미국, 영국을 중심으로 (Current Status of the Reimbursement for Pharmacist-provided Health Care Services in Japan, the United States, and the United Kingdom)

  • 박지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6호
    • /
    • pp.712-728
    • /
    • 2022
  • 세계적으로 노인인구 급증으로 병용약물이 늘어나고, 의료기술의 발달에 따라 다양한 질병 상태의 해소를 위한 약물사용이 늘어나고 있어, 약물의 효과적이고 안전한 사용을 위해 약사의 전문지식에 대한 기대 및 요구는 점차 높아지고 있다. 이에 우리나라는 지난 2009년부터 기존 4년 교육이 아닌 6년제로 약학대학의 학제를 개편하였으며, 고도화된 약료서비스의 제공을 위해 준비된 전문인력을 배출하고 있다. 그러나 현행 국민건강보험 급여체계는 여전히 전통적 약사의 역할인 조제를 중심으로 산정되어, 약사가 제공하거나 제공 가능한 서비스와, 실제로 지급되는 보상급여 간 극심한 간극이 존재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약료서비스 지불보상제도의 국제적 동향을 비교분석하여, 현행 한국의 지불보상체계에 시사점을 주고자 하였다. 한국과 일본, 영국 및 미국의 약사서비스 지불보상정책 및 관련 문헌을 검토한 결과, 일본, 영국 및 미국의 시스템은 환자중심의 약료서비스에 대해 제도적으로 구체적이고 다양한 지불수단을 마련하여 보상하고 있으나, 한국의 약국 서비스는 상대적으로 조제관련 행위만 보상하는 정도에 그치고 있어, 국내 약료서비스의 발전을 구조적으로 저해하는 결과를 낳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안전한 약물사용을 위한 환자중심 약료서비스의 제공을 위해서는 국내 지불보상체계가 인정하는 약료서비스의 범위를 확대하고 관련 서비스의 종류를 다양화하여 국내 약사급여제도를 개선시켜나갈 필요가 있다.

장석순(張錫純)의 간병치료(肝病治療)에 관(關)한 연구(硏究) -관여장석순지간병치료적연구(關於張錫純之肝病治療的硏究)-

  • 김진옥;김용진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 /
    • 제18권2호통권29호
    • /
    • pp.70-84
    • /
    • 2005
  • 장석순(張錫純)$(1860{\sim}1933)$시청말민초시기적의가(是淸末民初時期的醫家), 통과대기소저(通過對其所著)${\ulcorner}$의학충중참서록(醫學衷中參西錄)${\lrcorner}$적제오기제삼권중(的第五期第三卷中), 관우(關于)'논간병치법'(論肝病治法)내용적연구(內容的硏究), 소득출적결론시(所得出的結論是), 기대간병적치법가개괄위평간법(其對肝病的治法可槪括爲平肝法), 산간법(散肝法), 화간법(化肝法), 유간법(柔肝法), 진간법(鎭肝法), 염간법(斂肝法), 보간법(補肝法), 완간법등팔법(緩肝法等八法). 평간법인위(平肝法認爲), 인지원기찰근우신, 맹아우간이유약역손(萌芽于肝而柔弱易損), 고불가관파간기(故不可關破肝氣). 차내경중(且內經中)'궐음불치(厥陰不治), 구지양명(求之陽明)'여금궤중(與金櫃中)'당선실비(當先實脾)', 도이서조간기위관건(都以舒調肝氣爲關鍵), 인차이승강탕여배비서간탕등립방(因此以昇降湯與培脾舒肝湯等立方), 차작위평간약중시료계지(且作爲平肝藥重視了桂枝). 산간법인위(散肝法認爲), 간위목장(肝爲木臟), 구유직향이성향상신전(具有直向而性向上伸展), 소이부응기성(所以符應其性), 이용신미산지(而用辛味散之), 즉가위보법(卽可爲補法). 작위산간약(作爲散肝藥), 기선용인진여맥아(其善用茵蔯與麥芽). 화간법시재간체증대(化肝法是在肝體增大), 혹간중유열(或肝中有熱), 혹간기울체(或肝氣鬱滯), 혹옹창시(或壅脹時), 작위산간달울지법(作爲散肝達鬱之法), 사용료시호(使用了柴胡), 유향(乳香), 몰약(沒藥), 차이활혈약당좌약사용적치법(且以活血藥當佐藥使用的治法), 우기중시료삼칠근(尤其重視了三七根). 유간법시근거(柔肝法是根據)'간악조희윤(肝惡燥喜潤), 조칙간체판경이간화간기즉망동(燥則肝體板硬而肝火肝氣卽妄動), 윤칙간체유화이간화간기장영정(潤則肝體柔和而肝火肝氣長寧靜)'적이론(的理論), 인위재치료중가선용당귀(認爲在治療中可選用當歸), 작약(芍藥), 백자인(柏子仁), 현삼(玄蔘), 구기자(枸杞子), 아교(阿膠), 별갑(鱉甲), 단불가장기사용(但不可長期使用). 기진간법시(其鎭肝法是), 재치료경간(在治療驚癎), 전광(癲狂), 현운(眩暈), 뇌충혈제증시(腦充血諸證時), 작위대표처방선용료진간식풍탕(作爲代表處方選用了鎭肝熄風湯). 염간법시근거기(斂肝法是根據其)'범인원기지탈(凡人元氣之脫), 개탈재간(皆脫在肝)'적독특이론(的獨特理論), 이내복탕등작위대표처방진행치료적방법(以來復湯等作爲代表處方進行治療的方法), 차대제양사용료산수유(且大劑量使用了山茱萸). 보간법시재간기허약이실기조달시사용적치법(補肝法是在肝氣虛弱而失其條達時使用的治法), 인위황기시보간적주약. 완간법시의거(緩肝法是依據)‘간고급(肝苦急), 급식감이완지(急食甘以,緩之)'지설이정적치법(之說而定的治法), 인위단미감초시대표약(認爲單味甘草是代表藥).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