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약물관리

검색결과 336건 처리시간 0.025초

지역사회 노인의 약물복용실태와 약물관리 프로그램의 효과 (Medication Status and the Effects of a Medication Management Education Program for the Elderly in a Community)

  • 박영임;이강이;김동옥;엄동춘;김지현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170-179
    • /
    • 2014
  •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medication status by examining the effects of a medication management education program on the knowledge of medications and medication misuse behaviors in the elderly in a local community. Methods: This study used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quasi-experimental design. For the study, 116 subjects were assigned to the control group and another 116 subjects were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The medication management education program consisted of 1:1 education, practice in medication management, consultation, and discussion.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1.0 program. Result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in terms of their knowledge of medications and medication misuse behaviors. Conclus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medical management education program is effective in improving the knowledge of medications and decreasing medication misuse behaviors. Therefore, this education program can be used as an intervention to improve the medication behaviors of the elderly in local communities.

약물 남용 방지를 위한 모바일 기반 의약품 정보 시스템의 프로토타입 설계 (Prototype Design of Medicine Information System based on Mobile to check medicinal misusing)

  • 김하강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15권1호
    • /
    • pp.112-123
    • /
    • 2011
  • 최근 대한 약사회에서 오래된 약물의 섭취로 인한 부작용을 예방하고 약물에 의한 환경오염을 예방하자는 내용으로 공공 광고를 하고 있다. 또한 의약분업으로 인한 약물 남용을 예방하고자 하였으나, 약물 처방의 복잡한 절차와 약물처방 비용만 증가시켰다. 현 상황을 벗어나기 위한 좀더 효율적인 시스템의 도입이 필요하게 되었다. 유비쿼터스와 융합 기술이 IT 분야의 트랜드가 되었으며, 이러한 기술을 이용한 약물 남용 및 관리를 위한 모바일 기반 의약품 정보시스템과 약품 이미지 검색의 프로토타입을 설계하고자 한다.

개체명 인식을 이용한 소셜 미디어에서의 약물 부작용 표현 추출 및 분류 (Detecting and classification ADRs using Named Entity Recognition on social media)

  • 정현정;김현희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1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443-446
    • /
    • 2021
  • 의약품에 대한 안전성 정보 수집과 관리는 온라인, 오프라인을 통해 약물 이상 사례를 보고받는 형태로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소비자들의 자발적인 참여로 이루어지므로 실제 발생하는 약물 부작용보다 데이터가 현저히 적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본 논문에서는 약물 이상 데이터 희소성 문제를 해결 할 수 있도록 소셜 미디어에서 약물 부작용 표현을 찾을 수 있도록 하였다. 소셜 미디어의 경우에는 표준 약물 부작용 용어를 사용하기보다는 일반인들이 자연어로 표현한 경우가 많으므로 개체명 인식 기법을 이용해 부작용을 추출할 수 있는 모델을 개발하였다. 또한 추출된 부작용 표현을 표준용어로 분류할 수 있는 모델을 제시하였다. 실험 결과 제안한 두 가지 모델은 0.9 이상의 정확도를 얻을 수 있었으며, 일반 사용자들이 자연어로 표현한 약물 부작용 표현을 효과적으로 찾아내고 표준 부작용 용어로 매핑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HIV와 HAART 요법과 관련된 대사합병증: 개요 및 임상증례보고 (Metabolic Complications Associated with HIV and Highly Active Antiretroviral Therapy : Overview & A Clinical Case Report)

  • 최은주
    • 한국임상약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274-282
    • /
    • 2012
  • 현재 HIV(human immunodeficiency virus) 감염에 대하여 보다 많은 효과적인 약물치료법이 가능하다. Highly active antiretroviral therapy (HAART)로 언급되는 이 치료법은 항 HIV치료제의 다양한 병용법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최근에 이렇게 치료된 환자들에게 중요한 독성들(toxicities)로서 빈번하게 상당한 지질이상과 혈중당의 항상성 조절장애와 연관된 몸의 지방 분포 비정상으로서 나타나는, 광범위한 대사성 합병증(metabolic complications)이 출현해왔다. 이러한 합병증의 관리는 표준적인 치료 중재(interventions)와 연관하여 지질과 당 대사와 관련된 항 HIV치료제의 특성 있는 효과를 이해하면서, 항 HIV 약물들을 조절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증례는 항HIV 약물요법과정에서 나타난 상당한 지질 이상, 매우 높은 LDL 수치와 높은 TG수치에 따르는 후속 약물요법을 보여주며, 개별화된 항 HIV 약물요법을 수행하면서, 대사성 합병증에 관련된 수치의 검사와 주기적인 약물치료과정의 모니터링을 권하여 HIV에 감염된 환자들의 효과적인 치료를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생물 공학 의약품의 품질관리에 관한 연구(비방사능 물질 표지법을 이용한 숙주유래 DNA의 검출법 개발)

  • 용군호;민홍기;김창민;오호정;한강현;최규실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1993년도 제2회 신약개발 연구발표회 초록집
    • /
    • pp.59-59
    • /
    • 1993
  • 비방사능물질인 Biotin을 DNA probe에 표지하여 nonisotopic hybridization 방법을 사용하여 감도를 높임으로써, 손쉽게 생물공학 의약품의 품질관리에 사용되도록 하였다. Bethesda Research Laboratories(BRL) 회사 제품인 biotinylated probes-avidin alkaline phosphatase를 이용한 chemiluminescene detection방법으로 행하여 λ phage DNA, yeast DNA, E.coil DNA의 한계 검출 농도를 알아내고, 생물 공학 제품에 적용하였다. Dot blot hybridization 방법으로 행하여 λ phage DNA는 0.1pg, Yeast DHA는 4.5pg, E. coli DNA는 8.9pg까지 검출되었고, 기존 생물공학 제품에서는 숙주 유래 DNA가 전혀 검출되지 않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