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앵무새

검색결과 14건 처리시간 0.022초

담관비대를 동반한 간섬유화에 이환된 어린 아마존 앵무새(orange winged Amazon parrot, Amazona amazonica) (Hepatic Fibrosis and Bile Duct Hyperplasia in a Young Orange Winged Amazon Parrot (Amazona amazonica))

  • 이소영;김대영;박희명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617-620
    • /
    • 2011
  • 6개월령 아마존 앵무새(orange winged Amazon parrot, Amazona amazonica)가 2달 간 지속된 체중저하, 식욕감퇴, 복부팽만을 검사 받기 위하여 내원하였다. 신체 검사와 실험실 검사에서 유출성 복수, 아스파라진산 아미노전이효소와 담즙산의 증가 및 알부민-글로불린 비율의 감소와 같은 간부전이 의심되는 소견을 보여주었다. 간 생검을 통하여 담관 비대를 동반한 간섬유화가 진단되었다. 이 증상의 원인은 확실하지 않지만, 간독소에 의한 것으로 여겨진다.

'한 권의 책'으로서 『앵무새 죽이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o Kill a Mockingbird As 'One Book')

  • 윤정옥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8권4호
    • /
    • pp.115-133
    • /
    • 2014
  • 이 연구의 목적은 미국의 '한 책, 한 도시' 독서운동 및 National Endowment for the Arts의 'The Big Read(TBR)'에서 Harper Lee의 "앵무새 죽이기"가 보여주는 '한 권의 책(One Book)'으로서의 가치, 이 책을 선정한 지역사회들의 지향점과 다양성 등을 이해하는 것이다. 이 책은 2001년-2014년 사이 86개 '한 책, 한 도시' 프로그램 및 2007년-2015년 사이 138개 TBR 지역사회에서 선정되었다. 많은 지역사회가 용기, 관용, 정의 등 주제로 표현된 인간 존엄성에 대한 공감을 시도하였고, 독서토론, 다양한 프로그램 및 행사로 이 가치를 표현하였다.

몰루칸 앵무새에서의 내시경을 이용한 식도 이물 제거 일례 (Endoscopic Removal of Esophageal Foreign Body in a Moluccan Cockatoo (Cacatua moluccensis))

  • 이소영;유종현;박철;박희명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29-31
    • /
    • 2007
  • 13개월령의 수컷 몰루칸 앵무새가 경미한 식욕부진을 주 증상으로 하여 건국대학교 수의과대학 부속 동물병원에 내원하였다. 신체 검사에서,식도 이물이 소낭 부위에서 촉진 되었다. 흥부 방사선 검사에서 흥부 식도 부위에 위치한 선상의 식도 이물이 확인되었다. 이에 따라 환자는 먹이용 튜브에 의한 식도 이물로 진단되었다. 식도 이물은 내시경과 겸자를 이용하여 다른 부작용 없이 제거되었다. 이 증례 보고는 새에서 내시경을 이용한 효과적인 식도 이물 제거를 보여준다.

인디안 링넥 앵무새에서 발생한 소낭염을 동반한 선위확장증 (Proventricular Dilation Disease Concurrent with Ingluvitis in an Indian Ring-necked Parakeet (Psittacula krameri manillensis))

  • 이소영;정동인;김하정;김주원;임채영;강병택;유종현;김대영;박희명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437-440
    • /
    • 2007
  • 6개월령의 암컷 인디안 링넥 앵무새가 만성 삭수와 식욕부진을 주 증상으로 내원하였다. 새는 방사선 검사상에서 소낭과 선위 확장을 보여 선위확장증으로 잠정 진단 되었으며 환자에게 대증 치료를 실시하였으나 내원 2달이 지난 후 폐사하였다. 부검소견상, 선위 확장증의 특징적인 소견이 관찰되었으며, 조직검사를 통하여 최종적으로 소낭염을 동반한 선위 확장증으로 확진되었다. 이 증례보고는 국내에 아직까지 보고되지 않았던 선위확장증에 대한 임상적이고 조직병리학적인 내용을 서술하고 있다.

피하 기종에 이환된 고핀 앵무새(Goffin Cockatoo, Cacatua Goffini)에서의 디플레이션 처치 (Deflation Treatment for Subcutaneous Emphysema in a Goffin Cockatoo(Cacatua goffini))

  • 이소영;김하정;김주원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519-521
    • /
    • 2011
  • 1살령 Goffin cockatoo (Cacatua goffini)가 경부 주변의 부드러운 무통성의 풍선 모양 종괴를 주증으로 내원 하였다. 문진과 신체 검사를 통해 두경부 기낭의 외상에 의한 피하 기종으로 진단하였으며, 이를 방사선 검사로 확인 하였다. 피하 탭이 성공적이지 못하여, 변경된 시린지를 이용한 스텐트를 장착하였다. 장착 2주 간 부작용은 나타나지 않았으며 스텐트의 수술적 제거 후, 피하 기종은 소실되었다.

노인을 위한 앵무새 로봇 (Parrot Robot for elder people)

  • 김보람;박정은;정은정;형준호;송복희;신동욱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6년도 학술대회 1부
    • /
    • pp.347-354
    • /
    • 2006
  • 본 작품은 고령자에게 생활의 도움을 주면서 감성적으로 인간 친화적 역할을 수행하는 것을 목적으로 제작한 로봇이다. 고령화 사회 속에서 혼자 사는 노인들이 증가하는 사회현상을 바탕으로 노인의 노화로 인한 신체적 약점들 중 가장 많이 눈에 띄고 보편적인 증상을 일상 속에서 보완해 줄 수 있는 로봇을 개발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단순히 기능적인 편리성뿐 만 아니라 시각적으로 노인에게 즐거움을 주고 위안을 줄 수 있는 친근한 로봇은 노인이 생활하는데 큰 활력소가 될 것이다.

  • PDF

담양하천습지의 식생유형과 분포양상 (Vegetation Classification and Distributional Pattern in Damyang Riverine Wetland)

  • 안경환;임정철;이율경;최태봉;이광석;임명순;고영호;서재화;신영규;김명진
    • 환경영향평가
    • /
    • 제25권2호
    • /
    • pp.89-102
    • /
    • 2016
  • 담양하천습지는 영산강 본류에 위치하는 하천습지로서 2004년 습지보호지역으로 지정되었다. 이번 연구에서는 총 30개의 식생자료가 획득되었으며, 총 101종(미동정종 1종)을 포함하는 22개의 식생유형이 구분되었다. 현존식생도는 6개의 범례(하천림, 대상식생, 터주식생, 연안대식생, 습생초원, 개방수역)로 구분되었으며, 습지식생의 면적은 약 35%($386,841.86m^2$)를 차지하였다. 본 연구 결과 담양하천습지에 분포하는 식물사회는 보호지역 상단에 설치된 물막이보와 상부 유역에 운영 중인 담양댐 등으로 인해 급격한 수환경 변화로 형성된 것으로 유추되었다. 고수부지는 최근까지 경작이 진행되었으나 보호지역 지정 이후 방치됨으로써 현재와 같은 하천변 휴경작지의 식생경관이 형성되었다. 조사지역 내 환경부 지정생태계 교란 야생식물인 털물참피가 우점하는 군락이 넓게 발달하고 있으며, 국내 미기재된 새로운 귀화식물군락인 앵무새깃군락이 관찰되었다. 이들 식물군락들은 나도겨풀군락이 발달하는 환경과 중복되어 그 밖의 유사한 생태적 지위를 가지는 고유식물군락의 서식처를 점유하게 될 것이다. 담양하천습지의 다양한 식물사회들은 인공 시설물 등에 의한 하천환경 변화 및 교란, 훼손에 기인한 것으로 이해된다.

국내 청금강 앵무새(Ara ararauna )에서 psittacine beak and feather disease virus 최초 검출 (Detection of psittacine beak and feather disease virus from a caged blue and yellow macaw (Ara ararauna) in Korea)

  • 김희정;강대영;김은미;김은직;이부흥;여상건;박최규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219-224
    • /
    • 2014
  • A eight-month-old blue and yellow macaw (Ara ararauna) with psittacine beak and feather disease (PBFD)-suspected signs, such as, abnormal feather, depression and diarrhea, was presented to Animal Disease Intervention Center,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in 16 April 2014. The partial ORF V1 gene of PBFD virus (PBFDV) was detected by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from DNA templates extracted from feather, blood and cloacal swab sample of the bird, but no other viral DNAs that often infected in psittacine birds including avian bornavirus and avian polyomavirus were detected from the samples of the bird, indicating this case is due to single infection of PBFDV. Nucleotide sequence analysis of the amplified partial ORF V1 gene was confirmed to have 96.7% and 93.6% homology with that of previously reported PBFDV strain (Genbank no. HM748924 and FJ685980). This report describes the first detection of PBFDV in PBFD-suspected blue and yellow macaw in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