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앱스토어

검색결과 129건 처리시간 0.049초

Column - 시선집중 - '앱스토어'는 과연 애플만의 브랜드인가?

  • 전소정
    • 발명특허
    • /
    • 제36권11호
    • /
    • pp.50-53
    • /
    • 2011
  • 애플이 소유한 '앱스토어' 상표권에 마이크로소프트(MS)가 제동을 걸었다. 애플리케이션의 부가가치가 높아지면서 앱스토어 개념이 애플에 종속되는 것을 막기 위해서다. MS가 미국 특허상표청(USPTO)에 앱스토어 상표권이 일반 명칭이며 경쟁자들이 이용할 수 있도록 허용돼야 한다는 취지의 소송을 제기했다고 PC월드 레지스터 등이 11일(현지시각) 전했다. 애플은 지난 2008년 앱스토어를 '인터넷, 컴퓨터 및 전자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공급되는 컴퓨터 소프트웨어(SW)의 소매상점 서비스'로 규정해 상표권 등록을 마쳤다. 이후 '아이폰'을 위한 앱스토어를 열어 30만 개가 넘는 애플리케이션이 등록되는 등 큰 성공을 거두면서 애플리케이션 장터의 대명사로 자리매김했다. 애플은 이달 초 맥PC를 위한 '맥 앱스토어'도 선보였다. 이에 대해 MS는 '앱'은 앱스토어에서 판매되는 상품 및 서비스를 가리키는 일반적인 용어고, '스토어'는 소매상점 서비스를 나타내는 일반명사라고 주장했다. 또 애플 최고 경영자(CE) 스티브 잡스가 한 언론 인터뷰에서 "아마존, 버라이즌, 보다폰은 모두 안드로이드를 위한 자체 앱스토어를 구축하고 있다"고 언급한 부문을 들어 애플 자신도 앱스토어를 일반 명칭으로 사용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MS는 "소비자와 업계, 미디어들이 모두 앱스토어를 애플리케이션이 판매되는 온라인 상점으로 여기고 있다"면서 "앱스토어라는 이름을 애플이 배타적으로 활용해서는 안 된다"고 밝혔다. MS는 지난해 말 윈도폰7 운영체계(OS)를 위한 온라인 스토어 '마켓플레이스'를 개설했다. IDC는 마켓플레이스에 두 달 만에 4,000여 개의 애플리케이션이 등록됐다고 집계했다.

  • PDF

집단지성을 이용한 상황인지 앱스토어 시스템 연구 (A Study on Context-Aware App-Store System Using Collective Intelligence)

  • 임원준;이강희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3년도 제48차 하계학술발표논문집 21권2호
    • /
    • pp.19-20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앱스토어의 정확한 정보 전달을 위해 집단지성을 이용한 상황인지 시스템을 제안한다. 이 시스템은 개인이 문제 처리 시 발생하는 오류를 집단지성으로 발생하는 집단적인 능력을 이용하여 최소화하고, 앱개발자에게 필요한 API를 추천함으로써 소비자 중심이던 앱스토어를 개발자와 소비자 중심의 앱스토어를 구축 한다. 또한 이 시스템은 소비자의 상황을 온톨로지 기법에 적용하여, 앱스토어 시스템이 소비자의 상황에 적합한 앱을 추천하고, 앱개발자에게 정보를 제공해준다. 이때 앱소비자의 상황정보는 일차 논리 추론기법을 활용함으로써, 소비자 상황을 정확히 추론하여 기존의 앱스토어 보다 한 단계 높은 상황인지 앱스토어 시스템을 제안한다.

  • PDF

집단지성 기반 상황인지 앱스토어 시스템 (Context-Aware App-Store System based on Collective Intelligence)

  • 임원준;이강희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0권2호
    • /
    • pp.11-20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앱스토어의 정확한 정보 전달을 위해 집단지성을 이용한 상황인지 시스템을 제안한다. 이 시스템은 개인이 문제 처리 시 발생하는 오류를 집단지성으로 발생하는 집단적인 능력을 이용하여 최소화하고, 앱개발자에게 필요한 API를 추천함으로써 소비자 중심이던 앱스토어를 개발자와 소비자 중심의 앱스토어를 구축 한다. 또한 이 시스템은 소비자의 상황을 온톨로지 기법에 적용하여, 앱스토어 시스템이 소비자의 상황에 적합한 앱을 추천하고, 앱개발자에게 정보를 제공해준다. 이때 앱소비자의 상황정보는 Jena의 추론기법을 활용함으로써, 소비자 상황을 정확히 추론하여 기존의 앱스토어 보다 한 단계 높은 상황인지 앱스토어 시스템을 구축한다. 본 논문에서는 제안하는 앱스토어 시스템 모듈은 기존의 소비자 중심의 앱스토어에 비해 소비자의 상황정보에 따른 서비스 전달 및 정확성 면에서 기존의 앱스토어 보다 우수함을 보인다.

IoT 환경기반 문화재 앱스토어 구축을 위한 카테고리별 문화재 및 애플리케이션 분석 (Analysis of Categorized Cultural Asset and Application for Cultural Asset App Store Based on IoT Environment)

  • 임원준;이강희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5년도 제51차 동계학술대회논문집 23권1호
    • /
    • pp.105-106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IoT 환경 기반의 문화재 앱스토어 구축을 위한 카테고리별 문화재 및 애플리케이션을 분석한다. 문화재 종류는 문화재진흥청에서 정의한 종류로 분류되어 있으며 종류에 따라 문화재 개수도 다양하다. 이러한 다양한 종류의 문화재 및 애플리케이션 카테고리 분석을 통해 문화재 앱스토어 구축에 있어 카테고리 분류 작업시 중요한 기반 자료가 된다. 이는 앱스토어 소비자에게 정확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구축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 PDF

앱스토어 보안정책 동향 (App Store security policy trends)

  • 배정민;배유미;정성재;장래영;소우영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4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587-590
    • /
    • 2014
  • 스마트기기의 보급이 증가함에 따라 앱스토어 시장이 거대하게 형성되었고, 지금 이 시점에도 하루가 다르게 그 규모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기업 및 개인의 이익을 위해 스마트기기의 보안을 위협하는 악성앱들이 앱스토어에 심심치 않게 등장하고 있다. 단말기 보안은 국가와 기업, 그리고 많은 대학에서 연구를 통해 다양한 솔루션을 내놓고 있다. 하지만 악성앱이 앱스토어에 등록되지 않도록 어플리케이션 등록단계에서 차단하는 정책적인 접근에 대한 연구와 솔루션에 대해서는 앱스토어를 운영하는 기업에 전적으로 일임하고 있으며, 그 기준도 미흡하여 다양한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앱스토어의 보안정책의 문제점을 분석한 뒤 한계점을 제시한다.

  • PDF

HTML5 기반 케이블 공동 앱스토어 구축 현황 및 계획 (The Plan of HTML5 based Mutual App-Store of Cable Service Operators)

  • 정원구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공학회 2013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38-40
    • /
    • 2013
  • 최근 IT를 포함한 모든 산업 및 기술 영역에서는 융복합화(Convergence) 현상이 두드러지고 있으며, 이와 같은 현상은 모바일 시장을 필두로 방송 시장에도 본격적으로 도입 및 확산되는 추세이다. 현재 모바일 분야에서 플랫폼 기반으로 스마트폰 생태계를 주도해 온 구글 애플이 구글 TV iTV 등을 통해 스마트 TV 영역으로 플랫폼 확산을 추진 중이며, 삼성전자 LG전자와 같은 기존 TV 제조사들도 자체 개발 플랫폼을 기반으로 하여 스마트 TV 플랫폼 확산을 추진 중이다. 하지만, 각 제조사 및 유료방송 사업자별로 독자 플랫폼 기반의 독자 앱스토어 구축 시도로 인해 시장 파편화 현상(각기 다른 플랫폼 제공, 플랫폼별 제한적인 가입자 기반의 앱 및 개발자 부족, 차별화된 콘텐츠 부족)으로 인해 스마트TV 앱 생태계 구축에 있어서 글로벌 업체와 경쟁할 수 있는 규모의 경제 확립이 불가능한 상황이다. 이에 본 논문은 국내 케이블 방송 사업자들의 스마트 플랫폼 준비 상황 및 앱 생태계 구축 및 활성화를 위한 공동 앱스토어 추진 현황에 대해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각 케이블 가입자가 채택한 스마트 플랫폼별 주요 특징, 공동 앱스토어 구축을 위한 표준화 진행 현황, 앱스토어 구축 현황 및 계획을 정리하였다.

  • PDF

모바일 앱스토어 기술 동향 (Technology Trends of Mobile AppStore)

  • 허재두;성정식;손종무;이현정;정영식;백의현
    • 전자통신동향분석
    • /
    • 제25권3호
    • /
    • pp.52-61
    • /
    • 2010
  • 2009년 말, 시작된 '아이폰 쇼크'는 아직도 진행중이다. 아이폰은 기존 무선단말기에서는 상상할 수 없을 정도의 다양한 콘텐츠와 소프트웨어를 손안의 휴대폰에서 사용 가능하다. 전 세계로 창이 열린 앱스토어에는 사용자들을 현혹시킬 만한 게임, 멀티미디어 동영상, 프로그램들이 날마다 넘쳐난다. 이메일, Wi-Fi 등 업무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는 솔루션도 모두 지원된다. 아이폰이 제공하는 혁신적인 기능과 앱스토어 앞에 그동안 초고속인터넷 강국이란 명성과 폐쇄적인 무선망 정책을 구사해왔던 통신서비스 업계는 모두 큰 충격에 빠져 있는 듯 하다. 본 고에서는 늦었지만 이제부터라도 이동환경에서의 앱스토어의 기술 전반을 살펴보고, 우리 고유의 무선인터넷 생태계 복원을 위해 개방형 모바일 앱스토어를 위한 서비스 프레임워크를 제안하고자 한다.

안드로이드 앱 스토어 보안 기법 비교 분석 (An analysis on Security Schemes for Android App store)

  • 한재민;송주석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6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222-224
    • /
    • 2016
  • 전 세계에서 안드로이드는 가장 인기 있는 운영체제이다. 이에 따라 구글 스토어 뿐 만아니라 네이버 앱 스토어와 같은 서드 파티가 점차 다양해지고, 사용자가 앱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경로가 보다 많아졌다. 악의적 목적을 가진 사용자는 이러한 점을 악용하고 있다. 앱 스토어에 악성 앱을 유포하고 마치 정상적인 앱처럼 나타내어 사용자를 속이는 등 여러 피해를 주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앱 스토어에 관한 최근 연구들을 기능 별로 분류하고 서술한다. 그리고 각 기능 별 향후 방향에 대해 제시한다.

컨텐츠 정보와 외적인 요소가 앱 구매 결정에 미치는 영향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content and external elements purchase decision on the App)

  • 김재현;최진영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2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708-711
    • /
    • 2012
  • 스마트폰 시장이 급성장하면서, 앱스토어 시장도 급성장 하고 있다. 애플과 구글의 앱스토어는 각각 65 만개, 60 만개의 유효 앱 등록량을 돌파했으며, 다운로드 역시 300 억과 200 억 다운로드를 돌파하였다. 앱 사용자들은 어떤 이유로 수 많은 어플리케이션 중에서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고 다운받는지에 대한 연구는 많이 부족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컨텐츠 정보와 외적인 요인을 4가지 요소(앱의 정보, 외부 추천, 사용 평가, 사용 통계)로 분류하여 구매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찾고,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스토어 시스템의 품질 개선과 추가로 국내에서 어플리케이션 스토어 시스템 구축을 진행하고 있는 사업자에게 실무적 도움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화이트리스트를 이용한 안드로이드 앱 관리 방안 (The Method for Managing Apps of Android Systems Using White List.)

  • 지경배;임형민;김필중;전문석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2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981-983
    • /
    • 2012
  • 많은 사용자 들이 스마트폰을 사용하고 있으며 다양한 앱을 국 내외 앱 스토어를 통해 다운로드하여 사용하고 있다. 앱 스토어를 이용하여 배포되는 앱들은 개별 앱 스토어의 검증 체계를 통해 검증을 받고 있으나, 그 방법이 공통적이지 않다. 심지어 앱 스토어가 아닌 다른 방법을 통하여 앱을 설치 사용하고 있어, 다양한 악성 앱으로 인한 위협에 노출되어 있다. 본 논문에서는 검증된 앱을 화이트리스트에 등록, 관리하여 사용자들에게 검증된 앱을 설치 사용하게 하기 위한 방법을 제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