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애플리케이션 보안

검색결과 282건 처리시간 0.031초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크 기반 리플렉터넷 (A Reflectornet Based on Software Defined Network)

  • 박태준;이승수;신승원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9B권6호
    • /
    • pp.397-405
    • /
    • 2014
  •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킹(SDN)은 기존의 네트워킹 구조와는 상이하게 제어 계층과 데이터 계층이 분리되어 있어 데이터 계층을 중앙 집중 형태로 제어할 수 있는 네트워킹 구조로서 차세대 네트워킹 기술로 강력히 거론되고 있다. 이러한 기술을 잘 활용하면, 새롭고 다양한 네트워크 기능을 어플리케이션의 형태로 개발이 가능하여, 현재 해당 분야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뿐만 아니라, 새로운 라우팅 기능 등과 같은 기본적인 네트워크 기능 외에도 네트워크 보안 기능 또한 SDN 기술을 활용하면 재설계가 가능하여 흥미로운 네트워크 보안 애플리케이션들이 다수 제안되었다. 그러나 현재까지 제안된 네트워크 보안 애플리케이션들은 대부분 기존의 네트워크 기능을 SDN기술을 활용하여 재구현하였기 때문에, SDN이 제공하는 많은 기능들을 효과적으로 사용하지는 못하였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SDN기술을 사용하여 악성 및 의심스러운 네트워크 공격 시도를 허니팟과 같은 감시/분석 시스템으로 재전송(redirect)해주는 기능인 리플렉터넷(Reflectornet)애플리케이션을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또한, 해당 애플리케이션의 성능과 실용성을 실험을 통해 검증한다. 본 논문의 결과는 SDN 기술을 사용하여 더 지능적이고 진보된 네트워크 보안 애플리케이션을 설계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를 촉진하는데 큰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이다.

웹 모니터링 기반 암호화 웹트래픽 공격 탐지 시스템 (Web Monitoring based Encryption Web Traffic Attack Detection System)

  • 이석우;박순모;정회경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5권3호
    • /
    • pp.449-455
    • /
    • 2021
  •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웹애플리케이션 모니터링 시스템을 기반으로 한 암호화 웹트랜잭션 공격탐지 시스템을 제안한다. 기존의 웹트래픽 보안 시스템들은 클라이언트와 서버간의 암호화 구간인 네트워크 영역에서 암호화된 패킷을 기반으로 공격을 탐지하고 방어하기 때문에 암호화된 웹트래픽에 대한 공격 탐지가 어려웠지만, 웹애플리케이션 모니터링 시스템의 기술을 활용하게 되면 웹애플리케이션 서버의 메모리 내에서 이미 복호화 되어 있는 정보를 바탕으로 다양한 지능적 사이버 공격에 대한 탐지가 가능해 진다. 또한, 애플리케이션 세션 아이디를 통한 사용자 식별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IP 변조 공격, 대량의 웹트랜잭션 호출 사용자, DDoS 공격 등 사용자별 통계기반의 탐지도 가능해 진다. 이와 같이 암호화 웹트래픽에 대한 비 암호화 구간에서의 정보 수집 및 탐지를 통하여 암호화 트래픽에 숨어 있는 다양한 지능적 사이버공격에 대한 대응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안드로이드 기반의 실시간 범죄방지 보안솔루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he crime prevention security solution based on Android System)

  • 봉선종;윤희용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4년도 제49차 동계학술대회논문집 22권1호
    • /
    • pp.385-386
    • /
    • 2014
  • 최근 강력범죄와 빈집을 대상으로 하는 범죄가 증가함에 따라 언제 어디서나 실시간으로 주거지를 확인하고 대응을 할 수 있는 보안 솔루션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 구현된 보안솔루션은 서버와의 통신을 통해 실시간으로 사용자의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에서 내부 침입을 확인할 수 있으며, 내부의 개폐장치를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동작하는 보안 솔루션을 제안한다.

  • PDF

안전한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한 취약점 분석 및 위협 완화 (Vulnerability Analysis and Threat Mitigation for Secure Web Application Development)

  • 문재찬;조성제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7권2호
    • /
    • pp.127-137
    • /
    • 2012
  • 최근에 매쉬업(mashups), 웹 3.0, JavaScript, AJAX (Asynchronous JavaScript XML) 등이 널리 사용되면서, 새로운 취약점들이 발견되고 있어 보안 위협이 더 증대되고 있다. 이러한 웹 애플리케이션 취약점과 보안 위협을 효율적으로 완화하기 위해, 그 취약점들을 위험도 기준으로 순서화하여 웹 애플리케이션의 개발 생명주기의 해당 단계에서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미국 NVD(National Vulnerability Database)의 웹 애플리케이션 취약점에 대한 데이터를 분석하여, OWASP Top 10 취약점들의 위험도 산정 방법이 타당한 지를 검증하였다. 그 다음, OWASP Top-10 2010과 CWE (Common Weakness Enumeration) 데이터를 중심으로 웹 애플리케이션 취약점 정보를 분석하여 웹 취약점들을 사상시켜 순서화하고, 그 취약점들이 어떤 개발 생명주기 단계와 관련이 있는지를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효율적으로 웹 보안 위협과 취약점을 예방하거나 완화할 수 있다.

모바일 환경을 위한 웹 애플리케이션 서비스의 세션 관리 개선방안 (Improved Session Management for Mobile Workflow in Web Application Service)

  • 김영훈;박용석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4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387-389
    • /
    • 2014
  • 스마트 단말기의 대중화로 모바일을 통한 업무 처리가 선호되고 있다. 모바일 기기를 통한 인터넷 접속 비율도 2012년 9월 기준으로 PC 대비 30%에 이르고 있다. 모바일 시대에 나타나는 사이버 보안 위협의 특징은 기존의 인터넷에서 발생되는 보안 위협이 모바일 환경에서도 그대로 재현된다는 점이다. 웹 애플리케이션 보안 연구 기관인 OWASP (The Open Web Application Security Project)가 경고하는 세션 관리의 취약점은 앞으로 모바일 환경에서도 대비해야 하는 이슈이다. 하지만 모바일과 데스크탑 컴퓨터의 세션 관리 환경은 크게 다르다. 본 학술지는 모바일 환경에 맞게 개선된 세션 관리 방식을 제안한다.

  • PDF

웹 애플리케이션 취약성 수치화 프레임워크 연구 동향

  • 조성영;전상훈;임채호;김세헌
    • 정보보호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48-55
    • /
    • 2012
  • 웹 애플리케이션의 취약점을 이용한 공격으로 인한 보안 사고가 급증함에 따라, 웹 애플리케이션의 취약점을 진단하고 취약성을 수치화하는 프레임워크가 개발 및 제시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현재 웹 애플리케이션의 취약성을 수치화할 수 있는 CVSS와 CWSS와 같은 여러 가지 프레임워크 연구를 분석하고, 현재까지 제시된 취약성 수치화 프레임워크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제시함으로써 향후 보완해야 할 방향을 제시한다.

머신러닝 기반 클라우드 웹 애플리케이션 HTTP DoS 공격 탐지 (Machine Learning-based Detection of HTTP DoS Attacks for Cloud Web Applications)

  • 조재한;박재민;김태협;이승욱;김지연
    • 스마트미디어저널
    • /
    • 제12권2호
    • /
    • pp.66-75
    • /
    • 2023
  • 최근 기업 및 공공기관 정보시스템의 클라우드 전환이 가속화되면서 클라우드 환경에서 운영되는 웹 애플리케이션이 증가하고 있다. 클라우드 웹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전통적인 네트워크 공격은 대량의 패킷으로 네트워크 자원을 고갈시키는 DoS(Denial of Service) 공격이 대표적이지만, 최근에는 애플리케이션 자원을 고갈시키는 HTTP DoS 공격도 증가하고 있어 이에 대응하기 위한 보안기술 마련이 필요하다. 특히, HTTP DoS 공격 중, 저대역폭으로 수행되는 공격은 네트워크 자원을 고갈시키지 않기 때문에 네트워크 메트릭을 모니터링 하는 전통적인 보안 솔루션으로 탐지하는 것이 어렵다. 본 논문에서는 클라우드 웹 애플리케이션에 HTTP DoS 공격을 주입하면서 웹 서버의 애플리케이션 메트릭을 수집하고, 이를 머신러닝 기반으로 학습하여 공격을 탐지하는 새로운 탐지 모델을 제안한다. 애플리케이션 메트릭으로는 아파치 웹 서버의 18종을 수집하였고, 5종의 머신러닝 모델과 2종의 딥러닝 모델을 사용하여 수집한 데이터를 학습하였다. 또한, 6종의 네트워크 메트릭을 추가로 수집 및 학습하고, 제안된 애플리케이션 메트릭 기반 모델과 성능을 비교함으로써 애플리케이션 메트릭 기반 머신러닝 모델의 우수성을 검증한다. HTTP DoS 공격 중, 저대역폭으로 수행되는 RUDY 공격과 고대역폭으로 수행되는 HULK 공격을 제안된 모델로 탐지한 결과, 두 공격 탐지에 있어서 애플리케이션 메트릭 기반 머신러닝 모델의 F1-Score가 네트워크 메트릭 기반의 모델보다 각각 약 0.3, 0.1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웹 취약점 분석을 위한 프락시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Implementation and Design of Proxy System for Web vulnerability Analysis)

  • 김광현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9권9호
    • /
    • pp.1011-1018
    • /
    • 2014
  • 웹 사이트를 통한 정보제공이 활성화 되면서 웹 애플리케이션의 취약점을 이용한 웹 해킹 시도가 증가하고 있다. 웹 애플리케이션의 보안을 강화하려면 먼저 웹 애플리케이션의 취약점을 찾아 제거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은 웹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기존의 취약점 해결 방법을 분석하고 보다 발전된 취약점 해결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웹 애플리케이션 취약점 분석을 통해 현존하는 웹 취약점을 제거한 웹 보안 상태의 안정성을 점검하고 기존 방법의 적합성을 평가하였다. 또한 기존 취약점 해결방안의 미비점을 보완한 방법으로 웹 프락시(Proxy) 시스템을 통한 취약점 분석 툴을 구현하고 최적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크 기반 위협 대응 프레임워크 (Threat Response Framework based on Software Defined Network)

  • 이승현;신승원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5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373-375
    • /
    • 2015
  •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크(SDN)의 등장은 학계와 산업계에 큰 영향을 주었다. SDN은 물리적인 장치를 변경하지 않고 네트워크 관리자의 의도대로 대상 네트워크를 관리 할 수 있기 때문에, 능동적이고 유연한 관리환경을 제공한다. 보안측면에서 SDN 기반의 네트워크는 다양한 공격을 탐지하는 데 유용하게 쓰인다. 하지만 대부분의 SDN을 이용한 보안 연구는 네트워크에만 집중되어 있고, 호스트를 고려하지 않고 있다. 이와 더불어 SDN 기반의 보안 애플리케이션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SDN을 운용하는 컨트롤러와 다양한 지식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SDN 기반의 호스트와 네트워크를 모두 고려하는 보안 애플리케이션 제작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크 기반 위협 대응 프레임워크를 제안한다.

스마트폰 보안을 위한 방화벽 모델 (Firewall Model for Smartphone Security)

  • 조유진;최경;도인실;채기준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0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1357-1359
    • /
    • 2010
  • 스마트폰의 보급과 더불어 보안에 관한 관심도 크게 증가되고 다양한 보안 솔루션들이 제안되고 있다. 스마트폰 보안은 스마트폰의 이동성, 메모리 제약, 배터리의 한계, 동시에 실행되는 다른 프로세스들과의 충돌 고려 등의 요인으로 인해 접근하기가 어렵다. 또한 현존하는 스마트폰 방화벽 애플리케이션의 경우 많은 사용자가 불편함을 느끼고 사용을 해제하는 경우가 많다. 본 논문에서는 이와 같은 스마트폰의 특성과 제약사항을 고려해 방화벽을 살펴보고 스마트폰에 알맞은 방화벽 애플리케이션 모델을 제안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