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애착안정성

검색결과 50건 처리시간 0.021초

어머니의 온정 및 통제와 유아의 애착 안정성간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Warmth, Control and Toddler′s Attachment Security)

  • 이진숙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9권6호
    • /
    • pp.41-50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warmth, control and toddler's attachment security. Subjects were 83 three-year old children and their mothers in Jeonju city. The intruments of this study were the Parenting Style Scale(Cho et at.,1999) and Attachment Q-set(AQS; Waters,1987). Mothers rated the questionnaire and observed a child through AQS at hom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ean of the child attachment security was .39 and the range of attachment score was from -0.07 to 0.79. The scores of mothers' warmth and control were above the mean. The child's attachment security was predicted by mother's warmth. Mother's warmth appeared to be meaningful for child to develop the secure attachment. The result of this study suggested that authoritative parenting characterized with warmth and control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child's attachment security.

  • PDF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 성인애착, 자기표현성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Job-seeking Stress, Adult Attachment and Self-assertiveness, on Depression among Korean College Students)

  • 전해옥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7호
    • /
    • pp.312-323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 성인애착, 자기표현성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함이다. 충청도와 전라도 소재의 4년제 대학 3곳에 재학 중인 대학생 239명을 대상으로, 2013년 4월 20일부터 5월 30일까지 자가 보고식 설문조사로 시행되었다. 연구결과, 대학생의 우울은 평균 14.38점(SD=9.81)으로 우울 위험수준에 해당하는 대상자는 27.6%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울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던 일반적 특성인 성별, 학년, 거주유형, 전공만족도를 통제한 상태에서, 위계적 회귀분석을 시행한 결과, 취업스트레스(${\beta}$=0.31 p<.001)와 성인애착(${\beta}$=0.32, p<.001)이 대학생의 우울의 약 34%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F=12.20, p<.001). 그러므로 대학생이 직면한 취업스트레스와 성인애착관련 불안과 회피수준을 조절하여 안정된 애착 패턴을 갖도록 도와주는 간호중재가 대학생의 우울 및 정신건강 관리를 위해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성인기 애착 안정성에 관한 연구 -이성 및 부모에 대한 애착과 부모 부양 의무감을 중심으로- (A Study of Adult Attachment Security: romantic attachment, and attachment and filial obligation to parents)

  • 조윤주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75-92
    • /
    • 2009
  •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university students' romantic and parent attachment in attachment security an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romantic attachment, parent attachment and filial obligation for generational transition. Major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attachment anxiety in female students is higher than male students. 25.1% of the subjects is classified into a secure type and 74.9% is classified as an insecure type. Second, female subjects feel strong attachment to their mothers than male subjects. Third, romantic attachment of female students is related to attachment to their fathers. Fourth, male subjects feel more filial obligation than female subjects. Finally, their romantic and parent attachment are positively related to their filial obligation. Variables that explain male students' filial obligation are ones of 'giving economic aid to parent' and 'the extent of attachment to their fathers'. A variable accounting for female students' filial obligation is 'the extent of attachment to their mothers'.

재한 중국 유학생이 지각한 부모애착과 불안의 관계: 대학생활적응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Effects of Parental Attachment and State-Trait Anxiety by Chinese Students in Korea: Focused on Mediating Effect of College Life Adjustment)

  • 주원;박정윤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6호
    • /
    • pp.580-590
    • /
    • 2017
  • 본 연구는 재한 중국 유학생이 지각한 부모애착이 불안에 미치는 영향과 대학생활적응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서울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중국 유학생 253명으로 모집하였으며, SPSS 18.0 프로그램으로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조사대상자의 연령, 학력, 대학생 자녀가 지각한 부모와의 의사소통, 신뢰감, 그리고 학업적응, 사회적응, 개인-정서적응, 대학환경적응이 불안과 부정적인 관련성이 있었으며, 소외감과 긍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조사대상자가 지각한 부모애착 중의 하위변인 신뢰감과 대학생활적응의 하위변인인 학업적응과 개인-정서적응이 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부모애착이 불안에 미치는 영향의 관계에서 대학생활적응의 매개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재한 중국 유학생의 불안정서를 감소하기 위하여 안정적 부모애착뿐만 아니라 대학생활에 잘 적응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성인 애착유형과 불면증 (Adult Attachment Styles and Insomnia)

  • 김동욱;이경화;조성진;조인희;고승희;이유진;김종훈;김석주
    • 수면정신생리
    • /
    • 제16권1호
    • /
    • pp.28-35
    • /
    • 2009
  • 배 경:인간에 있어서 애착은 각종 정신생리적 증상과 관계가 깊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성인기 애착 유형과 수면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며, 애착 유형과 불면증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역사회 구성원을 대상으로 성인기 애착 유형과 불면증과의 관계에 대해 알아보려고 하였다. 방 법:지역사회에 거주하는 19세 이상 성인177명(남자 74명, 여자 103명, 평균연령 $41.23{\pm}8.44$세)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연구참여자들의 애착 유형(안정형, 거부형, 의존형, 두려움형)을 평가하기 위해 자기보고형 대인관계 유형 설문지를 작성하게 하였다. 또한, 불면증의 임상양상을 조사하기 위해 지난 한달간 불면증의 존재, 형태, 빈도, 기간에 대한 설문도 작성하게 하였다. 결 과:불면증이 있는 경우 두려움형 애착 점수가 높았으며(t=2.87, p=0.005), 이러한 상승은 모든 유형의 불면증에서 나타났다(초기 불면, t=2.33, p=0.021;중기 불면, t=2.92, p=0.004;후기불면, t=2.89, p=0.004). 또한, 주 3회 이상의 잦은 불면증이 있는 경우 간헐적인 불면증에 비해 두려움형 애착 점수가 더 높았다(t=2.57, p=0.012). 반면, 6개월 이상 지속된 만성 불면증이 있는 경우 일과성 불면증에 비해 의존형 애착 점수가 더 높았다(t=2.57, p=0.012). 결 론:본 연구에서는 불면증 유무에 따라 애착 유형의 차이가 있었다. 두려움형 애착 유형은 다양한 형태의 불면증과 관련이 있었으며, 의존형 애착은 불면증상의 만성화와 관련이 있었다. 이는 성인기 애착 유형과 불면증의 임상 양상과 서로 관련이 있음을 시사한다.

  • PDF

청소년의 부모 및 또래애착과 SNS 중독경향성의 관계: 소외에 대한 두려움(FoMO)의 매개효과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 and Peer Attachment on SNS Addiction Proneness among Adolescents: The Mediating Effect of the Fear of Missing Out)

  • 한다정;김빛나
    • 한국심리학회지:학교
    • /
    • 제17권3호
    • /
    • pp.243-261
    • /
    • 2020
  • 소외에 대한 두려움(fear of missing out; FoMO)은 흐름을 놓치거나 자신이 포함되지 않을 것이 두려워 남들이 어떤 활동을 하고 있는지 계속 확인하고 싶은 욕구를 의미하며, 특히 소셜미디어 분야에 널리 퍼져있는 현상으로 최근 주목받고 있다. 지금까지 소외에 대한 두려움은 SNS 중독과 밀접한 변인으로 조명되어 왔으나, 어떤 경로를 거쳐 소외에 대한 두려움이 SNS 중독으로 이어지는지에 대한 경험적 연구는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소외에 대한 두려움이 청소년의 애착과 SNS 중독경향성 사이를 매개하는지를 검증하였다. 총 517명의 중고등학생이 참여하였으며, 관련 척도들이 포함된 설문지를 작성하였다. 연구결과 소외에 대한 두려움은 부모애착과 SNS 중독경향성의 관계를 부분매개하고, 또래애착과 SNS 중독경향성의 관계는 완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부모 및 또래와 애착이 안정적이지 않다고 느낄수록 SNS 중독경향성이 높아지며, 또래애착의 경우 이러한 관계는 소외에 대한 두려움에 의해 거의 전적으로 설명된다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결과의 이론적, 실용적 시사점과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한국 부부의 갈등해소 방법 선택에 있어서 개인적 변인과 상황적 변인의 상대적 중요성 (Marital Conflict Strategies as Personal and Situational Attributes:A Study of Korean Couples)

  • 전효정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8권5호
    • /
    • pp.91-106
    • /
    • 2000
  • 대부분의 갈등해소에 관한 연구들은 갈등해소방법 사용의 상황에 따른 일관성을 미리 가정하고 있다. 그러나 몇몇 연구에서 갈등해소방법에 있어 성격의 효과와 함께 상황적 효과가 있음을 보고하고 있다. 아직까지는 갈등의 쟁점, 감정, 관련 인물과 이들의 상호작용을 고려한 갈등해소방법의 일관성에 관한 연구가 부재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상황에 따른 갈등해소 방법 선택의 일관성의 수준과 결혼 적응도에 있어서의 이들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나아가, 갈등해소의 과정 및 절차를 관찰하였다. 350쌍의 한국 부부들에게 설문조사(1차연구)를 실시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50쌍을 선발하여 갈등해소 과정을 관찰하였다(2차연구). 설문조사 결과에 의하면, 쟁점의 종류나 관련 대상에 따라서는 비교적 일관성 있는 방법을 사용하였으나, 감정상태에 따라서는 비 일관적인 해소방법을 사용하였다. 안정형 애착유형자는 건설적 해소 방법을 사용하는 반면, 불안정 애착유형자는 파괴적 또는 회피적 해소방법을 사용하는 경향을 보였다. 관찰 연구 결과에 의하면, 건설형 및 회피형 사용자는 설문조사와 관찰연구에서 일관성 있는 행동을 보였으며, 파괴형 해소방법 사용자는 설문조사와 관찰연구에 있어 일관성이 결여되어 있었다. 갈등해소의 과정, 즉 시작, 진행, 종료에 있어 유의한 타이가 발견되었으며, 이것이 결혼 적응도에 영향을 주었다. 연구결과들은 갈등해소와 결혼 적응에 관한 이론과 연계되어 논의되었다.

  • PDF

생산적인 아버지노릇과 유아의 애착안정성 (Generative Fathering and Toddler Attachment Security)

  • 이영환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7권12호
    • /
    • pp.91-102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ather-child relationship. The final sample for the data analyses included 83 three-year old children and their lathers. The instrument of study was the 'generative fathering'(by Yee et al, 1999). This measurement consisted two areas, first is the father's involvement in child rearing, and second is the responsibility on child rearing. And the child attachment security was observed through Attachment Q-Set(Waters, 1987) in the child's home. The results were following: 1. The mean of the child's attachment security was .33 and the range of attachment security was from -.07 to .79. 2. Father had higher responsibility on rearing, more involved in the child care. 3. The child's attachment security was predicted by the father's involvement in rearing. The father's responsibility didn't show the relationship with the child's attachment security. Especially among the subcategories of involvement, the activity with child had a significant relation to attachment security. So the father's interaction with child was meaningful for the child to develop the internal working model.

  • PDF

기혼여성의 애착안정성과 자아존중감에 따른 우울, 불안 : 초등학생 어머니를 중심으로 (Depression and Anxiety Related with Married Women's Attachment Security and Self-esteem : Focused on the Mother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 곽소현;김순옥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5권7호
    • /
    • pp.35-48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fference between the depression and anxiety related with maternal attachment security and those with self-esteem. The study subjects were 240 children's mothers from seven Community Social Welfare Service Centers in Seoul, Incheon, and Pyeongtaek, including those from 1st graders to 6th graders of 2 elementary schools in Seoul. Consequently, a total of 200 mothers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The data in this study were analyzed with SPSS 12.0 program by frequency analysis, technical statistics analysis, Cronbach's $\alpha$, Pearson's correlations, partial correlation analysis, and two-way ANOV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Paternal attachment security and maternal attachment security indicated a moderate level of negative correlation with depression and anxiety. Self-esteem showed a high level of negative correlation with depression and anxiety. For self-esteem, we divided the subjects into two groups of high and low self-esteem. In the former, anxiety was significantly negatively correlated with paternal attachment security and depression was not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maternal attachment security and paternal attachment security. In the low group, neither depression nor anxiety showed meaningful correlation with paternal attachment security and maternal attachment security. (2) Married women's depression and anxiety had a main effect both in paternal attachment security and self-esteem level, and in maternal attachment security and self-esteem level. However they had no interactive effect in paternal attachment security and self-esteem level, and in maternal attachment security and self-esteem level.

부모-자녀모래놀이치료가 모-자의 애착안정성과 의사소통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Sandplay Therapy with Parent-Children on Mother-Child's Attachment Security and Communication)

  • 오애니아;유승은;박부진
    • 아동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31-55
    • /
    • 2013
  • This study aimed to look into the effect of sandplay therapy with parent-children on mother-child's attachment security and communication. This study first conducted a scale of attachment security targeting child and mother who is bringing children in the age of 5 to 6 years in two kindergartens located in Seodaemun-gu, Seoul, and composed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of four couples respectively by selecting randomly from eight mother-child couples that received low grades. Sandplay therapy with parent-children was conducted for 12weeks on a weekly basis for 50minutes each. To study the attachment security, we used the Klabsbrun-Bowlby(1976)' Separation Anxiety Test and Mother's attachment scale. In this study, it is Seperated in based on Lee Na Gueng(2001) by functional communication and dysfuctional communication in order to measure changes in communication for situation that may occur during Sand play theraphy and record of observation about changes in each session. Data logging makes watching videos that recorded parent-children sand play therapy every situations. When observes the functional communication or dysfunctional communication between mother and the child, checking the corresponding to each entries, the frequency is recorded and qualitatively analyzed by each sessions. To study mother and child have been enhanced stability of the attachment and the relationship had improved results. Also, in each session the observation of increased functional communication, and dysfunctional communication results appear to reduce in parent-children sand play therapy. As a result, a couple sand play therapy has positive impact to improv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other and the chil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