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애완동물

검색결과 165건 처리시간 0.021초

사료첨가제 제조기술과 시장동향 분석 (Analysis for Manufacturing Technology and Market Trend of Feed Additive)

  • 이종택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4년도 추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409-410
    • /
    • 2014
  • 사료첨가제는 배합사료에 첨가되어 소화력 향상, 병원균 저감, 지방 대사 개선, 항산화 효과, 독성 물질 제거 등의 효과를 나타내며, 종류에는 보존제, 아미노산제, 비타민제, 생균제, 효소제 등이 있다. 국내외 시장성장률을 보면 각각 5.1%, 3.5%를 나타내며, 국내시장은 해외시장의 약 2%를 차지한다. 사료첨가제는 소득 수준과, 육류 소비량, 애완 동물 수요 증가에 영향을 받는 산업이며, 해외 주요 업체들은 합병과 통합을 통해 관련 사업을 수직/수평 계열화하고 있다. 기술적인 흐름을 살펴보면, 천연 추출물에 의한 제품 개발, 저가 제품, 복합 기능성 맞춤형 첨가제 등의 니즈에 따라 관련 제품의 기술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 PDF

미생물 발효 당밀을 산란계 사료에 첨가 시 계란생산성과 특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Effects of Dietary Microbial-Fermented Molasses on Egg Production and Egg Quality in Laying Hens)

  • 최인학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59-162
    • /
    • 2019
  •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dietary microbial-fermented molasses on egg production and egg quality in laying hens.In total, 90 Hy-line Brown laying hens were divided into two treatment groups (control and 1% microbial-fermented molasses)with three replicates of 15 birds each. During the experimental period, supplementation of hen diets with 1% microbial-fermented molassesdid not influence egg weight, hen-day egg production, egg mass, and feed conversion ratio (p > 0.05), except for feed intake. Regarding egg quality, diets containing 1% microbial-fermented molasses significantly affected eggshell thickness, Haugh unit, and albumen height (p < 0.05). However, there were no remarkable differences between control and 1% microbial-fermented molasses in eggshell color and egg yolk color (p > 0.05). These results indicate that supplementing 1% microbial-fermented molasses to the diet of laying hens improved egg quality parameters such as eggshell thickness, Haugh unit, and albumen height rather than egg production.

일라이트(illite)를 산란계 사료에 첨가 시 계란 신선도와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illite As a Feed Additive on The Haugh Unit and Fatty Acid Profiles of Eggs)

  • 최인학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8권9호
    • /
    • pp.807-811
    • /
    • 2019
  • The present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dietary illite as a feed additive on the Haugh unit and fatty acid profiles of eggs. One hundred and twenty laying hens (48-week-old Hy-line Brown) 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of the following two treatments: control or 2% illite powder. At 2 and 4 weeks, the Haugh unit values between the control and 2% illite powder group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In addition, individual fatty acid content at 2 and 4 weeks did not differ between the treatments (p>0.05), except for palmitic (C16:0) and palmitoleic acid (C16:1) content. The addition of 2% illite powder caused no difference between the total saturated and total unsaturated fatty acids at 2 and 4 weeks (p>0.05). In conclusion, the addition of dietary illite at a rate of 2% did not improve the Haugh unit values or fatty acid profiles of eggs.

경북지역을 중심으로 한우농가의 축분 특성 조사 (Characteristics of Livestock Manure in Hanwoo Farms Centered in Gyeongsangbuk-do Province)

  • 최성업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281-284
    • /
    • 2022
  • This study focu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manure in five beef cattle farms and two breeding farms in Hanwoo centered in Gyeongsangbuk-do province. The results of analysis and evaluation are as follows; First, the pH of manure in all the farms in this study was within the appropriate range of 8.81 to 9.45. Second, the dry matter content varied from 44.7% to 70.5% for all the farms. Third, the total nitrogen content in all the farms was 2.05-3.04%, which is higher than the reported range; however, it could play a role as a soil improvement agent when used as compost. Fourth, although the exact range of ammonia-N (VBN) content was not reported, results analyzed in all the farms showed that the level of impact on the environment was insignificant. In conclusion, soil and environment improvement effects are expected to be effective if the manure at Hanwoo farms in the Gyeongbuk area are used as compost through appropriate management.

Bartonella henselae DNA에 대한 PCR 검사로 확진된 Cat Scratch Disease 1례 (A Case of Cat Scratch Disease Confirmed by Polymerase Chain Reaction for Bartonella henselae DNA)

  • 정주영;구자욱;김상유;유영삼;한태희;임성직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8권7호
    • /
    • pp.789-792
    • /
    • 2005
  • CSD는 고양이에 긁히거나 물린 다음에 발생하는 자가제한적 국소 림프선염을 증상으로 하는 질환이다. CSD는 소아와 성인에서 비교적 흔한 인수 공통질환이며, 특히 소아 연령의 림프선염과 원인 불명열의 중요한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CSD는 고양이 벼룩에 존재하는 배설물에 있는 B. henselae가 고양이의 발톱이나 이빨에 물리면서 인체에 접종되는 것으로 여겨지지만 감염 경로는 아직 확실하지 않다. B. henselae는 고양이 벼룩 뿐 아니라 개벼룩, 쥐이 및 진드기 등의 다양한 매개 곤충에 존재하여 다양한 가축과 야생동물을 감염시킨다. 최근에는 고양이 벼룩에 교차 감염되는 애완용 개가 중요한 중간 숙주로 대두되었다. CSD는 애완용 개나 고양이와 접촉하거나 긁힌 기왕력과 전형적인 임상증상, 조직 소견, 혈청학적 검사에 의해 주로 진단되어 왔지만 최근에는 PCR을 이용하여 최종 진단을 하게된다. 저자들은 10개월간 애완용 개를 키웠던 14세 남아에서 진단된 CSD 1례를 보고하는 바이다. 본 연구는 국내 소아에서 PCR로 진단된 최초의 CSD 증례인 점에 의의가 있다. 환아의 발열과 경부 림프선염은 10일 정도 지속되었으나 특별한 치료를 하지 않고 회복되었다. 환자의 혈청에 대해 시행한 B. henselae 간접면역 형광법 검사는 1 : 64 양성이었으며 경부 림프선 흡인물을 대상으로 시행한 PCR 검사에서 B. henselae DNA의 존재가 확인되었다.

반려묘(猫)의 행동 특성을 고려한 가변형 가구디자인 개발 연구 (Development of Versatile Furniture Design Considering the Behavior Characteristics of the Pet Cats)

  • 이상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5호
    • /
    • pp.259-267
    • /
    • 2019
  • 고양이에 대한 사회 인식의 변화는 독립적인 삶을 살아가는 현대인의 라이프스타일과 맞아 반려묘 관련 소비시장은 지속적으로 상승할 것으로 보인다. 반려인들에게 반려동물은 단순한 애완의 목적이 아닌 함께 정서를 교감하며 가족처럼 삶의 전반에 걸쳐 함께 삶을 살아가는 존재가 되어가고 있다. 그러나 반려동물산업의 꾸준한 성장률과 고양이 사육 가구의 수가 급증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들의 행동과 이해를 바탕으로 한 산업 관련 제품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다. 이러한 이유로 본 연구는 고양이의 행동특성을 고려한 가변형 가구디자인을 제안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가변형 가구는 주거공간의 환경과 변화에 밀접하며, 가구의 재배치를 통해 공간의 변화를 가져온다. 이러한 가변형 디자인 가구는 다기능성 및 가변성의 복합적 특징을 가지고 있어 가구의 기능을 효율적으로 높일 수 있어 반려묘 가구에 적합하다. 본 연구는 디자인 개발 논문으로 반려동물과 반려인에게 보다 나은 환경을 만들 수 있는 디자인 시장의 기초연구가 될 것을 기대하며 연구를 마치고자 한다.

법적지정 생태계교란생물의 사육 현황과 관리 개선 방안 - 리버쿠터와 중국줄무늬목거북을 중심으로 (Breeding Status and Management System Improvement of Pseudemys concinna and Mauremys sinensis Designated as Invasive Alien Turtles in South Korea)

  • 김필재;연수정;안현주;김수환;이효혜미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제7권4호
    • /
    • pp.388-395
    • /
    • 2020
  • 외래생물은 경제 목적으로 수입되었으나, 최근에는 애완용으로 수입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애완동물로 선호도가 높아진 리버쿠터와 중국줄무늬목거북은 2014년부터 사육개체수가 서서히 증가하다가 2017년에 180개체, 2019년에는 281개체를 기록하여 최대로 증가하였다. 그러나 수명이 긴 거북의 특성과 사육여건의 변화로 자연으로 버려진 개체가 발견되었다. 방출된 개체의 생태계위해성 평가를 통해 생물다양성법에 의해 생태계교란 생물로 지정되었다. 따라서 해당 거북 사육자가 계속 사육을 원할 경우 '생태계교란 생물 사육유예 허가 신청서'를 제출하여야 한다. 본 연구는 2020년 3월부터 9월까지 6개월간 접수된 신청서의 정보 (사육 시설의 적합성, 거북 개체수, 사육기간, 획득 방법, 사육자 지역 분포 현황 등)를 분석하고, 사육상태를 검토 결과를 제시하였다. 신청서는 총 614건이 접수되었으며, 사육자의 58%만이 적합한 사육상태를 조성한 것으로 평가되었기 때문에 사육자를 대상으로 동물복지 실현을 위해 적절한 사육 정보 제공과 생태계교란 예방을 위한 유기방지 교육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신청서 내의 누락된 항목이 다수 발견된 점과 단발적인 신청에 따른 허가 방식으로 인한 문제 발생에 대비하여 대응방안을 만들고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부산지방에서 사육중인 애완견으로부터 분리한 피부사상균에 관한 연구 (Studies on Distribution and Pathogenicity of Dermatophytes Isolated from Pet Dogs in Pusan Area)

  • 이강록;정경태;노환국;김병지;임기재;류중운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167-173
    • /
    • 1994
  • This study were performed to distribution of dermatophytes isolated from pet dogs in Pusan area and pathogenicity of the isolates. During the period from March 1993. to April 1994, 201 pet dogs of house breeding were examined. The result of obtained were summarized as followes; 1. Isolation rate of dermatophytes were 4.7%(7/149) in no lesion and 23.1%(12/52) in lesion of dog's skin. 2. According to breeding conditions, isolation rate of dermatophytes were 1) 3.8% in no lesion and indoor breeding, 2) 16.7% in lesion and indoor breeding, 3) 13.5% no lesion and outdoor breeding, and 4) 37.5% in lesion and outdoor bleeding. 3. Among the 201 Pet dogs, 16 strains of M. cams(84.2%), 1 of M. gypseum(5.3%), and 2 of T. mentagrophytes (10.5%) were isolated. 4. For Pathogenicity test, one strain of each M. canis, M, gypseum, T. mentagrophytes isolated from skin lesions were inoculated to the skin of the posterior back of guinea pigs. All of dermatophytes tested were induced skin lesions. Among them, M. cams and T. mentagrophytes were more virulent than M. gypseum.

  • PDF

대전광역시 애완견의 장내기생충 감염실태조사 (Prevalence of intestinal parasites of pet dogs in Taejon city)

  • 오윤희;송운재;이필돈;박배근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391-400
    • /
    • 1998
  • In order to survey the prevalence of intestinal parasites in dogs, 304 fecal samples were taken from dogs in Taejon city, The prevalence and identification of intestinal parasites were determined by the fecal examinations using sheather's floating technique and sedimentation methods and then Cryptosporidium oocysts were identified by kinyoun's modified acid fast stainning method. The results were obtained as follows ; 1. Parasite eggs and oocysts were detected in 105 samples (34.5%) from 304 cases of dog feces. 2. The 11 kinds of eggs and oocysts were isolated from the feces of dog. Those were Ancylostoma caninum (12.1%, 37 dogs), Trichuris vulpis (11.5%, 35 dogs), Toxocara canis (10.2%, 31 dogs), Isospora sp (7.2%, 22 dogs), Cryptosporidium sp (3.6%, 11 dogs), Toxascaris leonine (1.9%, 6 dogs), Strongyloides sp (1.9%, 6 dogs), Taenia sp (0.6%, 2 dogs), Diphylidium caninum (0.3%, 1 dog), Spirometra sp (0.3%, 1 dog) and Clonorchis sinensis (0.3%, 1 dog). 3. It was mixed infection such as single, double, triple and quadruple, 64.8%, 25.7%, 8.6% and 0.9%, respectively. 4. In indiviually-raised 4095, the infectious late of T canis (11.4%), A Caninum(13.2%), Cryptosporidium sp (6.1%), T leontna (2.6%) were higher than those of group raised dogs. But the infectious rate of T vulpis (12.1%) in group raised dogs was higher than that of individually-raised dogs. 5. Adults of Demodex and Sarcoptes which have been found in this survey are excluded in this report.

  • PDF

액상 황산철(liquid ferrous sulfate)을 육계 깔짚에 처리시 암모니아 발생량, pH및 총 질소 함량 변화 (Changes in Ammonia Fluxes, pH and Total Nitrogen in Liquid Ferrous Sulfate-treated Litter)

  • 정태호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287-290
    • /
    • 2019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hanges in ammonia fluxes, pH and total nitrogen of liquid ferrous sulfate-treated litter over 5 weeks. A total of 200 broiler chicks (Arbor Acres, 1 d old) was separated into two treatment groups (0 g and 100 g liquid ferrous sulfate/kg litter) with four replications of 25 birds in each group. Liquid ferrous sulfate was sprayed on the litter by using a small sprayer. There was no difference (p>0.05) in the ammonia fluxes observed between the control and liquid ferrous sulfate treatment groups at 0, 1, and 5 weeks, except for 2, 3 and 4 weeks. At 5 weeks, the litter pH and total nitrogen content did not show any difference (p>0.05) between the control and liquid ferrous sulfate treatment groups. In conclusion, the use of liquid ferrous sulfate is not a suitable for use in poultry litter to reduce ammonia and pH or improve the total nitrogen con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