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앞치마 디자인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19초

관광 기념품용 앞치마 디자인 개발 - 전주막걸리연구센터 사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pron Design for Cultural Tourism Souvenirs - Focused on Jeonju Makgeolli Research Center -)

  • 김주연;이효진;양아랑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1161-1172
    • /
    • 2012
  • The recent trend in tourism souvenirs has shifted from traditional products to modern, practical, and budget oriented products. As a result, tourism souvenirs that meet the changing demands of consumers need to be studied and developed. Aprons are one of the most important accessories worn for housework, and are also an important part of uniforms worn at restaurants and hotels. As a result, aprons typify the characteristics of makgeolli - practical products that meet the needs of modern consumers. Therefore, the development of tourism souvenirs targeting tourists that seek Jeonju Makgeolli is expected to bring substantial social and economic benefit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develop designs for aprons for promotional and tourism souvenirs for the Jeonju Makgeolli Research Center. The research has been conducted with a survey on design preferences of aprons, design proposals, production of actual aprons, and selection of the final design. The study is empirical in nature and realistic in scope since it is anticipated that the trial and manufacture of aprons will be commercialized as tourism souvenirs. It is expected that aprons, which can be produced at low cost, will meet the needs of recent consumers who prefer elegant, modern, and practical goods as compared to simple and bland folk crafts or traditional products. More studies and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designs of aprons as tourism souvenirs is expected to be conducted based on this study.

국가 브랜드 사업으로서 템플스테이 고부가가치 전략을 위한 문화상품 디자인콘텐츠 개발 - 불전사물 중 운판을 중심으로 - (Development of the Cultural Product Design Contents for High Value Added Strategy of Temple Stay as National Brand Project - Based on cloud-shaped gong among the Bulgeonsamul -)

  • 김선영
    • 복식
    • /
    • 제63권4호
    • /
    • pp.30-43
    • /
    • 2013
  • This study provides suggestions of cultural product design contents by using the cloud-shaped gong in traditional temple culture in order to find a high value-added approach. The research herein is part of cultural design contents projects embedded with the spiritual value and symbolic connotation of temple culture. This would be meaningful to enhance its degree of utilization. This can also be a way to find a strategic alternative to a high value addition of temple stay and dissemination of temple culture. For the research methodology, literature was reviewed over temple stay and Bulgeonsamul. For motive design and development of cultural product design, both Adobe Illustrator CS3 and Adobe Photoshop CS3 were used as computer design program. The template image of cloud-shaped gong for basic motive design was selected from those available at the domestic temples for accurate depiction of its head and body. Finally, samples were adopted from those temples of Gounsa, Songgwangsa, Guinsa, Hwaeomsa, and Naesosa. For each motive, different colors were applied and ten basic motives were practiced in total. By repeating the process for these motives, three types of textile design were prepared. T-shirt designs used a round neckline as basic form, and it was designed for sleeved and sleeveless styles. Apron designs stressed V-neckline and two types were processed: one for the back seam line and the other for side seam line. Pendants were designed with modern and luxurious image so that so that it could be used in various types of accessories. Designs for the bedding applied pattern design of the motives and this was done in a way that gave the images a sense of stability and splendor.

Development of New Hanbok Cheollik One Piece Prototype

  • Cha, Su-Joung;An, Myung-Sook;Heo, Seung-Yeu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6권10호
    • /
    • pp.125-137
    • /
    • 2021
  • 본 연구는 신한복 철릭 원피스에 대한 선호도 조사를 통해 추출된 신한복 철릭 원피스 디자인의 신한복 철릭 원피스 원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신한복 철릭 원피스 생산의 기초가되는 패턴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시판 철릭 원피스 패턴 비교에서 우수한 것으로 선정된 D패턴을 변형하여 실험의 패턴을 제작하였다. 패턴에 대한 외관평가 분석에는 SPSS 26.0 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외관 및 의복압에 대한 1차 평가 결과, 어깨, 소매길이, 치마길이, 소매통의 수정이 요구되어 소매길이는 8.0cm를 줄이고 소매통은 총 1.0cm를 줄여 주었다. 치마길이도 5.0cm를 줄이고 어깨끝점을 양쪽에서 0.5cm 안으로 들여 어깨폭을 줄여 주었다. 2차 평가결과, 허리부위, 소매통, 치마 주름에 대한 수정이 요구되어 허리 2.0cm, 소매통 1.0cm를 줄여 주고 앞중심과 옆선 부위 주름을 제거하여 최종 패턴은 높은 평가를 받았다. 1차, 2차, 3차 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향후 연구에서는 소재와 연령에 따른 철릭 원피스 원형 연구와 실제 제작된 의복의 착의실험을 통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휴대용 포도자동결속기 개발연구 (Development of the paper bagging machine for grapes)

  • 박광호;이영철;문병우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11권1호
    • /
    • pp.79-94
    • /
    • 2009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식용포도 재배농가의 보호봉지 결속작업이 주로 고령의 부녀자에 의존하고 있어 향후 이들 노동력을 대체하기 위하여 기계적인 포도보호봉지 결속장치를 개발하여 생산비를 절감하고자 얻어진 결과 는 다음과 같다. 1. 포도 보호봉지 및 포장봉지 결속기 개발 가. 자동결속기 설계는 CATIA V12/AUTOCAD 2000으로 하였다. 나. 자동결속기는 포도보호봉지를 기계적으로 묶어주는 장치로 소형, 경량이어야 하며 작업 시간, 노동량을 줄어 젊은층에서부터 고령자까지 작업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다. 자동결속기의 총 무게는 350g이하 초경량으로 제작될 수 있도록 하였다. 라. 결속성공률은 99%이상이 되도록 하였다. 마. 자동결속기의 결속롤과 커터, 배터리, 모터 등의 구조를 스테플러와 같은 가트리지형태로 개발하였다. 바. 카트리지 핀은 C-ring 28mm형으로써 길이는 500mm정도로 포도보호봉지 및 제과·제빵포장봉지를 결속할 수 있도록 제작하였다. 사. 작업시 포도나무 포도넝쿨 등 장애물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디자인을 설계, 제작하였다. 2. 포도보호봉지 결속작업시스템 포장실증시험 가. 자동결속기 시작기를 이용한 포도 보호 봉지결속으로 시기별 과병장, 과식품질이 무처리에 비하여 현저히 높았다. 나. 포도보호봉지 결속작업은 숙련자의 경우 1일 3,000개내외 씌우는 반면 초보자는 1,200개(37%)정도로 크게 떨어졌다. 다. 포도 보호봉지 자동결속기를 이용한 작업효율성은 102%로써 숙련자의 노동력을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 1단계 : 232.5%(앞치마에서 보호봉지를 꺼내어 포도에 씌움) ∘ 2단계 : 60.7%(씌운 보호봉지 주름을 잡음) ∘ 3단계 : 104.7%(주름이 잡힌 상태에서 결속) ∘ 4단계 : 102% 라. 포도 보호봉지 결속부위의 둘레(크기)를 조사한 바 관행보호봉지결속작업(수작업)에서는 손으로 철사핀을 감기 때문에 평균 4.6cm이었으며 자동결속기의 결속롤(핀)은 5.3cm가 되어 다소 줄이는 것이 정밀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마. 수확시 과실 품질(과중, 과방크기-과장, 과폭, 가용성고형물, 산함량)을 조사한 결과 처리한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다. 바. 자동결속기를 이용한 포도보호봉지 결속작업처리에서 포도의 열과(터진포도)와 이병율 차이에는 관행방법과 차이가 없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