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앙상블 기계학습

Search Result 78, Processing Time 0.03 seconds

Ensemble Composition Methods for Binary Classification of Imbalanced Data (불균형 데이터의 이진 분류를 위한 앙상블 구성 방법)

  • Yeong-Hun Kim;Ju-Hing Lee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3.05a
    • /
    • pp.689-691
    • /
    • 2023
  • 불균형 데이터의 분류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앙상블 구성 방법에 관하여 연구한다. 앙상블의 성능은 앙상블을 구성한 기계학습 모델 간의 상호 다양성에 큰 영향을 받는다. 기존 방법에서는 앙상블에 속할 모델 간의 상호 다양성을 높이기 위해 Feature Engineering 을 사용하여 다양한 모델을 만들어 사용하였다. 그럼에도 생성된 모델 가운데 유사한 모델들이 존재하며 이는 상호 다양성을 낮추고 앙상블 성능을 저하시키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불균형 데이터의 경우에는 유사 모델 판별을 위한 기존 다양성 지표가 다수 클래스에 편향된 수치를 산출하기 때문에 적합하지 않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 다양성 지표를 개선하고 가지치기 방안을 결합하여 유사 모델을 판별하고 상호 다양성이 높은 후보 모델들을 앙상블에 포함시키는 방법을 제안한다. 실험 결과로써 제안한 방법으로 구성된 앙상블이 불균형이 심한 데이터의 분류 성능을 향상시킴을 확인하였다.

Performance comparison on vocal cords disordered voice discrimination via machine learning methods (기계학습에 의한 후두 장애음성 식별기의 성능 비교)

  • Cheolwoo Jo;Soo-Geun Wang;Ickhwan Kwon
    •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 /
    • v.14 no.4
    • /
    • pp.35-43
    • /
    • 2022
  • This paper studies how to improve the identification rate of laryngeal disability speech data by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CNN) and machine learning ensemble learning methods. In general, the number of laryngeal dysfunction speech data is small, so even if identifiers are constructed by statistical methods, the phenomenon caused by overfitting depending on the training method can lead to a decrease the identification rate when exposed to external data. In this work, we try to combine results derived from CNN models and machine learning models with various accuracy in a multi-voting manner to ensure improved classification efficiency compared to the original trained models. The Pusan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PNUH) dataset was used to train and validate algorithms. The dataset contains normal voice and voice data of benign and malignant tumors. In the experiment, an attempt was made to distinguish between normal and benign tumors and malignant tumors.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the random forest method was found to be the best ensemble method and showed an identification rate of 85%.

Development of a High-Performance Concrete Compressive-Strength Prediction Model Using an Ensemble Machine-Learning Method Based on Bagging and Stacking (배깅 및 스태킹 기반 앙상블 기계학습법을 이용한 고성능 콘크리트 압축강도 예측모델 개발)

  • Yun-Ji Kwak;Chaeyeon Go;Shinyoung Kwag;Seunghyun Eem
    • Journal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of Korea
    • /
    • v.36 no.1
    • /
    • pp.9-18
    • /
    • 2023
  • Predicting the compressive strength of high-performance concrete (HPC) is challenging because of the use of additional cementitious materials; thus, the development of improved predictive models is essential.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HPC compressive-strength prediction model using an ensemble machine-learning method of combined bagging and stacking techniques. The result is a new ensemble technique that integrates the existing ensemble methods of bagging and stacking to solve the problems of a single machine-learning model and improve the prediction performance of the model. The nonlinear regression, support vector machine, artificial neural network, and Gaussian process regression approaches were used as single machine-learning methods and bagging and stacking techniques as ensemble machine-learning methods. As a result, the model of the proposed method showed improved accuracy results compared with single machine-learning models, an individual bagging technique model, and a stacking technique model. This was confirmed through a comparison of four representative performance indicators, verifying the effectiveness of the method.

SVM Ensemble Techniques for Class Imbalance Problem (데이터 불균형 문제에서의 SVM 앙상블 기법의 적용)

  • 강필성;이형주;조성준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4.10b
    • /
    • pp.706-708
    • /
    • 2004
  • 대부분의 기계학습 알고리즘은 학습 데이터에서 각각의 범주간의 비율이 동일하거나 비슷하다는 가정 하에 문제를 풀게 된다. 그러나 실제 문제에서는 그 비율이 동일하지 않으며 매우 큰 차이를 보이기도 하는데, 이는 분류 성능을 저하시키는 요인이기도 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데이터의 불균형 문제를 해소하는 방안으로 SVM 앙상블 기법을 적용한 샘플링을 제안하고 이를 실제 불균형 데이터에 적용함으로써 제안된 방법이 기존의 방법들에 비해 향상된 성능을 나타내는 것을 보였다.

  • PDF

Effect of Application of Ensemble Method on Machine Learning with Insufficient Training Set in Developing Automated English Essay Scoring System (영작문 자동채점 시스템 개발에서 학습데이터 부족 문제 해결을 위한 앙상블 기법 적용의 효과)

  • Lee, Gyoung Ho;Lee, Kong Joo
    • Journal of KIISE
    • /
    • v.42 no.9
    • /
    • pp.1124-1132
    • /
    • 2015
  • In order to train a supervised machine learning algorithm, it is necessary to have non-biased labels and a sufficient amount of training data. However, it is difficult to collect the required non-biased labels and a sufficient amount of training data to develop an automatic English Composition scoring system. In addition, an English writing assessment is carried out using a multi-faceted evaluation of the overall level of the answer.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choose an appropriate machine learning algorithm for such work. In this paper, we show that it is possible to alleviate these problems through ensemble learning.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indicate that the ensemble technique exhibited an overall performance that was better than that of other algorithms.

Automatic Multi-layer Stacking Ensemble Generation Technique for Predicting Diabetes Mellitus Incidence (당뇨병 발생 예측을 위한 다층 스태킹 앙상블 모델 구축 기법)

  • Ayeong Seong;Sohyun Yun;Suyeon Kang;Gun-Woo Kim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3.11a
    • /
    • pp.426-427
    • /
    • 2023
  • 최근 현대인의 식습관 및 고령화로 인해 당뇨병 환자의 수가 연간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현재는 아직 당뇨병이 발생하지 않았더라도 미래에 발생할 가능성 예측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기존의 당뇨병 발생 여부 진단 연구는 회귀 분석과 같은 단일 모델을 사용하여 수행된다. 그러나 당뇨병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은 복잡하게 얽혀있어 단일 모델만으로는 패턴을 충분히 학습하기 어렵다. 본 논문에서는 데이터에 적합하게 자동으로 다층 스태킹 앙상블 모델을 구성하는 알고리즘을 이용한 다층 스태킹 앙상블 모델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방법은 성능이 높은 모델들을 기준으로 층을 쌓으며 모델을 구성하며 실험 결과 다른 자동 기계학습 라이브러리와 비교해 F1 score 기준으로 최대 12.89%p의 성능 향상을 보였다.

Developing an Ensemble Classifier for Bankruptcy Prediction (부도 예측을 위한 앙상블 분류기 개발)

  • Min, Sung-Hwan
    • Journal of Korea Society of Industrial Information Systems
    • /
    • v.17 no.7
    • /
    • pp.139-148
    • /
    • 2012
  • An ensemble of classifiers is to employ a set of individually trained classifiers and combine their predictions. It has been found that in most cases the ensembles produce more accurate predictions than the base classifiers. Combining outputs from multiple classifiers, known as ensemble learning, is one of the standard and most important techniques for improving classification accuracy in machine learning. An ensemble of classifiers is efficient only if the individual classifiers make decisions as diverse as possible. Bagging is the most popular method of ensemble learning to generate a diverse set of classifiers. Diversity in bagging is obtained by using different training sets. The different training data subsets are randomly drawn with replacement from the entire training dataset. The random subspace method is an ensemble construction technique using different attribute subsets. In the random subspace, the training dataset is also modified as in bagging. However, this modification is performed in the feature space. Bagging and random subspace are quite well known and popular ensemble algorithms. However, few studies have dealt with the integration of bagging and random subspace using SVM Classifiers, though there is a great potential for useful applications in this area. The focus of this paper is to propose methods for improving SVM performance using hybrid ensemble strategy for bankruptcy prediction. This paper applies the proposed ensemble model to the bankruptcy prediction problem using a real data set from Korean companies.

Tor Network Website Fingerprinting Using Statistical-Based Feature and Ensemble Learning of Traffic Data (트래픽 데이터의 통계적 기반 특징과 앙상블 학습을 이용한 토르 네트워크 웹사이트 핑거프린팅)

  • Kim, Junho;Kim, Wongyum;Hwang, Doosung
    • KIPS Transactions on Software and Data Engineering
    • /
    • v.9 no.6
    • /
    • pp.187-194
    • /
    • 2020
  • This paper proposes a website fingerprinting method using ensemble learning over a Tor network that guarantees client anonymity and personal information. We construct a training problem for website fingerprinting from the traffic packets collected in the Tor network, and compare the performance of the website fingerprinting system using tree-based ensemble models. A training feature vector is prepared from the general information, burst, cell sequence length, and cell order that are extracted from the traffic sequence, and the features of each website are represented with a fixed length. For experimental evaluation, we define four learning problems (Wang14, BW, CWT, CWH) according to the use of website fingerprinting, and compare the performance with the support vector machine model using CUMUL feature vectors. In the experimental evaluation, the proposed statistical-based training feature representation is superior to the CUMUL feature representation except for the BW case.

A Bulge Detection Model in Cultural Asset images using Ensemble of Deep Features (심층 특징들의 앙상블을 사용한 목조 문화재 영상에서의 배부름 감지 모델)

  • Kang, Jaeyong;Kim, Inki;Lim, Hyunseok;Gwak, Jeong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1.07a
    • /
    • pp.129-131
    • /
    • 2021
  • 본 논문에서는 심층 특징 앙상블을 사용하여 목조 문화재의 변위 현상 중 하나인 배부름 현상을 감지할 수 있는 모델을 제안한다. 우선 총 4개의 서로 다른 사전 학습된 합성 곱 신경망을 사용하여 입력 영상에 대한 심층 특징들을 추출한다. 그 이후 4개의 서로 다른 심층 특징들을 결합하여 하나의 특징 벡터를 생성한다. 그 이후 합쳐진 특징 벡터는 완전 연결 계층의 입력 값으로 들어와서 최종적으로 변위가 존재하는지 아닌지에 대한 예측을 수행하게 된다. 데이터 셋으로는 충주시 근처의 문화재에 방문해서 수집한 목조 문화재 이미지를 가지고 정상 및 비정상으로 구분한 데이터 셋을 사용하였다. 실험 결과 심층 특징 앙상블 기법을 사용한 모델이 앙상블 기법을 사용하지 않은 모델보다 더 좋은 성능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로 부터 우리가 제안한 방법이 목재 문화재의 배부름 현상에 대한 변위 검출에 있어서 매우 적합함을 보여준다.

  • PDF

An Ensemble Deep Learning Model for Measuring Displacement in Cultural Asset images (목조 문화재 영상에서의 변위량 측정을 위한 앙상블 딥러닝 모델)

  • Kang, Jaeyong;Kim, Inki;Lim, Hyunseok;Gwak, Jeong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1.07a
    • /
    • pp.141-143
    • /
    • 2021
  • 본 논문에서는 목조 문화재의 변위량을 감지할 수 있는 앙상블 딥러닝 모델 모델을 제안한다. 우선 총 2개의 서로 다른 사전 학습된 합성 곱 신경망을 사용하여 입력 영상에 대한 심층 특징들을 추출한다. 그 이후 2개의 서로 다른 심층 특징들을 결합하여 하나의 특징 벡터를 생성한다. 그 이후 합쳐진 특징 벡터는 완전 연결 계층의 입력 값으로 들어와서 최종적으로 변위의 심각 단계에 대한 예측을 수행하게 된다. 데이터 셋으로는 충주시 근처의 문화재에 방문해서 수집한 목조 문화재 이미지를 가지고 정상 및 비정상으로 구분한 데이터 셋을 사용하였다. 실험 결과 앙상블 딥러닝 기법을 사용한 모델이 앙상블 기법을 사용하지 않는 모델보다 더 좋은 성능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우리가 제안한 방법이 목재 문화재의 변위량 예측에 있어서 매우 적합함을 보여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