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압출작업

Search Result 24,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중회귀분석을 이용한 플라스틱 압출공정의 작업조건 설정

  • 김태호;김석중;강경식
    • Proceedings of the Korean Operations and Management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5.04a
    • /
    • pp.349-356
    • /
    • 1995
  • 플라스틱 압출제품의 품질특성은 제품의 강도인데 제품의 강도는 일반중소기업체에서 별도의 측정기구를 갖추고 관리하기가 어려우므로 대용특성으로 제품이 중량을 사용하고 있다. 제품의 중량은 실린더의 온도와 금형의 온도 및 압출속도에 영향을 받는데 일반적으로 현장작업자의 경험과 감에 의존하여 상황에 따라 작업조건을 변화시켜 관리하고 있다. 그런데 작업조건을 관리하는 곳이 실린더에 5군데, 금형에 3군데 및 압출속도 등 아홉가지로 어느 인자가 전체 작업에 영향을 미치는 지 알수 없다. 이때 중회귀(Multiple Linear Regression)모델을 이용하여 실린더와 금형의 온도를 독립변수(Independent Variable)라 두고 제품의 중량을 종속변수(Dependent Variable)로 하여 최근 3개월간의 작업데이타를 수집하여 품질관리 전용 프로그램인 JUSE-QCAS를 사용하면 회귀선의 모수를 쉽게 추정할 수 있으며 제품의 중량에 영향을 미치는 실린더 및 금형의 온도를 관리 할 수 있어 품질을 안정적을 유지.관리할 수 있다.

  • PDF

Extursion of viscoplastic material (점소성재료의 압출)

  • Oh, Hung-Kuk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 /
    • v.5 no.2
    • /
    • pp.77-81
    • /
    • 1981
  • 1200.deg.C-1300.deg.C 의 열간 단조작업에서의 강철은 스트레인 속도에 민감하고 그 기계적인 특성방정식은 .delta.=.delta.$_{0}$ .epsilon.$^{m}$ 이다. 이 연구는 열간압출시 필요고 하는 작용력을, 상계이론을 사용하여 해석하고 쟤료의 기계적 특성상수들을 대입하여, 계산한다. 이 결과를 실험치와 비교하고 압출각, 마찰계수, 스트레인 속도와 점성계수등의 일반적인 영향에 대해서도 토의하였다.특히 변형역내의 평균스트레인 속도에 의한 일정 항복용력을 사용하였을 경우에 대해서도 비교 검토되었다.

The Effects of a Launching Nose on Main Girder Erected by Incremental Launching Method (압출공법에 의한 가설시 추진코가 주형에 미치는 영향)

  • Oh, Kwi Hwan;Kim, Chul Young;Park, Young Suk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12 no.4
    • /
    • pp.1-10
    • /
    • 1992
  • Since the structural system of a prestressed concrete bridge erected by Incremental Launching Method is varying continuosly during construction, the main girder bears alternating stress resultants different from those under a service load condition. The magnitude of these stress resultants depends on span lengths, nose length and stiffness ratios between girder and nose. A parametric study is performed for various span lengths, nose lengths and stiffness ratios. In order to analyze structural systems varying at every launching step two programs are developed; a pre-processor which automatically produces a data file for each stage and a main-processor which can summarize the results of all stages. From the results, the relationships between optimum nose length and stiffness ratio are proposed for various span lengths.

  • PDF

ECO Characteristic of ATH - Filled XLPE Compound Composites (환경친화적 ATH - FILLED XLPE COMPOUND 특성 연구)

  • Jung, Young-Seub;Kim, Kyung-Yong;Han, Sien-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Conference
    • /
    • 2003.05e
    • /
    • pp.44-48
    • /
    • 2003
  • 할로겐 난연재료 및 고분자의 연소시 Dioxine의 문제점이 대두되고 있어 유럽국가를 중심으로 할로겐 난연제 사용을 규제하고 있다. 환경과 인체에 대한 안정성을 고려해서 저 유해 가스화, 저 발연화, 저 부식성, 리사이클링 등을 겸비한 제품의 개발로 관심이 모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환경친화적인 금속화합(수산화 알루미늄)을 사용하여 연소시 발생할 수 있는 난연성, 무독성, 소연성 등을 함량별로 확인하고 난연재가 증가할수록 취약한 기계적 물성 보완을 위해 moisture cure crosslikable 기술로 케이블절연 및 자켓 피복층 특성을 증가 시켰다. 그러나 수산화알루미늄 함량이 증가할수록 기계적 물성과 기타 특성도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어 최적의 난연제 조성함량이 약 130~150 phr정도에서 우수한 결과를 확인하였다. 또한 moisture cure agent는 전선압출 시 표면에 scorch 및 장기 압출에 영향을 주므로 약 1.5~2phr 범위에서 처방하는 것이 우수하다. 원료투입 후 mixing 공정 중에서는 온도관리가 매우 중요하므로 되도록 믹싱 온도를 $130^{\circ}C$ 이하를 유지해야한다. 온도는 수산화알루미늄의 분산성과 케이블 피복압출 시 표면에도 영향을 주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이런 작업방법을 통해 친환경 가교 난연콤파운드가 비(比) 가교된 제품에 비해 특성이 증가되는 것을 입증할 수 있었다.

  • PDF

Research and Teaching in Food and Bio-process Engineering to Meet the 21st Century (21세기를 맞이하는 식품.생물공정공학의 연구 및 교육 방향)

  • 금동혁;조용진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v.22 no.3
    • /
    • pp.371-378
    • /
    • 1997
  • 과학기술의 패러다임은 생명체가 진화하듯 변신한다. 지난 시간을 돌이켜보아 오늘의 모습과 비교해 보면 변화의 폭을 실감할 수 있다. Samuel C. Prescott 박사(Singh, 1997)에 의해 표현된 식품공학(food engineering)이란 용어가 소개된 시기는 1939년경이었다. 초기 식품공학은 농공학에서 농산물의 수확후 작업과 관련하여 식품제조와 식품가공장치에 관한 내용이 주로 다루어졌으며, 이 시기의 특징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저서의 예가 Milton E. Parker가 1952년에 저술한 "Elements of Food Engineering"이다. 1950년대와 1960년대에는 화공학의 단위 조작이 도입되어 현재까지 식품공학의 주요 기법으로사용되고 있는바, 건조, 살균, 냉동, 압출 둥의 공정에서 현저한 성과를 보였다(Karel, 1997).(중략)

  • PDF

Fabrication of SiCp/Al Alloy Composites by In-situ Vacuum Hot Press Process (In-situ Vacuum Hot Press 공정을 이용한 SiCp/Al 복합재료의 제조)

  • Choe, Se-Won;Hong, Seong-Gil;Kim, Yeong-Man;Jang, Si-Yeong;Gang, Chang-Seok
    • Korean Journal of Materials Research
    • /
    • v.11 no.7
    • /
    • pp.590-598
    • /
    • 2001
  • SiCp/pure Al and SiCp/2024Al MMCs were fabricated by in-situ VHP process designed specially just in this study which is composed of the vacuum hot press at range from R.T. to $500^{\circ}C$ and the continuous extrusion without canning process at $520^{\circ}C$. It was investigated the effect of SiC particle size, volume fraction and extrusion ratio on the tensile properties and micro structure in auf composites. In case of the 10:1 extrusion ratio, but SiCp/pure Al and SiCp/2024Al composites were shown a sound appearance and a good micro structure without crack of SiCp as well as uniform distribution of SiCp. However, in case of the 16:1 extrusion ratio, the number of cracked SiC particles more than increased in a higher volume fraction composite and 2024Al matrix composite compared with pure Al matrix one. The tensile strength of the composites reinforced smaller SiCp was higher than that of the bigger SiCp reinforced in same volume fraction and extrusion ratio.

  • PDF

A Research on Lengthening the Life of Warm Forging Die (온간단조금형의 수명연장에 관한 연구)

  • Kim, Sei-Hwan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1 no.1
    • /
    • pp.49-54
    • /
    • 2010
  • Rotor pole for AC(alternating current) generator is manufactured through transfer warm forging die. As soon as the material is heated at the warm manufacturing process, it is transferred to the first stage for upsetting work and then to the second stage for lateral extrusion work. The processes at the lateral extrusion work such as die block, die bushing, center punch, and side punch make severe condition and abrasion which leads to shorten the die life. This causes production decrease, long maintenance time, and low level of precision. Research on the die material selection, heat process cycle improvement, electric discharge machining trouble solution, and re-construction of main parts is expected to find a method to lengthen the die life up to 40 - 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