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압축압력

Search Result 919,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초고압 가공처리의 가열 효과

  • Hong, Seok-In
    • Bulletin of Food Technology
    • /
    • v.15 no.2
    • /
    • pp.107-111
    • /
    • 2002
  • 초고압 가공처리는 별동의 화학 보존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저온에서 식품유래 미생물을 사멸시킬 수 있기 때문에 식품분야에서 주목받는 새로운 가공기술이다. 이러한 초고압 처리의 장점 덕분에 관능적 특성이 우수하고 영양성분이 그대로 보존되는 고품질 식품의 제조도 가능하다. 고압 조건에서의 미생물 사멸정도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흔히 실험실 규모의 장비(그림 1)을 사용하여 소량의 미생물 접종액을 처리함으로서 대량 처리시(그림 2)의 양상을 예측할 수 있다. 초기에 개발된 실험실 귬의 초고압 처리장비에는 일반적으로 고압용기 내부에 온도감지 장치가 부착되어 있지 않아, 압력 조건 하에서의 압축발열 및 순간 감압냉각 효과가 제대로 보고되지 않았다. 그러나 가열효과를 고려하지 않으면 초고압 처리기 특유의 가압 특성 대문에 실험 결과의 재현성을 얻기가 힘들고, 특히 대용량 생산설비의 경우 더욱 그러하다. 이론적으로 초고압 처리는 매우 예측 가능한 공정이다. 즉 고압요기 내부에서는 어느 지점이던 간에 압력이 고르게 분포되고, 가열 확산에 근거한 처리공정과는 달리 압력이 모든 지점에 순간적으로 공정상 불균일이 야기될 소지가 있는 부분은 오직 압축에 다른 발열과 열 전달에 의한 온도 편차에 기인한다. 실제로 처리 대상 제품과 압력 전달매체의 압축시 발열정도 차이와 시료, 매체, 고압용기 간의 열 손실 또는 열 흡수 대문에 고압처리 공정에서 온도가 일정하지 않을 수 있다.

  • PDF

Analysis of Correlation Between Pressure and Torque for Compressor of System Air-Conditioner Application (시스템 에어컨용 압축기의 압력과 토크의 상관 관계 해석)

  • Kim, Hyun-Jae;Lee, Seung-Ho;Kim, Jong-Soo;Lee, Byoung-Kuk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8.10c
    • /
    • pp.234-236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토크가 불일정한 에어컨 압축기 구동용 매입형 영구자석 동기전동기 (IPMSM)의 최적 구동을 위해서 압축기의 토크를 추정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압축기의 구조적 특성으로 인해 알아내기 어려운 토크 정보를 상대적으로 알아내기 쉬운 압력정보로 부터 구할 수 있는 압력-토크 상관관계를 이론적으로 분석 한다.

  • PDF

Experimental Study of the Internal/external Pressure Variation of TTX Travelling through a Tunnel (한국형 틸팅차량의 터널 주행시 실내/외 압력변화에 대한 실험적 연구)

  • Yun, Su-Hwan;Kwak, Min-Ho;Lee, Dong-Ho;Kwon, Hyeok-Bin;Ko, Tae-Hwa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
    • /
    • v.12 no.2
    • /
    • pp.309-314
    • /
    • 2009
  • When a train enters into a tunnel, a compression wave is generated by a front nose and a expansion wave is generated by a rear tail respectively. The interaction between pressure waves and the train makes the internal and external pressure of the train change dramatically. In this paper, we had measured the internal and external pressure variations of TTX and analyzed the pressure variations as the tunnel length. Also, the rate of internal pressure variations were investigated with the current airtight condition of TTX. In short tunnels, the internal and external pressure variation were not large because the superposition of pressure waves was not happened. In long tunnels, however, the rapid and large pressure variations were shown because of the superpositions between the same sort of pressure waves, such as expansion wave and expansion wave or compression wave and compression wave. In specific length tunnels, the pressure variation and the pressure variation rates were largely lessened because the compression wave and expansion wave were superposed.

Study on the vibration control acaused by unbalance force for a W-type air compressor (W형 공기압축기의 불평형진동 저감에 관한 연구)

  • Kim, Yeong-Ju
    • 연구논문집
    • /
    • s.28
    • /
    • pp.145-159
    • /
    • 1998
  • 선박이나 산업플랜트에 이용되고 있는 압축공기의 압력이 증가되고 압축기의 경량화 내지는 설치면적을 축소하기 위하여 3단압축을 하므로서 토출압력을 30기압 이상으로 증가할 수가 있다. 그러나 크랭크기구를 갖고있는 공기압축기의 실린더 배열이 복잡하고 고속운전으로 인하여 크랭크축에 연결된 왕복질량과 회전질량에 의한 불평형력이 저감되도록 왕복질량의 적절한 배치와 중량감소를 위해 주철재 피스톤 재질을 알미늄합금으로 교체하고 적절한 평형추 설치와 방진고무의 선택을 검토해야한다. 본 연구에서는 3개의 실린더가 60도 간격으로 배치되는 W형 공기압축기의 진동상태를 측정하고 이를 분석하여 진동저감을 위한 대책으로 평형추 계산이론을 도출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검토대상 공기압축기의 사양은 표1에 보이는 바와 같다.

  • PDF

Finite Element Analysis of Contact Pressure Behavior in Compression Ring-Oil Film (압축링-유막간의 접촉압력 거동에 관한 유한요소해석)

  • 김한구;김청균;한동철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Tribologists and Lubrication Engineers Conference
    • /
    • 1995.06b
    • /
    • pp.48-53
    • /
    • 1995
  • 본 연구에서는 윤활유막의 접촉압력 거동문제를 다른 각도에서 유한요소기법으로 해석하고자 한다. 즉, 혼합기가 폭발하게 되면 피스톤과 실린더 사이의 윤활유막이 순간적으로 초고압을 받아서 윤활유막은 밀폐된 공간에서 마치 폴리머처럼 거동할 것이라고 가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현상은 극히 짧은 시간에 국부적으로 일어날 것으로 예상되며, 이러한 작동조건에서 피스톤 링의 접촉면 형상에 따른 피스톤 압축링-윤활유막 사이의 접촉압력 거동문제를 미시적일 측면에서 유한요소기법으로 피스톤의 동적문제를 해석하고자 한다.

  • PDF

Direct Simulation of Compression and Pumping Characteristics for a Gaede-Type Drag Pump (분자드래그펌프의 압축 밀 배기특성 해석)

  • 이영규;이진원
    • Journal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 /
    • v.4 no.4
    • /
    • pp.343-349
    • /
    • 1995
  • 게데형 분자드래그펌프의 배기특성을 강구(hard sphere)분자모델과 NTC(No Time Counter)충돌 scheme을 이용한 직접모사 법의 하나인 DSMC(direct simulation Monte Carlo)방법을 이용하여 해석하였다. 해석에 사용된 모델은 높이가 일정하고, 길이가 높이의 1~3000배 사이인 이차원 채널이다. 자유분자영역으로부터 연속체 영역까지의 영역에서 최대압축비와 배기속도를 계산하였다. 계산결과 기존의 최대압축비 이론 결과는 채널내의 압력변화가 클 때는 큰 오차를 유발하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유동방향의 기체분자의 통과확률은 채널 길이와 출구압력에 관계없이 거의 일정한 값을 갖는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 PDF

KS 규격 안에 따른 터보분자펌프의 성능시험

  • 박미영;인상렬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1999.07a
    • /
    • pp.46-46
    • /
    • 1999
  • 터보분자펌프(turbomolecular pump, TMP)는 각종 연구장비, 반도체 제조장치, 가속기, 핵융합 실험 장치 등 여러 분야에서 가장 널리 쓰이는 고진공 펌프로서 자리잡고 있다. 이런 TMP의 광범위한 사용에도 불구하고 성능평가에 관한 통일된 규격이 마련되어 있지 않다. 국제 규격협회(ISO)의 터보분자펌프 성능평가방법 시안을 토대로 제정중인 KS 규격은 아직 실험적인 근거를 자체적으로 가지고 있지 못하므로 앞으로 각 항목들에 대한 많은 실험이 수행되어야 한다. TMP의 성능을 나타내 주는 항목들 중 배기속도(pumping speed)와 압축비(compression ratio)는 가장 중요한 것들로서 다른 고진공 펌프 및 TMP 상호간의 성능을 비교할 수 있는 기본 항목이라 할 수 있다. 본 실험에서는 종래의 단순 TMP와 큰 기체유량에서도 안정된 배기속도를 유지하는 복합터보분자펌프(compound molecular pump, CMP)의 배기속도와 압축비 및 임계배압(critical backing pressure)을 KS 규격안대로 시험 평가하여 안의 평가방법과 기준의 타당성을 검토하고, 두 가지 다른 방식의 펌프에 적용할 수 있는지를 검토하였다. TMP 및 CMP 흡기구에 표준용기를 부착하고 수소 및 질소 기체를 사용하여 흡기구 압력을 변화시키면서 배기속도 및 압축비를 측정하고 배기구 압력을 변호시키면서 최대압축비 및 임계배압을 측정하였다. 흡기구의 압력측정에는 인출형 전리진공계(EG)를 사용하였고, 배기구의 압력측정은 전기용량의 격막진공계(CDG)와 피라니 진공계로 측정하였다. 진공계는 모두 회전식 점성진공계(SRG)로 교정한 후 사용하였다.

  • PDF

Numerical Analysis of Incompressible and Compressible Flow Around a Butterfly Valve (버터플라이 벨브 주위의 비압축성 및 압축성유동 특성에 대한 수치해석)

  • 이종욱;이두환;최윤호
    • Journal of Energy Engineering
    • /
    • v.11 no.1
    • /
    • pp.26-33
    • /
    • 2002
  • In this paper, incompressible and compressible flow characteristics around the butterfly valve have been investigated. In order to simplify the problem, a flat disk valve with various valve disk angles and pressure ratios is considered in the present calculations. It was found that as the disk angle increases, the stagnation point on the front surface of the disk moves to the center of the surface and the inflow velocity decreases. The maximum flow velocity occurs at the downstream of throat because of the formation of vents contracta. As the pressure ratio decreases, compressibility effects increase and the jet formed between the throttle body wall and the disk edge becomes supersonic. This flow also builds up as a shock cell structure. The increase of disk angle and pressure ratio makes the mass flow at the inlet decrease, while the increase of disk angle and the decrease of pressure ratio make the pressure loss coefficient increase.

냉장고용 소형 압축기의 실린더 내의 상태변화

  • 김성태;민태식
    • Journal of the KSME
    • /
    • v.25 no.2
    • /
    • pp.106-110
    • /
    • 1985
  • 압축기의 체적효율, 압축효율에 관련된 부분에 대해서만 검토를 하였으며, 이는 주로 실린더 내 외의 냉해의 압력, 온도 등의 변화과정과 관련이 있다. 압축기의 모델로는 그림 1과 같은 스카 치-요크(Scotch-Yoke)형의 소형 완전 밀폐형 왕복식 압축기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냉매는 R-1 2를 사용하였다.

  • PDF

Control of the Base Pressure of the Supersonic Jet Using an Orifice (오리피스를 사용한 초음속 제트에서의 기저 압력 제어에 관한 연구)

  • Lee, Jong-Sung;Kim, Heuy-Do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 /
    • v.16 no.2
    • /
    • pp.51-57
    • /
    • 2012
  • Base pressure at the base of high-speed jet has long been one of the important issues from both the view points of fluid dynamics as well as practical engineering applications. The base pressure characteristics of incompressible flows have been well known to date. However, the base pressure at transonic or supersonic speeds would be different due to the compressibility effects and shock waves. In the present paper, a CFD study has been performed to understand the base pressure characteristics at transonic and supersonic speeds, prior to experimental work. An emphasis is placed on the control of the base pressure using a simple orifice. A variety of supersonic jet plumes have been explored to investigate the flow variables influencing the base pressure. The results obtained were validated with existing experimental data and discussed in terms of the base pressure and discharge coefficient of the orif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