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압력고도

Search Result 162,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다목적실용위성 추진시스템의 추진제 소모율 분석

  • 김정수;한조영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Conference
    • /
    • 2000.11a
    • /
    • pp.8-8
    • /
    • 2000
  • 하이드라진 단기액체엔진을 장착하고 궤도에서 임무를 수행하고 있는 다목적실용 위성 추진시스템 궤도비행 초기운용 자료에 근거하여 추진제 소모율을 산정 한다. 추진시스템은 위성의 궤도각과 비행고도 조정을 위한 속도증분($\Delta$V) 및 자세제어를 위한 추력을 발생시킨다. 단기액체 추진시스템에서 추진제 소모량은 추력기 밸브의 개폐시간에 비례하고 추력 생성 효율은 추진제의 연소기 유입압력에 종속한다. 일정질량의 가압 기체 압력에 의해 연료를 공급하는 추진시스템에서 잔류 추진제 량의 감소는 연소기 유입압력의 감소를 유발하고 추진기관의 효율을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여 임무말기로 진행함에 따라 동일한 운동량 생성에 보다 많은 연료소모가 이루어진다.(중략)

  • PDF

강제순환상실시 CANDU-6 주열수송계통의 압력천이상태 해석

  • 김영보;한상구;김선철;정종식;주경인
    • Proceedings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Conference
    • /
    • 1996.05b
    • /
    • pp.160-165
    • /
    • 1996
  • 중수로형 원전에서 일차측 냉각수를 순환시키는 주연수송펌프가 정상운전중 갑자기 정지하는 사고를 강제순환 상실사고라 한다. 강제순환 상실사고는 주열수송계통을 과도압력상태로 만들며, 일반적으로 펌프에 공급되는 IV등급전원 상실사고와 기계적 손상에 의한 주열수송펌프 고착사고로 분류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강제순환 상실사고에 대하여 중수로계통설계의 열수력 해석코드인 SOPHT를 이용하여 주열수송계통의 과도압력상태를 해석하였다. 카나다 원자력 규제위원회(AECB)의 과압 방지조건인 R-77 요구조건에 적절한 유효트립변수를 결정하기 위한 해석이 수행되었으며, 증기발생기 오염상태와 액체방출밸브 작동여부가 고도압력상태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여 보수적 조건을 제시하였다. 또한 위와같이 결정된 보수적 조건을 근거로 ASME 코드에 명시된 과압 한계치에 대한 만족여부와 과도압력상태에 따른 주열수송계통의 열수력학적 거동을 고찰하여 보았다. 해석결과, 강제순환상실사고시 주열수송계통은 R-77 요구조건에 적합한 원자로트립변수에 따라 안정화되었으며, 계통의 최대압력은 ASME 코드가 규정한 한계치내에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Fundamental design consideration for optimum performance in altitude test cell facility (고공시험설비의 전체 사양을 결정하는 시험부를 중심으로 설비개발시의 주요 고려사항)

  • Choi, Kyoung-Ho;Lee, Jung-Hyung;Owino, George;Lee, Dae-S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Conference
    • /
    • 2008.11a
    • /
    • pp.411-415
    • /
    • 2008
  • This paper presents on design factor considered in an altitude test cell facility to determine the best sizing to optimize exhaust diffuser pressure recovery and the exact cooling load required to be supplied under transient operation. Engine simulation was performed to analyse the exhaust gas temperature, exit mass flow rate, specific fuel consumption and exhaust velocity helpful in determining secondary mass air flow and the mixed air temperature entering the ejector. based on this, the amount of cooling load was deduced. It was found that improved pressure recovery reduces operational cost(air supply facility, cooling water).

  • PDF

Advanced Treatment for Reuse of Oil Refinery Process Wastewater using UF/RO Processes (UF/RO 공정을 이용한 정유공장 방류수의 재활용을 위한 고도처리)

  • 이광현
    • Membrane Journal
    • /
    • v.10 no.4
    • /
    • pp.220-229
    • /
    • 2000
  • Deionized water and wastewater flux were discussed using module set 1-7 composed of ultrafiltration hollow fiber type modules and reverse osmosis spiral wound type modules. The separation characteristics of ultrafiltration and reverse osmosis membranes were discussed with the variation of applied pressure and temperature. Turbidity and SS were removed effectively from ultrafiltration mem¬brane, and removal efficiency of COD, T-N, and TDS using reverse osmosis membrane was very efficient. Permeate flux increased linearly with the increase of applied pressures and temperature. It was shown that ultrafiltration and reverse osmosis membranes were suitable Lo the advanced treatment and reuse of oil refinery process effluent.

  • PDF

Numerical Simulation of Bullet Impact for Fuel Cell of Rotorcraft (회전익항공기용 연료셀 피탄 수치모사)

  • Kim, Hyun-Gi;Kim, Sung-Chan;Kim, Hwak-Bum;Choi, Yong-Hoon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2.05b
    • /
    • pp.649-652
    • /
    • 2012
  • 회전익항공기의 연료셀 내부는 연료보관 및 연료를 엔진으로 공급하기 위한 배관과 구성품들이 배치되어 있다. 특히, 기동헬기는 전장에서 사용되는 헬기로써, 수 km 고도에서 비행하는 고정익기보다 비행고도가 낮기 때문에 피탄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항공기의 생존성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피탄시 유체내부 상승압력에 의한 내부 LRU 가 받는 영향성을 검토하여 설계되어야 함은 주지의 사실이다. 그러나, 내탄시험은 연료셀 자체의 제작비용 및 준비기간이 상당히 소요되고, 실탄사용에 따른 시험수행의 제약 때문에 수치모사를 통한 관련 데이터의 확보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유체-구조 수치모사 프로그램인 Autodyn을 이용하여 회전익항공기 연료셀의 내탄 수치모사를 수행하여, 피탄 후 연료셀 내부에서의 탄 거동을 분석하고 유체내부의 압력과 연료 셀 자체의 등가응력을 평가하였다.

  • PDF

A Study on Performance Change of Solid Rocket Motor for Variation of Nozzle Ambient Pressure (노즐 외기 압력 변화에 따른 고체추진기관 성능 변화 연구)

  • Kwon, Tae-Hoon;Rho, Tae-Ho;Cho, In-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Conference
    • /
    • 2007.11a
    • /
    • pp.219-222
    • /
    • 2007
  • This research on 2nd stage solid rocket motor of KSLV-I for performance change was carried out. Solid rocket motor shall ignite on altitude of 300km. Solid Rocket Motor performed Static Firing Test and High Altitude Test for motor performance. A study made an analysis of specific impulse variation for nozzle ambient pressure.

  • PDF

하이브리드 모터를 적용한 초소형 공중발사체 설계

  • 권순탁;이창진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Conference
    • /
    • 2002.04a
    • /
    • pp.77-77
    • /
    • 2002
  • 초소형 공중발사체 설계 시 하이브리드 모터의 적용가능성에 대한 연구를 실시하였다. HTPB/LOX를 추진제로 하여 마차바퀴형 연료 그레인, 산화제 탱크 가압방식을 사용하였고, 성능특성을 계산하기 위하여 하이브리드 연료의 연소율이 일정하다고 가정 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임무는 중량 3.5kg의 나노위성을 근지점 고도 200km, 원지점 고도 1,500km의 타원궤도로 진입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로켓의 1단 부분에 관한 것으로 1단의 발사속도는 M=1.3, 발사고도는 12km, 연소종료 고도는 40km이다. 1단에 대한 페이로드 중량은 127.5kg이고, 속도증가분($\Delta$V)은 3,330m/s이다. 모선은 F-4E를 사용하였고 모선의 특성상 발사체의 총 중량이 1,000kg이하로 제한되고 길이와 직경이 5m${\times}$5m로 제한되나 1단에 대한 길이의 제한조건은 현재까지 명확히 정립되지 않은 상태이다. 설계과정에서의 변수는 연료 그레인 포트 개수, 초기 산화제 플럭스, 연소실 압력을 사용했고, 설계 제한조건은 추진제 중량, 평균 비추력, 평균 추력, 연소시간, 1단 길이, 직경, 연소시간이고, 이들의 범위는 모선의 특성과 초소형 공중발사체의 임무특성에 맞게 설정하였다.

  • PDF

Design Principals of High Altitude Environmental Test Chamber (고도모사 환경챔버 개념 설계)

  • Owino, George;Gong, Chang-Deok;Choe, Gyeo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Conference
    • /
    • 2009.11a
    • /
    • pp.403-406
    • /
    • 2009
  • This research is based on the altitude temperature, pressure and humidity, as defined by MIL-HDBK-310 standard and modifies this conditions to conform to the new standard MIL-STD-810F and test procedure given in AIAA-2466 from this fundamental guideline optimal design and sizing of test section, inlet, exhauster duct, temperature and humidity control was performed.

  • PDF

상하수도 오존 고도처리시스템의 기술동향

  • 대한전기협회
    • JOURNAL OF ELECTRICAL WORLD
    • /
    • s.254
    • /
    • pp.53-61
    • /
    • 1998
  • 오존은, 그 강력한 산화력에 의하여 살균, 탈취, 탈색과 유기물 제거 등의 효과를 복합적으로 얻을 수 있고 또한 신속하게 산소로 분해되어 잔류하지 않기 때문에 환경개선에 사용하기에 이상적인 물질이다. 미쓰비시전기에서는 이러한 오존의 이점에 착안하여 1970년부터 오존발생기와 오존처리설비의 개발, 제품화를 추진하여 왔다. 오존에 의한 고도처리가 널리 일반에게 인정되어 그 수요가 높아지고 있는 오늘날에 있어서도 보다 많은 오존설비의 보급을 위하여 오존기술의 개발에 힘쓰고있다. 본고에서는 상하수도 오존고도처리의 기술동향의 일부로 시도되고 있는 다음의 세 가지 내용을 소개한다. (1)오존처리시스템의 자에너지, 고효율화 기술 방전갭의 단축화, 관분내압력의 고압화로 고농도$\cdot$고효율의 오존발생을 실현하여 자전력화를 가능케 한 신형오조나이저를 개발 제품화하였다. (2)오존 반응조 내에서의 산기장치특성의 파악 모델화가 곤란한 신기장치에 대하여 실설비규모의 실험설비를 사용하여 그 산기특성을 분명히 하였다. (3)과산화수소첨가 오존처리법에 의한 하수처리수의 재생이용 과산화수소첨가 오존처리법에 의하여 장기간에 걸쳐 하수처리수를 전유기탄소(TOC)3mg/$\ell$이하로까지의 처리를 달성하여 하수처리수를 수도수레벨로까지 고도로 정화할 수 있음을 실증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