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압력각

Search Result 1,373, Processing Time 0.04 seconds

Determination of real-time monitoring places in water distribution system using unsteady analysis (상수관망에서 부정류 해석을 이용한 실시간 모니터링지점 선정)

  • Kwon, Hyuk-J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472-476
    • /
    • 2012
  • 부정류 해석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각 절점에서 갑작스런 유량의 변화가 일어났다고 가정하여 부정류 해석을 수행하였다. 각 절점에서 소요유량(demand)이 추가로 발생할 경우에 대해서 부정류 해석을 수행하였다. 추가 소요유량이 발생하였다는 것은 그 절점에서의 누수량으로 간주할 수 있으므로 실제 일어날 수 있는 누수에 대한 민감도 분석을 하여 센서의 설치지점을 선정한다면 보다 더 정확한 모니터링 지점선정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다음과 같은 두 가지 방법을 통하여 모니터링 최적지점 선정방법을 비교하였다. 첫 번째는 한 절점에서 갑작스런 소요유량의 변화가 발생하면 그로인해 부정류가 발생한다. 이때 각 절점에서의 압력변위와 유량변화가 발생한 절점의 압력비를 합하고 절점의 수로 평균하여 민감도 분석을 수행한다. 특정 절점에서 유량변화로 발생한 압력의 변화가 다른 절점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기여도를 부정류 해석결과를 이용하여 정량적으로 산정하는 방법이다. 특정 절점에서 유량의 변화가 생겼으므로 부정류해석 결과는 누수가 없을 때 최초 계산하였던 각 절점에서의 압력이 크게 유동하게 된다. 이때의 최고치와 최저치의 차는 압력변위이고 최초압력과의 비를 합산하고 절점의 수로 평균한 값을 비교하였다. 이렇게 계산된 값이 가장 큰 절점이 모니터링 지점으로 우선 선정된다. 두 번째 방법은 유량변화로 발생한 절점의 압력변위와 그 절점의 최초압력의 비를 산정하는 방법이며 부정류해석결과를 이용하였다. 한 절점에서 유량을 변화시키고 부정류로 인해 발생하는 압력변위와 최초압력의 비를 합산하고 절점수로 평균하여 민감도 분석을 수행한 것이다. 어느 절점의 압력변위와 최초압력의 비를 정량적으로 산정하여 민감도를 분석하고 비교하였다.

  • PDF

An Experimental Study on Flow Characteristics of Cavitation Venturi (캐비테이션 벤츄리의 유동 특성에 대한 실험적 연구)

  • Yoon, Wonjae;Ahn, Kyubok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 /
    • v.19 no.4
    • /
    • pp.1-7
    • /
    • 2015
  • A cavitation venturi is a device that allows a liquid flow rate to be fixed or locked independent of a downstream pressure and has been successfully used in a liquid rocket engine system which requires a stable propellant flow rate. In the present research, four cavitation venturis which have same dimensions except for converging inlet angle and diverging outlet angle, were designed and manufactured. Flow rates through each venturi and upstream/downstream pressures were measured by changing the pressures. From the experimental data, the discharge coefficients and critical pressure ratios were calculated for each venturi. It was found that the inlet and outlet angles of the cavitation venturi affected the discharge coefficient, and the outlet angle influenced on the critical pressure ratio.

Surface Pressure Measurement on a Rotor Blade using Fast-Responding PSP (고속압력감응페인트를 이용한 로터 블레이드 표면 압력 측정)

  • Kim, Kidong;Kwon, Kiju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 Space Sciences
    • /
    • v.42 no.1
    • /
    • pp.1-9
    • /
    • 2014
  •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by using fast-responding PSP technique to measure the surface pressure on a small-scale rotor blade in hover. Also, the study was performed to verify the accuracy and investigate its possibility of PSP application for rotor blade pressure measurement. Pulsed laser which has 532 nm wavelength was used as a light source. Lifetime measurement technique was applied. Also, the coated paint on a rotor blade was porous PSP which has faster response time than conventional PSP. The blades had NACA0012 airfoils. The length of rotor blade was 340 mm and chord was 40 mm with rectangular shape 1 set, and 4 sets had several tip sweepback angles. The measured results qualitatively showed that the upper surface pressure decreases with increasing the collective pitch angle. Quantitative pressure coefficients of PSP results were higher approximately 0.4 to 0.7 than the pressure tap data of the NASA experiment.

Experimental Study on Spray Characteristics of Gasoline Direct Injection Multi-hole Injector (가솔린 직접분사용 다공형 인젝터의 분무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 Lee, Sang-In;Park, Sung-Young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2 no.5
    • /
    • pp.2054-2060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spray characteristics of GDI injector that is economic and environment-friendly. Injector characteristics such as penetration length, spray angle and mixture formation were measured using experimental visualization technique. Especially, it has been analyzed that the influences of ambient pressure and injection pressure on penetration length and spray angle. To visualize the spray, a constant volume combustion chamber and fuel supply system have been manufactured. A high-speed camera and LED light source have been applied to obtain spray images. The experimental and visualization result shows that the penetration length is increased as decreasing ambient pressure and/or increasing injection pressure. Also, ambient pressure and injection pressure have minor effect on the spray angle variation.

Study on the Improvement of Milling Recovery and Performance(III) -Various Designs of the Perforated Screen Affecting the Performance of a Rice Whitening Machine- (도정수율(搗精收率)과 성능향상(性能向上)을 위(爲)한 연구(硏究)(III) -정백기(精白機)의 성능(性能)에 영향을 미치는 스크린 설계(設計)에 관한 연구(硏究)-)

  • Noh, Sang Ha;Chung, Chang Joo;Kim, Sam Do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v.7 no.2
    • /
    • pp.57-71
    • /
    • 1983
  • 마찰식 정미기의 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기계설계 및 작동상의 인자로는 스크린의 형태, 롤러의 형태, 롤러회전속도, 출구 저항 등 여러가지가 있다. 이러한 요인들에 대한 연구가 본 논문의 저자에 의해서 시리즈로 연구되어 왔으며, 본 연구는 그의 일환으로 스크린의 단면형상(6각, 8각, 12각 그리고 원통형), 스크린에 뚫려있는 슬랏의 기울기($15^{\circ}$, $30^{\circ}$, $45^{\circ}$ 그리고 $-45^{\circ}$), 그리고 출구 저항이 정백미의 질과 양, 정백효율 그리고 정백실내의 정백압력 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 실험에 사용된 공시 정미기는 임도정 공장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흡입마찰식이었며, 사용된 시료는 밀양 23호인 통일계품종이었다. 각 처리마다 동력 소모량과 정백실내의 정백압력을 측정하기 위해서 "KYOWA" 스트레인 게이지 시스템(strain gauge system), 토오크 변환기, 압력변환기 등이 사용되었다. 본 실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정백과정중에 정백실내의 정백압력은 입구에서 가장 높았고 출구쪽으로 갈수록 점차 감소하였다. 평균 정백압력도 순환 횟수에 따라서 변화 하였는데 첫번째 순환에서 가장 높았고 순환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2) 본 실험에서 사용한 출구저항 수준은 출구저항 수준 1에서 요구되는 정백도의 백미를 얻기 위한 순환 횟수는 2회 이었고 출구저항 수준 2에서는 4회 이었는데, 이를 출구저항 수준이 정백압력, 정백율, 완전미수율 및 도정 효율에 가장 큰 영향을 주었다. 3) 스크린에 뚫려있는 슬랏 각도가 $15^{\circ}$에서 $45^{\circ}$로 증가함에 따라서 정백실내의 평균 정백압력은 감소하였고, 완전미수율과 도정 효율은 증가하였으나, 일반적으로 도정수율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45^{\circ}$의 슬랏 각도를 가진 스크린에서는 슬랏 각도 $15^{\circ}$인 스크린에서와 거의 비슷한 정백압력 수준을 나타냈으나 완전미와 정백미의 생산은 매우 낮았다. 4) 스크린 표면에 기다란 강편 (보통 "띠"라고 부름)을 붙인 원통과 12각형의 스크린에서는 강편을 붙이지 않은 6각형과 8각형 스크린에서 보다는 비교적 높은 정백압력을 나타냈다. 전자는 후자에 비해서 정백효율은 높았으나 완전미수율은 떨어졌다. 5) 정백실내에서 가장 낮은 정백압력을 나타낸 8각형 스크린은 높은 도정수율과 완전미수율을 가져왔으나 상대적으로 정백효율은 낮게 나타났다. 6) 정백실내의 반경 방향의 평균 정백압력($P_R$)과 완전미수율($Y_h$)은 다음과 같은 1차적인 역비례 관계가 있었으며(평균 정백압력 범위는 0.5-0.9kg/$cm^2$), $Y_h=-28.661P_R+84.860$ ($r^2=0.858$) 정백효율($Y_e$)과 정백압력($P_R$) 사이에는 다음과 같은 2차적인 관계가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 $Y_e=-597.5P_{R^2}+929.96P_R-210.15$ ($r^2=0.759$) 정백효율은 정백압력이 0.7-0.8kg/$cm^2$일 때 가장 높았으며, 이때 변이도 가장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일체형원자로내 주순환펌프 압력헤더가 증기발생기 카세트로 흐르는 냉각수 유동분포에 미치는 영향

  • 강형석;윤주현;김주평;조봉현;이두정
    • Proceedings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Conference
    • /
    • 1998.05a
    • /
    • pp.617-622
    • /
    • 1998
  • 일체형원자로인 SMART에서는 증기발생기와 주순환펌프가 배관으로 연결되어 있지 않고 주순환펌프를 통과한 냉각수가 압력헤더를 통하여 12개의 증기발생기 카세트로 흐르게 된다. 각 증기발생기 카세트를 통과하는 냉각수 유량분포의 비균일도를 운전모드에 따라 계산하여 이 압력헤더가 각 증기발생기 카세트로 흐르는 냉각수 유동분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SMART 주순환펌프 압력헤더의 설계가 설계기준을 만족시키는 지를 검증하였다. 검증계산 결과 비균일도가 정상운전시는 0.8%. 비정상 운전시는 7.1%로 설계기준을 만족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 PDF

Cat-CVD법을 이용하여 다양한 제막압력 조건에서 증착된 PTFE(polytetrafluoroethylene) 박막의 소수성 평가에 관한 연구

  • Alghusun, Mohammad;Yeo, Seung-Jun;An, Jeong-Se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2.02a
    • /
    • pp.281-281
    • /
    • 2012
  • 연꽃잎 효과(Lotus effect)라 불리는 자가 세정 효과(self cleaning effect)는 연꽃이 항상 깨끗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관찰되면서 꾸준히 관심에 대상이 되어 왔었다. 자가 세정 효과는 접촉각 $150^{\circ}$ 이상의 초소수성 표면에서 구현이 가능하며 이런 표면을 일상생활부터 산업분야까지 응용하고자 하는 많은 노력들이 있었다. 물질의 친수성 또는 소수성은 표면의 거칠기(roughness)와 표면에너지(surface energy)의 두 가지 특성에 의해 결정된다. 하지만 낮은 표면에너지 물질을 사용해도 접촉각 $150^{\circ}$ 이상의 초소수성 표면을 얻긴 힘들며, 표면의 거칠기를 증가시켜야 한다. PTFE (polytetrafluoroethylene)는 낮은 표면에너지를 가진 소수성 물질로 bulk일 경우 접촉각이 약 $108^{\circ}$이지만 거친 표면을 가진 박막으로 만들 경우 접촉각이 $150^{\circ}$ 이상의 값을 가지는 초수수성 표면이 가능한 물질이다. 특히, 초소수성 표면 이외에 우수한 내열성 및 내화학성 특성을 가지고 있어 디스플레이 및 태양전지 등의 자가세정(self cleaning) 보호막으로써 응용이 기대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HFPO (hexafluoropropylene)를 원료 가스로 이용하여, Si(100)과 유리 기판위에 Cat-CVD (Catalytic Chemical Vapor Deposition)법으로 PTFE 박막을 증착하였다. 텅스텐(W)을 촉매로 사용하였으며, 촉매온도가 $850^{\circ}C$이상인 조건에서 접촉각이 $150^{\circ}$ 이상인 초소수성 PTFE 표면을 쉽게 얻을 수 있었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제막압력을 300 mTorr에서 700 mTorr까지 변화시켜 가며 유리와 Si 기판위에 증착하였다. Cat-CVD 제막압력을 변화시켜가며 증착된 PTFE 박막의 접촉각을 측정한 결과, 제막압력이 300 mTorr일 때 glass와 Si 기판위에 증착된 PTFE박막 표면에서의 접촉각은 각각 133, $117^{\circ}$였지만, 제막압력이 400 mTorr이상일 땐 $150^{\circ}$ 이상의 높은 접촉각을 갖는 초소수성 표면을 얻을 수 있었다.

  • PDF

The Effect of Foot Strengthening Exercise to Young of Hallux Valgus with Flexible Flatfoot (발 강화 운동이 유연성 편평발이 동반된 엄지발가락가쪽휨증을 가진 젊은 성인에게 미치는 효과)

  • Park, Jin-Hyun;Kim, Jin-Seop;Kim, Kyoung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3 no.11
    • /
    • pp.5211-5217
    • /
    • 2012
  •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foot strengthening exercise to improve hallux valgus in young of hallux valgus with flexible flatfoot. Subjects 28 people were randomly divided by the foot strength group(n=14) and control group(n=14). In a period of 8 weeks, they put on I.D.W. Experimental group took foot strengthening exercise for 20 minutes 3 times a week during 8 weeks. Foot structure and max pressure were evaluated by hallux angle, 1~2 metatarsal angle, navicular height, 1st phalange, 2~5phalange, 1st metatarsal, 2nd metatarsal, 3rd metatarsal, 4th metatarsal, 5th metatarsal, mid foot, medial hind foot, lateral hind foot. There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by exercise group in outcomes of the structural and plantar foot pressure from hallux angle, 1~2 metatarsal angle, 1st phalange, 1st metatarsal, 2nd metatarsal, 3rd metatarsal, mid foot. The result suggest that foot strengthening exercise is feasible and suitable for individuals with hallux valgus with flexible flatfoot.

High Pressure Phase Behavior in the Binary Polyethylene/Butane and Polyethylene/Dimethyl Ether Systems (이성분 폴리에틸렌/부탄과 폴리에틸렌/디메틸 에테르계의 고압 상거동)

  • Jeon, Nam-Seok;Byun, Hun-Soo
    • Applied Chemistry for Engineering
    • /
    • v.10 no.5
    • /
    • pp.761-766
    • /
    • 1999
  • In this paper, high pressure phase behavior in the binary polyethylene/butane and polyethylene/dimethyl ether has been studied. The pressure-temperature diagrams in polyethylene/butane were shown by increasing concentration for molecular weight standards, that is, $M_w=700,\;1000$ and 2000. It is found that the temperature and the pressures go up with increasing in concentrations for each molecular weight, but the latter lower in concentrations over 16 wt % polyethylene. In addition, the phase behaviors for each molecular weights with about 5 wt % polyethylene are shown in pressure-temperature, and pressures increase with increasing in molecular weight($M_w=700,\;1000$, and 2000). The phase behaviors in polyethylene/dimethyl ether are determined according to its molecular weight, and are shown for a range of pressures of 40~280 bar and temperatures of about $120{\sim}220^{\circ}C$. It is shown that in pressure-temperature of polyethylene/dimethyl ether the pressure increases with increasing in polyethylene molecular weight, and the difference in pressure for each molecular weight shows by about 60 bar. The gap in pressure between polyethylene/butane and polyethylene/dimethyl ether system with 5 wt % polyethylene for each molecular weight standards indicates about 25(700), 90(1000), and 100 bar(2000), respectively.

  • PDF

경수로압력용기에 관한 최근화제 - 원자로와 압력용기강재의 변천 -

  • 한국원자력산업회의
    • Nuclear industry
    • /
    • v.4 no.5 s.21
    • /
    • pp.32-41
    • /
    • 1984
  • 현재 발전용 원자로의 $80\%$를 점하고 있는 경수로는 노심내의 핵연료에서 발생한 열을 물을 사용하여 노외로 보내는(수냉각)형식이기 때문에 열제거 효율상 물을 가압해서 고온에서도 액체로 사용하도록 고안되었으므로 노심용기는 압력용기(PV)로 되어 있다. 이 압력용기는 핵연료체와 같이 교환할 수 있는 소모품이 아니기 때문에 그 발전로의 정년까지 건전성을 유지하여야 한다. 다음은 이의 확보를 위해 해외에서 연구검토되고 있는 대응책들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