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알코올 사용장애

검색결과 63건 처리시간 0.028초

알코올 사용장애의 한약치료 연구동향 (Current Research Trends of Traditional Herbal Medicine for Alcohol Use Disorder)

  • 박소현;조준희;김보경;임정화
    •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385-401
    • /
    • 2023
  • Objectives: To review clinical research trends of herbal medicine treatment for alcohol use disorder. Methods: Three domestic databases and eight foreign databases were used to search for published articles by November 1, 2023 in each database. A total of 9 studies were included. Results: There were eight randomized control studies and one non-randomized control study. All randomized control studies were designed with 2-arm paralleled. The non-randomized control study was designed with 2-arm crossover. The most commonly used prescriptions were Kudzu extract capsules and Seoganhaeul capsules. The most used herbs were Puerariae Radix, Hyperici Perforati Herba, and Acanthopanacis Senticosi Radix et Rhizoma seu Caulis. Conclusions: Traditional herbal medicine might be effective in alleviating drinking behavior, physical problems, and psychological problems of patients with alcohol use disorder. However, the limited number of included studies suggests that further methodologically rigorous research studies on herbal medicine treatment for alcohol use disorder are needed in the future.

정신질환에 있어서의 신경펩타이드 연구 - Endorphin과 cholecystokinin을 중심으로 - (Neuropeptides in Clinical Psychiatric Research : Endorphins and Cholecystokinins)

  • 김영훈;심주철
    • 생물정신의학
    • /
    • 제5권1호
    • /
    • pp.34-45
    • /
    • 1998
  • 단가아민 신경전달물질과 신경펩타이드의 가장 큰 차이점은 합성과정에 있다. 시냅스에서의 활동과 비활성화 과정에서도 양자의 차이는 뚜렷하다. 단가아민 신경전달물질의 작용은 매우 단시간 내에 일어나며, 대개는 재흡수기전을 통해 활동이 정지되고, 일부가 효소반응에 의해 비활성물질로 대사된다. 또한 이들은 단가아민 신경전달물질들과 마찬가지로 presynaptic peptidergic receptor를 갖는다는 사실이 알려져 있으며, 신경펩타이드 분비를 조절하는 자가수용체도 갖고 있다. 신경펩타이드의 시냅스전 세포로의 재흡수기전에 대해서는 아직 밝혀져 있지 않다. 신경펩타이드들도 시냅스 후막의 수용체로 확산되어 이차전령, 삼차전령을 통해 생물학적 반응을 일으킨다는 것은 단가아민 신경전달 물질과 동일하다. 본래 신경세포는 자극에 의해 glycoproteins, enzymes, inorganic ions, metal ions, phospholipids, purines, amines, peptides 등의 물질들을 함께 분비한다. 이들 중에는 신경전달물질의 기준에 부합되는 것도 있으나, 대다수는 기능이 없다. 때로는 수 종류의 신경전달물질들과 신경신경펩타이드들이 한가지 신경전달물질의 분비에 관여하기도 한다. 저자들은 현재 임상연구에서 괄목할 만한 진전을 보이고 있는 두가지 신경펩타이드들에 대해 그 신경생물학적 측면과 임상적 측면을 고찰하였다. 알코올의 신경생리에 있어 가장 흥미있는 것은 아마 강화기전일 것이다. 내인성 opioid계 물질들이 알코올의 강화효과와 관계가 있다는 근거들은 많다. Naltrexone은 수용체 차단을 통해 이러한 강화기전을 차단함으로서 음주욕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해석된다. Opioid reinforcement는 변연계의 도파민 활성화를 통해 이루어진다. 이는 알코올의 강화에 도파민이 관여한다는 사실과도 관계된다. 이를 도파민-알코올 강화 가설이라 한다. 기타 세로토닌도 알코올의 강화를 중재하는 신경전달물질로 생각되고 있다.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차단제를 장기간 사용하거나, $5-HT_3$ 수용체 길항제를 사용하면 음주욕이 감소된다고 알려져 있다. 신경전달물질계간에는 중요한 상호작용이 있다. 알코올이 측중격핵에서 도파민의 분비를 촉진시키는 기전에도 여러 신경전달계의 상호작용이 관여된다. 이의 기전에 생리적 수준에서 관여되는 대표적인 물질로는 (1) opiates, (2) serotonin, (3) amino acids, (4) 기타 neuropeptide들을 들 수 있다. Opiate 수용체 길항제들은 측중격핵에서 도파민 분비를 차단하고, $5-HT_3$ 수용체 효현제는 이를 자극한다. 이들을 총체적으로 종합하면, 도파민, 세로토닌, opiate 수용체들을 조절하면 알콜리즘을 치료할 수 있다는 것이다. CCK는 흥분성 신경전달물질로 밝혀지고 있으며, 진통 및 morphine에 대한 내성형성, 포만, 기억 등의 정신병리에 일부 관여하나, 역시 최근 가장 주목을 받는 것은 CCK계가 불안의 병리에 관여한다는 소견이다. 이 분야의 연구에 기폭제가 된 것은 CCK-4가 공황발작을 유발한다는 임상 연구결과로부터 비롯된다. 이에 의한 불안반응은 자연유발된 공황발작과 거의 같으며, 정상인과 공황장애 환자를 구별하는 민감도를 갖고 있다. 이 CCK-4에 의해 유발된 공황발작은 $CCK_B$ 길항제들에 의해 차단된다. 즉 공황불안의 기전에 $CCK_B$ 수용체가 관여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공황발작이 $CCK_B$ 수용체의 민감도 결함으로 추정될 수 있다. 또한 이 반응은 imipramine과 benzodiazepine계 약물들에 의해 차단됨이 알려져 있다. 이 공황 불안의 형성 기전에 다른 신경전달계와의 상호작용이 있다. 본고에서는 특히 benzodiazepine계와의 상호작용 및 5-HT계와의 상호작용을 거론하였다. 향후 CCK 길항제들이 항불안제로 개발될 전망이다. 이들은 내성형성, 금단증상, 진정작용 등의 문제가 없으므로 새로운 항불안제로 기대된다.

  • PDF

외상후 스트레스장애 환자군의 알코올, 담배 및 약물 사용-다기관 병원 대상 연구 (Consumption of Alcohol, Cigarettes, and Drugs in Patients with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Korean Multicenter Hospital Samples)

  • 이주영;이하민;서호준;우영섭;김태석;채정호
    • 대한불안의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41-45
    • /
    • 2007
  • Objective :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s patterns of consumption of alcohol, cigarettes, and over the counter drugs (OTC) in Korean patients with PTSD and psychiatric patient controls and healthy controls from multicenter hospital samples. Method : Data were collected from 18 hospitals nationwide. Patients with PTSD were compared with nonpsychotic psychiatric disorders control and healthy control subjects on psychometric measures of consumption of alcohol, cigarettes, and OTC drugs. Result : Ninety-three patients with PTSD, 73 patients with psychiatric disorders control, and 88 healthy control subjects were enrolle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frequency of alcohol drinking among the three groups ($X^2$=12.93, df=6, p=0.044). Only 3.2% of healthy control subjects drank alcohol more than 4 times a week, but 43.9% of PTSD group and 46.5% of mental disorder controls drank alcohol more than 4 times a week, respectively. Regarding cigarette smoking, there were no differences among the three group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uses of OTC drugs among the three groups; 16.7 % in the PTSD group, 14.9% in the psychiatric control group and 1.3% in the heath control group, respectively ($X^2$=11.31, df=2, p=0.004). Conclusion : In this study, patients with PTSD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frequency of consumption of alcohol and OTC drugs, as compared with healthy controls. However, there were no differences between the PTSD and psychiatric patient control groups. Since all subjects were enrolled from hospital based sample, results may differ in the community samples. Further studies will be needed for the evaluation of substance uses in these groups.

  • PDF

치환된 방향족 알코올과 이차아민을 사용한 Mannich염기의 합성:기질에 따른 상대적인 반응성과 위치선택성 (Synthesis of Mannich Bases Using Substitued Aromatic Alcohols with Secondary Amines: Relative Reactivity and Regioselectivity Depending on Substrates)

  • 지기완;안윤수;박태호;안정수;김현아;박주연
    • 대한화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51-60
    • /
    • 2001
  • 치환된 하이드록시 방향족 화합물과 이차아민, paraformaldehyde를 비 양성자성 용매하에서 one-pot으로 반응시켜 기질에 따른 상대적인 반응성을 비교하였으며, Mannich반응이 일어난 자리도 조사하였다. 치환된 하이드록시 방향족 고리의 Mannich반응의 반응성과 위치선댁성은 기질의 친핵성도와 아민의 입체장애에 의존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알코올사용장애자의 음주관련 문제 분석을 위한 구조모형 (Structural Equation Model for the Analysis of Alcohol-related Problem of Alcohol Use Disorders)

  • 손희정;이원기;박영신;홍해숙
    • Journal of health informatics and statistics
    • /
    • 제42권2호
    • /
    • pp.192-198
    • /
    • 2017
  • Objectives: This study was designed to construct and test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for the alcohol-related problem of alcohol use disorder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by structured self-questionnaires from 229 male subjects who received > 8 (greater than 8) score on Alcohol Use Disorder Identification Test (AUDIT). The Data were analyzed by SPSS 21.0 and AMOS 21.0. Results: The model fit indices for the modified hypothetical model showed Q = 2.50, GFI = 0.90, and CFI = 0.94. As a result, Life position, parent's drinking problem, and alcohol expectancy had significantly direct effect on alcohol-related problem. Alcohol expectancy also had mediator effect between life position and alcohol-related problem. Conclusions: Consequently, the more positive life position, the less alcohol-related problem occurred.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ir life position, which is individual factor, to prevent or reduce the alcohol related problem of alcohol use disorders.

의사결정나무분석을 이용한 성인의 알코올사용장애 위험요인 (Risk factors of alcohol use disorder in Korean adults based on the decision tree analysis)

  • 권미영;김지인
    • 한국학교ㆍ지역보건교육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47-59
    • /
    • 2023
  •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risk factors of alcohol use disorder among Korean adults. Methods: Cross-sectional exploratory study based on data collected from Data from the 6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in 2015 were performed in this study. There were 3,248 participants who were 2,558 normal drinkers while 690 had alcohol use disorder. Decision tree analysis were used to exam socio-demographic and health-related factors to predict alcohol use disorder. Results: As a result of decision tree analysis, the predictive model for factors related to alcohol use disorder in Korean adults presented with 8 pathways. The significant predictors of alcohol use disorder were age, gender, smoking, marital status, and house income. Male smokers whose household income is 'high' or 'low' are most vulnerable to alcohol use disorders. Conclusions: This study indicates that need to consider health behavior and house income when we practice prevention policies and health education of alcohol use disorder.

폭음 여자대학생의 전체-세부 시지각 처리에 관한 사건관련전위 연구 (An event-related potential study of global-local visual perception in female college students with binge drinking)

  • 임소연;김명선
    • 인지과학
    • /
    • 제34권2호
    • /
    • pp.111-151
    • /
    • 2023
  • 폭음군은 알코올 사용 장애 환자와 유사한 인지기능의 장애를 보인다고 보고된다. 신경심리검사와 뇌 영상 기법을 사용하여 알코올 사용 장애 환자들의 시지각 기능을 조사한 선행 연구에서는 이들이 전체-세부 시지각 처리 결함을 가짐을 보고하였다. 폭음군의 전체-세부 시지각 결함에 대한 신경학적 근거가 제시되고 있으나 폭음군의 전체-세부 시지각 처리 과정을 조사한 연구는 현재까지 보고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폭음을 하는 여자대학생의 세부 편향적 시지각 특성을 Navon의 전체-세부 방안과 사건관련전위를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전체-세부 방안에서 자극은 세부 수준 혹은 세부 수준의 자극들로 구성된 전체 수준에서 제시되었으며, 두 수준에서 제시되는 자극은 서로 일치하거나 불일치하였다. 본 연구에 폭음군 25명과 비폭음군 25명이 참여하였다. 행동자료 분석 결과, 비폭음군과 폭음군 모두 세부 자극에 비해 전체 자극을 더 빠르고 정확하게 처리하였다. 또한, 두 집단 모두 전체불일치 조건에 비해 세부불일치 조건에서 유의하게 낮은 반응정확률과 긴 반응시간을 보였으며, 이는 전체 수준의 비목표 자극에 의해 간섭을 받았음을 의미한다. 사건관련전위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비폭음군과 폭음군 모두 세부불일치 조건에 비해 전체불일치 조건에서 더 큰 N100 진폭, 세부 조건에 비해 전체 조건에서 더 큰 P150 진폭을 보였고, N200의 경우 두 집단 모두 전체 조건에 비해 세부 조건에서 더 큰 진폭, 전체불일치 조건보다 세부불일치 조건에서 더 큰 진폭을 보였다. 반면, P300의 경우 비폭음군에 비해 폭음군이 더 작은 진폭을 보였으며, 특히 세부 조건에서 더 작은 P300 진폭을 보였다. 또한, P300 진폭과 폭음 점수 사이의 부적 상관, 즉 폭음 점수가 증가할수록 P300 진폭이 감소하는 것이 관찰되었다. N100은 초기 시각 주의, P150은 시각적 특징을 기반으로 한 목표 자극의 지각 과정, N200은 갈등 모니터링 및 반응 억제, 그리고 P300은 인지적 억제 및 주의 할당 과정을 반영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전체-세부 방안의 세부 과제에서는 세부 수준에서 제시되는 목표 자극에 주의를 할당하는 동시에 전체 수준에서 제시되는 비목표 자극에 대한 주의는 억제하는 것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는 폭음을 하는 여자대학생이 세부 편향적 시지각 특성을 가지고 있지 않고 대신 주의를 억제하는 능력의 결함을 가지고 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대학생의 문제성음주의 실태와 관련 심리사회적 요인 (The Actural Condition and the Impact of Psychosocial Factors on Problem Drinking among the College Students)

  • 정원철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8권1호
    • /
    • pp.347-372
    • /
    • 2006
  • 대학생의 음주문제는 일반성인에 비해 심각한 수준에 이르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연구는 선진국에 비해 미약한 편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문제성음주의 실태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사회적 요인을 규명하고자 하는 것이었다. 본 연구에 사용된 샘플의 크기는 414명이며, 문제성음주의 측정은 AUDIT(알코올사용장애검사)이 사용되었다. 분석방법으로는 카이검증, t-검증, 상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이 활용되었다. 연구결과 대학생의 음주문제는 일반성인들에 비해 매우 심각하다는 것이 실증되었으며, 성인들에 비해 폭음의 경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인구학적요인과, 개인특성요인, 가족환경요인 학교환경요인으로 회귀식을 구성하고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성별, 신앙생활, 최초음주연령, 감각추구경향, 음주동기, 부모음주문제, 가족지지, 학업성적, 친구의 영향은 대학생의 문제성음주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변인으로 밝혀졌다. 이에 따라 연구자는 영향력이 있는 변인들을 중심으로 음주문제 해결에 대안 대응방안을 제언하고 추후의 과제를 부언하였다.

  • PDF

감마선을 이용한 고기능성 히알루론산/연어추출물 제형개발 (Development of High-Functional Hyaluronic Acid/Salmon Extract Formulation Using Gamma-Ray)

  • 권동건;심재구;하만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2권1호
    • /
    • pp.9-16
    • /
    • 2018
  • 음주 후 숙취는 사람에 따라 증상과 정도가 상이 하지만 일반적으로 갈증, 피로감, 두통, 전신권태, 위장장애, 구토, 설사, 비타민 결핍 등이 나타난다. 이러한 숙취현상은 간세포와 체내에 축적된 알코올 및 알코올에 함유되어 있는 발효 부산물인 에틸아세테이트, 아세트알데히드 등의 전구물질들의 작용에 의해 발생한다. 이에 숙취현상을 해소하기 위한 연구로 연어 추출물 중 정액 또는 정소 추출물인 핵산-당-인산으로 이루어진 고분자이며 다당체인 Polydeoxyribonucleotide(PDRN)과 동일한 Origin, 동일 구조를 가지며 PDRN에 비해 가격이 저렴한 수용성 연어 추출물 분말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D-Glucuronic acid와 N-Acetyl glucosamine으로 구성된 고분자 다당체로 뛰어난 생체 적합성, 점탄성 및 보습력을 보유하고 있어서 숙취현상 중 나타나는 생체수분 감소량 및 피부수분 함유량저하에 대한 부분에 효과가 있어 항산화 및 피부보습효과를 제공하는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을 감마선으로 조사하여 사용하였다. 연어추출물 분말과 히알루론산 등을 이용하여 조성물을 제조한 후 체내 에탄올, 아세트알데히드 감소량, 혈중 아세트알데히드 농도와 초산 농도를 측정하여 알코올 분해효과를 평가하였고, 피부 수분 증발량과 피부 수분량을 조사하여 피부개선을 평가하고 항산화 및 피부보습효과를 제공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였다. 이에 에탄올은 연어추출물을 첨가하였을 때가 무첨가에 비해 5배에서 7배의 감소량을 보였고 아세트알데히드 3배에서 5배 이상의 감소량을 보였다. 또한 혈중 아세트알데히드 농도와 초산 농도의 변화에서는 무첨가 대조군에 비해 급격한 저하 변화를 보여 알코올 분해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여 숙취해소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히알루론산 원료를 첨가하여 사용하였을 때 피부 수분함유량이 높았으며, 피부 수분 증발량이 감소됨이 확인되었다. 이에 고분자 다당체인 히알루론산은 뛰어난 점탄성 및 보습력을 보유하고 있어서 숙취현상 중 나타나는 생체수분 감소량 및 피부수분 함유량저하에 효과가 있어 항산화 및 피부보습효과를 제공하는 것으로 사료되어 연어추출물 분말과 히알루론산을 주원료로 하는 조성물이 음주 후 나타나는 숙취현상에 효과가 있다고 할 수 있다.

AUDIT척도에 의한 한국대학생의 알코올사용장애 실태 및 원인 분석 (Correlates of Problem Drinking by the Alcohol Use Disorders Identification Test on Korean College Campus)

  • 손애리;천성수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38권3호
    • /
    • pp.307-314
    • /
    • 2005
  • Objectives : To survey college students with an Alcohol Use Disorder, and analyze the reasons for their disorder. Methods : The cross-sectional study was conducted at 60 four-year colleges within Seoul and 9 other provinces. The schools and students selected for the study provide a nationally representative sample, and the survey was conducted between May 15th and June 14th 2003. 2,385 cases were analyzed using questionnaires, which included a series of questions about students' alcohol use and associated problems, as well as an Alcohol Use Disorder Identification Test. Results : 42.3% of students were found to have an Alcohol Use Disorder. The probability of a student having an Alcohol Use Disorder was 1.30 times higher among male compared to female students. Those students not living with their parents or relatives were 1.40 times more likely to have an Alcohol Use Disorder. Those students where the father had a drinking problem and those who admitted that their parents drank heavily while they were growing up were 1.38 and 1.54 times more likely, respectively, to have an Alcohol Use Disorder. Those students attending a general university, joining a student club, attaining less than a B average credit score and those unsatisfied with their education were 1.60, 1.36, 1.41 and 1.27 times more likely, respectively, to have an Alcohol Use Disorder. Those students who had experience of drugs, smoking, binge drinking when they were in the last year of high school and the forceful consumption of mixed alcohol were 3.67, 1.95, 2.15 and 1.76 times more likely, respectively, to have an Alcohol Use Disorder. Conclusions : College students' with an Alcohol Use Disorder is a very severe and large problem within colleges. An Alcohol Use Disorder is determined by individual and family variables, the college environmental and life variables, as well as behavior variab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