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알고리즘 개발

Search Result 8,224, Processing Time 0.046 seconds

The Development of the simulator for studying interlocking algorithms of smart system (Smart열차진로제어알고리즘연구용 모의장치 개발)

  • Yoon, Yong-Ki;Hwang, Jong-Gyu;Lee, Jae-Ho;Kim, Won-Hyoung
    • Proceedings of the KSR Conference
    • /
    • 2006.11b
    • /
    • pp.796-801
    • /
    • 2006
  • Smart열차진로제어시스템은 실시간 열차속도와 열차위치정보를 토대로 진로제어구간을 진입 또는 진출하는 해당 열차의 진로를 제어한다. 현재 운용중인 열차진로제어알고리즘은 궤도회로를 이용해서 검지한 열차점유정보를 사용하고 있으므로, 새로운 개념의 알고리즘개발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 다양한 형식의 열차가 감속성능을 구현할 수 있는 전동기와 구동장치를 사용하는 모의장치의 개발을 완료하였다. 모의장치는 무선통신기반의 간선철도용 열차진로제어시스템개발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나, 알고리즘개발의 효율성과 편리성을 갖추기 위해서 ATS(Automatic Train Supervision), ATC(Automatic Train Control) 및 ATO(Automatic Train Operation) 등의 기능을 구현할 수 있도록 모의장치를 개발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모의장치 구성, 모의장치의 하부장치별 기능 및 각 하부장치에 설치되어 있는 프로그램구성을 다루고 있다.

  • PDF

Development of the Algorithm for On-line Dosimetry System for High Energy Radiation Treatment (고에너지 방사선치료용 on-line 선량측정시스템을 위한 알고리즘의 개발)

  • Wu, Hong-Hyun;Ha, Sung-Whan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v.22 no.3
    • /
    • pp.207-218
    • /
    • 1997
  • Purpos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algorithm for estimation of tumor dose using measured transmission dose as a part of the development of on-line dosimetry system. Materials and Methods: Data of transmission dose were measured under various FS, Tp and PCD with a special water phantom for 6 MV and 10 MV X-ray. SCD (source-chamber distance) was set to 150 cm. Measurements were conducted with a 0.125 cc ion chamber. Results: Using measured data and regression analysis, two algorithms were developed for estimation of expected reading for measured data. Algorithm 1 consisted of the quadratic function of PCD and the tertiary function of AlP (area-perimeter ratio). Algorithm 2 consisted of the tertiary function of log(A/P)and the tertiary function of PCD. Algorithm 2 required less data set and was more accurate in comparing expected and observed dose. Conclusion: Using the algorithm developed, transmission dose can be estimated for any exposure condition, i.e. any given Tp, PCD and FS with high accuracy. To complete this algorithm, further developments are needed regarding the beam modifying device, the tissue inhomogeneity and the irregular body surface.

  • PDF

Fast 2-D Moving Target Tracking Algorithm (Fast 2차원 동 표적 추적 알고리즘)

  • Kim, Gyeong-Su;Lee, Sang-Uk;Song, Yu-Seop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elematics and Electronics
    • /
    • v.22 no.1
    • /
    • pp.75-85
    • /
    • 1985
  • We have studied on the 2-D moving target tracking algorithm satisfying a real-time hardware implementation requirement. In this paper, a fast algorithm is developed based on the operator formulation and the variational algorithm f 10] . Here, we use the directed search for the maximum of the cross-correlation in order to obtain an initial estimate for the variational algorithm and decompose the scene into 16 smaller subblocks and apply the variational algorithm to each subblock sequentially with a new moving area detection method. We call the algorithm subblock based recursive algorithm. Compared with (10) , the ratio of the computational savings obtained from the proposed algorithm is 7 on the average.

  • PDF

Development of a Back Analysis Program for Rock Tunnel using FLAC (FLAC을 이용한 터널 역해석 프로그램의 개발)

  • 양형식;전양수
    • Tunnel and Underground Space
    • /
    • v.12 no.1
    • /
    • pp.37-42
    • /
    • 2002
  • A back analysis algorithm was developed to determine the major parameters for tunnel design; the elastic modulus(E) and the ratio of horizontal to vertical stress(K). The algorithm is based on direct search method and was coded by FISH language of FLAC, a commercial finite difference program. Developed code was applied on some models to verify the validity and estimate the efficiency of the algorithm. Verification by theoretical solutions and published results of Gens' research, was successful.

Generation of Simulated LIDAR Data via Geometric Sensor Modeling and Simulation (기하학적 모델링과 시뮬레이션을 통한 모의 라이다 데이터 생성)

  • Kim, Seong-Joon;Hong, Min-Seong;Lee, Im-Pyeong;Oh, So-J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8.06a
    • /
    • pp.400-404
    • /
    • 2008
  • 라이다는 데이터 획득의 신속성과 처리의 자동화라는 장점을 가지고 있어서 도시 모델의 생성, 변화탐지(Change Detection), 삼림지역의 DTM(Digital Terrain Model)의 생성, 등고선 추출, 나무의 높이 결정을 통한 산림관리, 해안 지형의 관리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이 되고 있다. 이와 같이 라이다데이터 활용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면서 다양한 처리 알고리즘이 개발되고 있다. 알고리즘을 개발하고 그 성능을 정확하게 평가를 위해서는 알고리즘을 다양한 형태의 시험데이터에 적용해 보아야 하지만, 성능평가를 위해 다양한 실측 데이터를 획득하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개발된 알고리즘의 성능평가를 위한 다양한 모의데이터를 실제 DEM으로부터 시뮬레이션을 통해 생성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라이다 시스템에 대한 기하학적 모델링하여 센서방정식을 유도하고, 이를 기반으로 DEM상에서 플랫폼의 이동경로에 따라 취득되는 모의 라이다데이터를 생성한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시뮬레이션을 이용하면 라이터데이터를 이용하는 다양한 활용 알고리즘 개발과 경제적이고 정확한 성능평가에 도움이 될 것이다.

  • PDF

항로표지 수집정보 품질개선 알고리즘 개발

  • 정제한;이예경;장준혁;오세웅;양진홍;한준희;옥수열;신상문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3.05a
    • /
    • pp.303-305
    • /
    • 2023
  • 수집된 데이터의 품질을 진단하고 개선하는 것은 품질 관리 측면에 있어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항로표지 수집정보의 품질을 개선하기 위해 새로운 알고리즘을 개발하고 이를 시험하는 방안에 대해 분석하였다. 개발된 알고리즘은 기존의 알고리즘보다 더욱 정확하고 신뢰성이 높으며, 항로표지 수집정보의 오류율을 크게 감소시킨다. 이에 따라, 개발된 알고리즘을 적용함으로써 항로표지 수집정보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해상 안전성을 높이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pplication and evaluation of PD diagnostic algorithm for 3-phase in one enclosure type GIS (3상 일괄형 GIS 부분방전 진단 알고리즘 적용 및 평가)

  • Kim, Seong-Il;Choi, Young-Chan;Jung, Seung-Wan;Baek, Byung-San;Kwon, Joong-Lok;Hong, Cheol-Yong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8.07a
    • /
    • pp.1374-1375
    • /
    • 2008
  • 본 논문은 3상 일괄형 GIS의 부분방전 진단을 위해 새롭게 개발한 진단 알고리즘에 관한 것이다. 진단 알고리즘 개발을 위해, 먼저 실시간 부분방전 데이터를 행벡터 및 열벡터로 구성하고 각각의 벡터에서 통계 특징량 및 질감 특징량을 추출하였다. 다음으로 이들 특징량을 GA-NN(Genetic Algorithm - Neural Network) 학습에 적용하여 진단 알고리즘을 구성하였다. 또한 진단 알고리즘의 위상독립성은 부분방전 신호의 위상변화에 관계없이 진단결과가 일치하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검증하였다. 개발한 진단알고리즘의 실증 평가를 위해, 부분방전이 발생되고 있는 국내 3상 일괄형 GIS 변전소에 적용하였다. 적용 결과, 위상에 관계없이 부분방전 발생원을 정확히 진단함을 확인하였고, 이를 통해 개발 알고리즘의 우수성을 입증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Algorithm for Float Tracking using Camshift Image Technique (Camshift 영상 처리 기법을 이용한 부자 추적 알고리즘 개발)

  • You, Hojun;Kim, Seojun;Yu, Kwonkyu;Yoon, Byungm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79-79
    • /
    • 2015
  • 현재 홍수 시 유량조사에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부자법은 측정 인력, 측정비용 및 위험성이 높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교량에서 부자를 투하하고 측면에서 부자의 이동을 추적하기 때문에 평면상의 이동에 대한 정보를 얻기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이에 김서준 등(2014)은 PTV 기법을 이용한 부자 추적 알고리즘을 개발하였으나 부자가 회전하거나 물속에 잠기는 부분이 변화하여 수면 위로 확인되는 부자의 길이가 변할 경우 추적이 어렵다는 한계가 있었다. 이를 개선하고자 본 연구에서는 Template Match 알고리즘과 색상 기반 영상 처리 기법을 이용한 목표물 인식 방법인 Camshift 기법을 적용하여 부자를 추적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Template Match 알고리즘의 경우는 입자가 많을수록 추적을 잘한다는 장점이 있지만 회전 및 변형에 취약하다는 단점이 있고, Camshift 영상 처리 기법의 경우 다수의 추적자가 존재할 경우 추적에 어려움이 있으나 추적자의 회전과 변형을 정확하게 추적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Template Match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이동 예상영역을 결정하고 Camshift 영상 처리 기법으로 추적을 하게되면 두 방법의 장점을 모두 살릴 수 있다. Camshift 영상 처리 기법을 실제 부자 추적에 적용해 본 결과 부자의 회전 및 변형에도 정확하게 추적할 수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향후 부자법을 이용한 유량 조사에 본 연구에서 개발한 알고리즘을 적용한다면 현장에서 동영상 촬영만 하면 되기 때문에 측정 인원을 최소화 할 수 있어 매우 경제적이고, 홍수 시 위험성도 감소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Best-Fit 알고리즘을 응용한 비동기 IMT-2000 시스템의 자원관리 방안 연구

  • Han, Jeong-Hui
    • Proceedings of the Korean Operations and Management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4.05a
    • /
    • pp.127-130
    • /
    • 2004
  • 이 논문에서는 비동기 IMT-2000 시스템에서 고속의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호 차단율을 낮추기 위한 자원할당 알고리즘을 개발한다. 이 논문에서 제시하는 알고리즘의 성능을 측정하기 위해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실시한 결과, 기존의 알고리즘 대비 고속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호 차단율을 40% 이상 개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이 알고리즘은 LG 전자에서 개발한 상용 비동기 IMT-2000 시스템에 적용되어 운용되고 있다.

  • PDF

A Study on Exteded Binary Search Tree Algorithms Considering Cache Effect (캐쉬 효과를 고려한 확장된 이진 탐색 트리 알고리즘에 관한 연구)

  • 김경훈;정균락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0.10a
    • /
    • pp.551-553
    • /
    • 2000
  • VLSI 기술의 발전에 따라 프로세서의 속도는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 반면 메모리의 속도는 이를 뒷받침하지 못하여 속도의 차이를 줄이기 위해 캐쉬(cache) 메모리를 사용하고 있다. 캐쉬가 알고리즘의 실행시간에 미치는 영향이 점점 더 커지고 있으나 이제까지 개발된 대부분의 알고리즘들은 이러한 캐쉬의 중요성을 고려하지 않고 개발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캐쉬 효과를 고려한 확장된 이진 탐색 트리 알고리즘에 관해 연구하였고, 실험을 통하여 기존의 이진 탐색 트리와 제안된 알고리즘의 성능을 비교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