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안정화 가능성

Search Result 227,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Stabilization of Heavy Metals using Ca-Citrate-Phosphate Solution: Effect of Soil Microorganisms (구연산/칼슘/인산염 용액을 이용한 토양 중금속 안정화: 토양 미생물이 미치는 영향)

  • Song, Ho-Cheol;Song, Doo-Sup;Cho, Dong-Wan;Park, Sung-Won;Choi, Sang-Hun;Jeon, Byong-Hun;Lee, Jang-Ho;Park, Joon-Hong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 /
    • v.31 no.4
    • /
    • pp.241-248
    • /
    • 2009
  • A farming area located near an abandoned copper mine in GuPo-ri, Choongchung province is heavily contaminated with heavy metals such as As, Pb, Cd, Cu and Zn of which concentrations are higher than the values typically detected in Korean soil environment. In this work, laboratory and field studies were conducted to examine feasibility of using Ca-citrate-phosphate solution in stabilizing heavy metals in the polluted soils. In laboratory batch experiments with field soil, the addition of Ca-citrate-phosphate solution resulted in decrease of aqueous phase concentration of phosphate and improvement of heavy metal stabilization, compared to those for sterilized soil samples. This indicates that microbial uptake of phosphate may have provided positive effects on availability of phosphate toward heavy metal stabilization. According to microbial community analysis for the field experiment, the use of Ca-citrate-phosphate led to increased diversity of microbial populations, and strict anaerobic microorganisms such as Anaerofilum and Treponema became the most dominant populations in the solution-amended field experiment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when Ca-citrate-phosphate is used for heavy metal stabilization in soils, microbial processes may have important roles in improving the stabilization of heavy metals by providing reducing conditions to the treatment locations or/and by making phosphate available to heavy metal stabilization.

Application of Nano Fe°-impregnated Biochar for the Stabilization of As-contaminated Soil (비소 오염토양의 안정화를 위한 나노 Fe° 담지 바이오차 적용 연구)

  • Choi, Yu-Lim;Angaru, Ganesh Kumar Reddy;Ahn, Hye-Young;Park, Kwang-Jin;Joo, Wan-Ho;Yang, Jae-Kyu;Chang, Yoon-Young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
    • v.29 no.5
    • /
    • pp.350-362
    • /
    • 2020
  • In this study, nano Fe°-impregnated biochar (INPBC) was prepared using pruning residues and one-pot synthetic method and evaluated its performance as an amendment agent for the stabilization of arsenic-contaminated soil. For the preparation of INPBC, the mixture of pruning residue and Fe (III) solution was heated to 220℃ for 3hr in a teflon-sealed autoclave followed by calcination at 600℃ under N2 atmosphere for 1hr. As-prepared INPBC was characterized using FT-IR, XRD, BET, SEM. For the stabilization test of as-prepared INPBC, As-contaminated soils (Soil-E and Soil-S) sampled from agricultural sites located respectively near E-abandoned mine and S-abandoned mine in South Korea were mixed with different of dosage of INPBC and cultivated for 4 weeks. After treatment, TCLP and SPLP tests were conducted to determine the stabilization efficiency of As in soil and showed that the stabilization efficiency was increased with increasing the INPBC dosage and the concentration of As in SPLP extractant of Soil-E was lower than the drinking water standard level of Ministry of Environment of South Korea. The sequential fractionation of As in the stabilized soils indicated that the fractions of As in the 1st and 2nd stages that correspond liable and known as bioavailable fraction were decreased and the fractions of As in 3rd and 4th stages that correspond relatively non-liable fraction were increased. Such a stabilization of As shows that the abundant nano Fe° on the surface of INPBC mixed with As-contaminated soils played the co-precipitation of As leaching from soil by surface complexation with iron. The results of this study may imply that INPBC as a promising amendments for the stabilization of As-contaminated soil play an important role.

조경수 용기재배 시 지온 안정화를 위한 용기의 디자인개발

  • Jeong, Jun-Rae;Choe, Ji-Hye;Jeong, Yun-Seop;Choe, Dong-Hun;Gwon, Yeong-Hyu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Conference
    • /
    • 2017.10a
    • /
    • pp.147-149
    • /
    • 2017
  • 경수 용기재배는 뿌리분의 손상 없이 식재를 할 수 있어 이식 후 활착이 용이하고, 식재시기의 계절적 제약을 적게 받아 부적기 이식 시 하자를 현저히 줄일 수 있다. 용기재배 시 용기 내 토양온도는 토양의 물리화학반응과 식물의 생육 및 물과 양분의 흡수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토양환경요소의 하나이다. 목본성 식물 용기재배의 경우 제한된 근권부의 토양이 외부기온에 의해 불안정할 수 밖에 없다. 재배용기의 유형에 따른 지온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 지중재배형의 용기가 단열성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지상재배 방식의 용기 중에서는 Bag in Pot-루트 스커트 형의 용기가 단열성능이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지중재배방식의 용기와 유사한 용기 내 지온 안정화 정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후속 연구에서는 본 연구를 토대로 디자인 개발된 용기의 시제품을 제작하여 테스트하고, 재배농가에 적용가능성을 검토하고자 한다.

  • PDF

전력계통안정화 보호계전기술

  • 신대승
    • 전기의세계
    • /
    • v.43 no.4
    • /
    • pp.20-26
    • /
    • 1994
  • 전력계통은, 발전기, 변압기, 모선, 선로등을 주요소로 한 많은 설비요소로 구성되며, 이들이 일체로 되어 하나의 안정상태를 유지하면서 운용되고 있다. 전력계통 구성요소중, 특히 가공선로는 지역적으로 널리 분포되어 있으므로, 뢰, 풍우, 염분 등 자연 현상의 영향을 받아 단락, 지락등 계통사고 발생이 불가피하며, 또 다른 구성요소들도 각각 고유한 사고형태와 사고빈도를 가지고 있다. 보호방식은 이들 각종 설비에 사고가 발생하였을 때에, 신속히 사고설비를 계통에서 제거하여, 사고 전류의 계속으로 인한 설비손상을 방지하는 것을 그 기본목표의 하나로 하고 잇다. 그러나 사고발생은 단지 설비의 손상을 가져올 뿐만 아니라, 하나의 안정상태를 유지하고 운용되고 있는 전력계통 전체에 대해서, 이 안정을 무너뜨리는 방아쇠로 작용하며, 사고의 계속, 또는 사고제거에 따른 계통구성의 급변등은 주파수의 저하, 계통탈조, 설비과부하등으로 파급되어 전계통 붕괴로 확대될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경향은 전원의 원격화와 집중대용량화, 선로조류의 증가등으로, 계통이 복잡화함에 따라 더 증대하고 있다. 이러한 배경을 바탕으로 하여 보호방식의 책무는, 종전의 설비보호 위주에서 사고파급방지에 의한 계통보호(protection for power system disturbance)로 그 중점목적이 옮겨가고 있으며, 이 사고 파급방지보호장치를 계통안정화장치라고도 한다.

  • PDF

The Adaptive Autorecloure Relaying Scheme with Real-time Transient Stability of Transmission line (실시간 과도안정도가 고려된 송전선 적응 재폐로 계전시스템)

  • Jang, S.I.;Park, S.K.;Yoon, J.W.;Lee, J.J.;Shin, M.C.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5.07a
    • /
    • pp.474-476
    • /
    • 2005
  • 전력계통의 안정도 향상 방안으로 적용되는 재폐로계전기에서 재폐로의 성공뿐만 아니라 투입시점에 따른 최적재폐로의 적용으로 계통의 동요를 최소화 하게된다. 본 논문에서는 순간고장 제거 후 계통 안정화되는 계통의 최적재폐로 적용과, 불안정하게 되는 계통에서의 직렬 커패시턴스 투입 재폐로 제어로 안정화 가능성을 높였고, 영구고장으로 재폐로 실패되어 계통이 불안정해지는 경우에 계통 최소충격을 위한 최적재폐로가 적용되도록 하였다. 이를 위해 순간고장과 영구고장의 식별 기법과 광역 측정장치(WAM), 고속전송 적용 등으로 계통 안정의 정도를 판별, 예측하여 실시간 과도안정도가 고려된 최적제어가 되도록 하였다.

  • PDF

Design of the Kernel Hardening Function for Stability the Linux Operating System (리눅스 운영체제 안정화를 위한 커널 하드닝 기능 설계)

  • Jang Seung-Ju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6.05a
    • /
    • pp.1359-1362
    • /
    • 2006
  • 본 논문은 리눅스 커널 운영체제에서 커널 개발자의 실수나 의도하지 않은 오류 및 시스템 오류로 인하여 발생되는 시스템 정지 현상을 줄이기 위한 커널 하드닝 기능을 설계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커널 하드닝 기능은 문제가 발생한 커널 부분을 수행 중인 프로세스에 대한 동작을 정지시키는 기능과 오류가 발생한 코드에 대한 변수 값이나 주소 값이 가진 특정한 값을 복구시키는 기능을 가진다. 커널 하드닝 기능에서 문제가 있는 모든 프로세스를 무조건 복구하는 것이 아니라 복구 가능성을 판별하여, 복구 가능한 프로세스에 대해서만 복구 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오류가 발생한 커널 코드에 대해서 복구 가능한 경우에는 ASSERT() 함수에서 복구가 가능하도록 설계하였다.

  • PDF

Application study of dehumidification system in fermentation dryer (발효건조장치의 제습시스템 적용연구)

  • 전원표;이기우;박기호;이계중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Energy Engineering kosee Conference
    • /
    • 2002.11a
    • /
    • pp.25-30
    • /
    • 2002
  • 유기성 폐기물은 음식물쓰레기, 농ㆍ수ㆍ축산폐기물, 식품가공산업 폐기물 등에서 주로 발생되고 있다. 이러한 유기성 폐기물은 함수율이 70∼85% W.B.정도로 높고 부패성이 크기 때문에 악취 및 침출수 등의 여러 가지 환경유발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젖은 폐기물의 매립장 반입이 규제되고 있으며, 함수율이 높아 직접 소각도 어려운 실정이므로 유기성 폐기물의 안정화, 감량화 및 재자원화를 위한 처리기술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중략)

  • PDF

소각재의 고온용융 고화처리 및 고화체 특성 분석 (I)

  • 김인태;김정국;양희철;이근우;김준형;구자공
    • Proceedings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Conference
    • /
    • 1996.05c
    • /
    • pp.485-490
    • /
    • 1996
  • 가연성 폐기물의 소각후 발생되는 소각재는 처분 안전성을 높이기 위해 고화/안정화되어야한다. 본 연구에서는 유해폐기물 소각재를 대상으로 기본유리 구성물질을 첨가하여 고온용융에 의한 유리고화체를 제조하고 특성을 분석하여 유해 및 방사성 폐기물 소각재의 유리고화처리 가능성을 알아보았다. 실험결과 소각재를 유리고화할 경우 시멘트류의 저온 고화매질에 의한 처리방법에 비해 내용출특성 및 감용률이 상당히 향상되었으며 안정된 유리고화체가 형성되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 PDF

일반원고 IV - AI센터 구제역 발생 및 음성화

  • Kim, Jin-Seon
    • Journal of the korean veterinary medical association
    • /
    • v.47 no.9
    • /
    • pp.860-863
    • /
    • 2011
  • 최근 양돈협회 자료에 의하면 FMD가 발생하였으나 임상증상이 발현된 돼지만을 부분적으로 살처분한 양돈장이 전국적으로 558호에 약 83만두 규모로 알려져 있다. 또한 앞으로도 환절기나 동절기에 FMD가 재발할 가능성이 있다. 그렇다면 부분 살처분을 실시한 농장은 FMD증상이 어떻게 변화하고 음성화는 가능한 것일까? 기존의 부분 살처분 농장은 FMD바이러스가 농장 내 상존하여 지속적이고 반복적으로 피해를 주지 않을까? FMD가 발생하여 부분 살처분 된 농장이 하루빨리 안정화되고 음성화를 이루기 위해 어떤 조치가 필요한 것인가에 대해 합리적인 대책이 요구된다. 다음의 사례는 AI센터에서 FMD가 발생한 후 음성화 되기 까지 과정을 요약 보고한 자료이다. FMD 음성화에 작은 밑거름이 되었으면 한다.

  • PDF

Fly ash를 이용한 사용후핵연료의 유리화 가능성 및 내침출성 분석

  • 전관식;신진명;김종호
    • Proceedings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Conference
    • /
    • 1995.05b
    • /
    • pp.781-786
    • /
    • 1995
  • 석탄화력발전소 산업부산물인 Fly ash를 이용한 고준위방사성폐기물의 붕규산 유리고화 가능성을 분석하였다. Fly ash SiO$_2$, NaNO$_3$, B$_2$O$_3$에 DUPIC 핵연료 제조공정으로부터 발생되는 모의 scrap waste를 20 wt% 혼합하여, l15$0^{\circ}C$ 에서 3시간 용융시켜 붕규산유리화시켰다. 또한 붕규산유리고화체의 침출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2일동안의 soxhlet 침출실험결과 양호한 내침출성을 보였다. 또한 고체폐기물의 안정화물질로 fly ash를 사용할 경우 fly ash 함량을 57%까지 첨가하여도 붕규산유리고화체의 제조가 가능함을 확인하였으며, fly ash의 첨가로 인한 유리화원료 재료비를 30% 까지는 절감시킬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