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안정도

Search Result 37,371, Processing Time 0.068 seconds

Stability Analysis and Proposal of the Simplified Form of a Fuzzy PID Controller with Fixed Parameters (고정 파라미터를 갖는 단순화된 퍼지 PID 제어기의 제안과 안정도 분석)

  • Lee, Byung-Kyul;Kim, In-Hwan;Kim, Jong-Hwa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 /
    • v.14 no.7
    • /
    • pp.807-815
    • /
    • 2004
  • This paper describes the design principle of a fuzzy PID controller with fixed parameters, proposes the simulified form of a fuzzy PID controller to increase the computational efficiency and analyzes stability of a proposed fuzzy PID controller. After a detailed stability analysis using ‘small gain theorem’, a simple and practical sufficient condition for the BIBO stability of the overall feedback control system is derived. The derived stability condition offers a calculation method to obtain parameters of a fuzzy PID controller from parameters of a stable PID controller. Finally several computer simulations are executed to confirm the effectiveness of the fuzzy PID controller with fixed parameters.

A Stability Estimation Method of HVDC System Using Reduced Model (축약모델을 이용한 HVDC시스템의 안정도 평가)

  • Kim Chan-Ki;Lim Seong-Joo;Choo Jin-Boo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Power Electronics
    • /
    • v.10 no.1
    • /
    • pp.1-12
    • /
    • 2005
  • This paper deals with the HVDC stability according to controller types and control modes. From the viewpoint of controllers, the HVDC system which has PI, PD and PID, is designed considering the system response and stability. Also the HVDC system consists of multi-control modes like voltage control, current control and alpha control. Therefore, the HVDC stability analysis have to consider the above control modes and controller types. In this paper, the reduced model of HVDC control is analyzed in PSS/E(Power System Simulation/Engineering) and PSCAD/EMTDC.

Improvement and Application of Stable Cannel Analysis and Design (안정하도 평가 및 설계 방법의 개선과 적용)

  • Jang, Eun-kyung;Ji, Un;Ahn, Myeong-Hui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14-14
    • /
    • 2017
  • 안정하도란 하도형성유량이 발생하는 조건에 대해 단면내에서 발생하는 유사량과 유입되는 유사량이 평형상태를 유지하는 단면을 의미하며, 안정하도 평가 및 설계란 현재 단면을 안정하도 단면과 비교하여 평가하거나 안정하도를 만족하는 하상경사와 하폭, 수심을 도출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이러한 안정하도 평가 및 설계는 하천을 정비하거나 복원하는 과정에서 장기적인 하상 평형상태를 고려하기 위해 적용할 수 있으며, 하상 침식 혹은 퇴적에 대해 지점별 평가방법으로 활용 할 수 있다. 안정하도 단면은 상류에서 유입되는 유사량과 대상구간의 발생 유사량의 평형조건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에 유입되는 유사량 자료의 정확성과 대상구간 발생 유사량 산정의 정확도가 전체 평가 결과의 신뢰도에 가장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그러나 현재까지 활용되어 온 안정하도 단면 계산 방법의 경우 대상구간 발생 유사량 결정을 위한 유사이송공식의 선택이 특정 공식으로 한정되어있어 국내 하상과 적합한 유사이송공식의 적용이 매우 제한적이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기존의 안정하도 평가 및 설계 방법을 개선하기 위해 다양한 유사이송공식의 적용이 가능한 안정하도 평가 모델의 알고리즘을 제시하였으며, 관련 분야의 실무자가 쉽게 활용 할 수 있도록 사용자 친화적인 사용자 친화적인 안정하도 평가 및 설계 프로그램(Stable Channel Analysis and Design, SCAD)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안정하도 단면 계산 방법인 Copeland 방법을 분석하여 새로운 알고리즘을 개발하였으며, 단면 유사량 분석 계산과정에서 자갈하상 공식을 포함한 총 다섯 가지의 유사이송공식을 새롭게 추가하였다. 개발된 SCAD 프로그램은 정확도 및 적용성 향상을 위해 청미천과 내성천 모래하상 구간 그리고 원주천 자갈하상 구간에 대해 시험계산을 수행하였고 평가 결과를 프로그램 개선을 위해 적극 활용하였다. 또한 웹 포팅 프로그램 구축을 통해 다양한 사용자가 특정 웹사이트에서 프로그램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개선된 안정하도 평가 및 설계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다양한 유사이송공식 선택에 따른 안정하도 산정 결과 값의 변화를 분석하고 그 범위를 정량적으로 제시하였다.

  • PDF

Transient stability analysis of 154KV main transmission lines (154KV 주간선계통의 과도안정도해석)

  • 송길영
    • 전기의세계
    • /
    • v.18 no.3
    • /
    • pp.28-33
    • /
    • 1969
  • 1968년 11월 3일 기하여 우리나라 154KV 주간선계통의 중성점접지방식이 종래의 PC접지방식으로부터 직접접지방식으로 전환되었다. 이 결과 계통의 운전면에 있어서는 이상전압상승의 경감, 고속도차단방식의 채용등으로 공급신뢰도가 한층 더 크게 될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주지하는 바와같이 계통의 안정도는 정상(Steady-state) 및 과도(Transient-state) 안정도의 양자로 대별되지만 이중 현단계의 계통운용면에서 특히 중요한 지위를 차지하는 것은 후자의 과도안정도 일것이다. 본문에서는 최근에 한국전자계산소의 전자계산기(FACOM-222)를 사용하여 직접접지방식전환후의 과도안정도를 계산한 해석결과및 앞으로 채용하여야 할 몇가지 안정도증진대책을 간단히 설명하고저 한다.

  • PDF

Power System Stability Analysis Using a Hybrid Approach (하이브리드 방법을 이용한 전력계통의 안정도 해석)

  • Park, Ji-Ho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2.11b
    • /
    • pp.218-220
    • /
    • 2002
  • 본 논문은 시간영역 모의 테크닉과 과도안정도 해석 직접법을 결합한 하이브리드형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객체지향기법을 이용한 시간영역 모의를 통해 실제 시스템의 궤도를 계산하고, 과도안정도 여유도를 계산하기 위한 안정도 지수를 유도하기 위해 과도 에너지함수를 평가한다. 일단 시스템의 어떤 상태(안정 또는 불안정)가 확인되면 CPU 시간을 줄이기 위해 시간영역 모의를 중단하기 위한 적절한 기준이 제시되었다.

  • PDF

Study on the development of Long-Term Voltage Stability Simulation Progrma (장기 전압 안정도 시모의를 위한 프로그램 개발 연구)

  • Kim, Ji-Hun;Lee, Byong-Jun;Song, Hwa-Chang;Kim, Tae-Kyun;Shin, Jeong-Hoon;Nam, Su-Chul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9.07a
    • /
    • pp.193_194
    • /
    • 2009
  • 본 논문은 장기 전압 안정도 분석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을 목적으로 한다. 장기 전압 불안정 현상은 전력 계통에 투입되어 있는 무효전력과 관련된 제어기 중에서 그 동작특성이 수 분에서 수십 분에 이르는 제어기에 의해 발생한다. 기존에 장기 전압 안정도 분석에는 상용툴의 Full-time Domain 알고리즘을 이용하였다. 하지만 기존의 Full-time Domain 알고리즘에 의해 장기 전압 안정도 분석을 하게 되면 그 연산 시간이 매우 오래 걸릴 뿐만 아니라, 시적분에 의한 수치 에러로 인하여 정확성을 보장할 수 없다. 본 논문에서는 장기 전압안정도 분석을 하기 위해 준동적 시모의 알고리즘(Quasi-Steady-State Algorithm)을 도입하였다. 준동적 시모의 알고리즘을 적용한 프로그램을 보이고, 이에 따fms 모의를 한구전력계통에 적용하였다.

  • PDF

A Development of Transient Stability Analysis Program of NPPs Offsite Power System (원전 소외 전력 계통 과도안정도해석 프로그램 개발)

  • Zhu, O.P.;Oh, S.H.;Choi, J.H.;Oh, S.K.;Kim, K.J.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0.11a
    • /
    • pp.26-28
    • /
    • 2000
  • 국내 원전 소외 전력 계통과 실계통 대상과도 안정도 해석은 대형 해석프로그램인 PSS/E 등에 의존하여 해석해왔으나, 규제 관점에서 보수적인 과도 안정도를 해석할 수 있는 간이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규제 요건 적합성 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하였다. 본 프로그램은 원전 전력계통에 적용되는 품질요건을 적용하지 않는 제어기에 대하여 신뢰를 두지 않았으며, 송전망 보호 계통-보호계전기 및 차단기-에 의존하여 3상 평형 단락 고장 조건 과도 안정도를 해석한 결과, 과도적인 안정도 판별에 적합함을 확인하였다. 가혹한 송전망 조건 아래 원전 발전기의 고장제거 지연시간에 대한 민감도 분석을 통하여 취약한 원전 부지 및 원전 발전기를 확인할 수 있다.

  • PDF

Study on the Reactive Power Allocation using V-Q Sensitivity (V-Q Sensitivity를 이용한 조상설비 투입 위치 선정에 관한 연구)

  • Jeong, Jin-Woo;Bae, Moon-Sung;Cho, Hwan-Hee;Lee, Byong-Ju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15.07a
    • /
    • pp.193-194
    • /
    • 2015
  • 국내의 경제 성장으로 전력 수요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지속적인 전력 수요의 증가는 계통의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어렵게 만들어 계통의 안정도를 감소시키므로 정전의 원인이 될 수도 있다. 무효전력은 계통의 전압과 안정도에 크게 관련이 있으므로 계통의 전압 유지와 안정 향상 방안 중 하나로 조상설비 투입을 고려 할 수 있다. 조상설비 투입 시 조상설비를 적절한 위치를 선정하여 투입하는 것은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전압 안정도 지표인 V-Q Sensitivity의 계통의 외란 발생 전후의 차를 새로운 안정도 지표로 제시하여 조상설비 투입 위치를 선정하는 방안에 대해서 제시를 하였고IEEE-30 계통을 이용하여 검토 하였다.

  • PDF

무주지역 안정 동위원소 조성의 시공간적 분포

  • 한원식;이병선;정성욱;우남칠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3.04a
    • /
    • pp.242-245
    • /
    • 2003
  • 본 연구는 무주군 적상산 부근에 위치하는 소유역에서 지표수와 인접한 천층 지하수의 안정동위원소 조성의 시공간적 변화를 규명하기 위해서 시행되었다. 조사는 2001년 8월과 10월, 2002년 4월 세 차례에 걸쳐 수행되었다. 각 계절에 따라 지표수와 지하수의 안정동위원소 조성이 비슷하게 나타나는 것은 이 지역 지표수와 지하수사이에는 배수와 충진이 지속적으로 생기고 있음을 암시한다. 조사지역의 안정동위원소 조성은 북쪽에 위치하는 한강의 안정동위원소 조성보다는 무거우며, 남쪽에 위치하는 섬진강의 안정동위원소 조성보다는 가벼운 위도효과를 잘 나타내고 있다. 또한 시료를 채취한 가장 높은 지점과 가장 낮은 지점의 고도차가 400m인 작은 소유 역에서도 계절의 변화와 관계없이 안정동위원소의 고도효과는 잘 나타나고 있다. 선행된 연구에서 우리나라 강우가 우량효과를 반영하는 결과를 나타내는 것과 같이 강우의 영향을 직접 받는 8월 지표수의 안정동위원소 조성은 10월과 4월보다 더 가벼운 조성을 나타내고 있다.

  • PDF

LED Driver Compatible with Both Electronic and Magnetic Ballasts (전자식 및 자기식 안정기 동시 호환 가능한 LED 구동회로)

  • Gu, Hyun-Su;Choi, Yoon;Kang, Jeong-il;Han, Sang-Kyoo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5.07a
    • /
    • pp.391-392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전자식 및 자기식 안정기 동시 호환 가능한 LED 구동회로를 제안한다. 제안 LED 구동회로는 여러 종류의 안정기가 접속 되었을 때, 어떤 안정기가 접속되었는지 자동으로 감지하여 안정기의 동작 특성을 고려하여 선정된 동작 듀티비로 제안회로를 동작시킴으로써 기존의 형광등 구동을 위한 안정기를 입력 시스템으로 사용함으로써 안정기의 철거 및 교체 없이 모든 안정기에 호환이 가능하다. 제안 LED 구동회로의 타당성 검증을 위해 15W급 시작품을 제작하고, 전자식 및 자기식 안정기와의 호환성 실험결과를 바탕으로 제안방식의 타당성을 검증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