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안전 위험성 평가

Search Result 1,461,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A Study on Ship's Safety Performance for A Navigation Safety Monitoring System in Shore Side (항해안전 감시시스템을 위한 선박안전성능 평가방안 연구)

  • Kim, Seung-Tae;Lee, Dae-Hak;Park, Cheol-Min;Lee, Eun-J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7.11a
    • /
    • pp.8-10
    • /
    • 2017
  • 최근 빈번한 항해 사고에 대응하여 항해 안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특히 항해중인 선박의 안전 항해에 대한 육상 감시기술 개발에 많은 노력이 기울려 지고 있다. 이러한 육상용 항해안전 감시시스템은 항만 교통 번잡도에 따른 조종 위험성 평가 기능 및 해양기상에 따른 선박 안전성능 평가 기능 등으로 구성되며, 선박 안전성능 평가를 위하여 선박에서 전송되는 AIS정보를 운항정보로 변환하여 구축된 선박별 동특성 정보와 연결한 후 안전성능지수를 도출하는 기술 구현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항해안전 감시시스템 개발을 위하여 환경 요인에 의한 항해중 선박의 위험 요소를 분석, 항해안전 평가 모델을 개발한 후 개발된 평가 모델에 대한 평가 기준을 제시하였고 각 평가 모델의 결과를 정량적 지수형태로 도출하여 안전항해 감시시스템의 정량적 평가 기능을 지원하였다.

  • PDF

Analysis of Mountain Trail Hazard areas Based on Watershed Scale (유역단위 산지탐방로 위험지역 분석)

  • Oh, Chae Yeon;Jun, Kye 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280-280
    • /
    • 2015
  • 최근 봄철을 맞아 산을 찾는 등산객의 수가 증가하고 있으며 그에 따른 안전사고 발생 위험도 높아지고 있다. 산지재해 중 가장 많이 발생하고 있는 산사태나 토석류는 산을 찾는 등산객에게도 많은 안전사고를 발생시키고 있으나 아직까지 탐방로의 위험성과 안전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설악산 국립공원 탐방로를 중심으로 재해발생 이력조사 및 현장조사를 실시하고 분석에 필요한 공간 데이터를 구축하였으며 설악산 전체 탐방로를 유역단위로 분할하여 위험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전체 탐방로를 대상으로 GIS기반의 확률론적 분석과 SINMAP을 이용하여 위험성 평가를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 일부 탐방로 구간에서 위험성이 높게 나타났다. 탐방로 위험구간을 유역별로 나누어 분석함으로써 탐방로 전체에서 유역단위로 위험요소를 판단하는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 Safety Analysis Based on Evaluation Indicators of Mixed Traffic Flow (혼합 교통류의 적정 평가지표 기반 안전성 분석)

  • Hanbin Lee;Shin Hyoung Park;Minji Kang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 /
    • v.23 no.1
    • /
    • pp.42-60
    • /
    • 2024
  • This study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mixed traffic flows with autonomous vehicles on highway weaving sections and assessed the safety of vehicle-following pairs based on surrogate safety indicators. The intelligent driver model (IDM) was utilized to emulate the driving behavior of autonomous vehicles, and the weaving sections were divided into lengths of 300 and 600 meters for analysis within a micro-traffic simulation (VISSIM). Although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average speed, density, and headway between the two sections through t-test results,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when comparing the number of conflicts per indicator and the vehicle-following pair. Four safety indicators were selected for the mixed traffic evaluation based on their ability to represent risk levels similar to those perceived by drivers. The safety analysis, based on the selected four indicators, determined that autonomous vehicles following other autonomous vehicles were the safest pairing. Future research should focus on integrating these indicators into a single comprehensive index for analysis.

Quantitative Risk Assessment of Mobile LNG Filling Station (이동식 LNG 충전소 정량적 위험성 평가)

  • Jeon, Eun-Gyeong;Choi, Young-Joo;Kim, Pil-Jong;Yu, Chul-Hee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Gas
    • /
    • v.25 no.6
    • /
    • pp.45-52
    • /
    • 2021
  • The government is converting the fuel for trucks, one of the causes of PM in Korea, form diesel to LNG. Mobile LNG station are being developed to solve the problems of insufficient charging infrastructure and facilitate the spread of LNG fuel. In this study, QRA was used th calculate the CA of the facility for a secure design prior to the development of the mobile LNG station and to predict the individual/societal risk the scenario. As a result, the danger of mobile LNG station was in ALARP.

Cost-Benefit Analysis for the Safety Measures about High Pressure Natural Gas Pipelines Proposed by Quantitative Risk Analysis (정량적 위험성 평가를 통해 제안된 도시가스 고압배관의 안전조치에 대한 비용.편익 분석)

  • Ryou, Young-Don;Lee, Su-Kyung;Lee, Kyung-Sik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Gas
    • /
    • v.13 no.3
    • /
    • pp.22-27
    • /
    • 2009
  • Recently Urban Gas Business Companies have been allowed to construct High Pressure Natural Gas pipelines, if they adopt the Risk Reduction Measures(RRMs) recommended by Korea Gas Safety Corporation(KGS) after safety assessment. This paper presents a Cost Benefit Analysis(CBA) method, when KGS performs safety assessment and recommends RRMs to Safety Appraisal Committee, to help the Committee make judgements on whether the proposed RRMs are reasonably practicable. We carried out quantitative risk assessment to high pressure natural gas pipelines as a case study and analysed cost benefit for the suggested RRMs. In conclusion, we found out the presented CBA method using PF was proper in Korea.

  • PDF

Flood Risk Assessment of Seoul based on Watershed Characteristics (유역특성 기반의 서울시 침수위험성 분석)

  • Kim, Sung Eun;Kang, Won-Sam;Baek, Jong-Ra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38-38
    • /
    • 2022
  • 서울특별시(이하 서울시)는 기존 상습침수지역과 2010년, 2011년 집중호우로 발생한 침수피해를 바탕으로 34개의 침수취약지역을 선정하고, 이들 지역에 2011년 3월부터 2023년 12월까지 총사업비 1조 5,300억여 원을 투입하여 하수관거 정비, 펌프장 신설 및 증설, 저류조 신설 등 배수능력을 확충하는 사업을 진행해오고 있다. 하지만, 기후변화로 인해 집중형 배수시설의 설계용량을 초과하는 강우의 발생빈도가 증가하고, 극한홍수 발생위험과 기상예측 불확실성이 커짐에 따라, 배수시설의 용량을 증설하는 집중형 우수배제체계 중심의 침수관리만으로는 안전한 침수대응이 어렵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 침수대응 다각화를 위해 유역의 자연적, 사회환경적 특성을 대표할 수 있는 52개 지표를 선정하고 서울시를 소규모 유역 단위인 163개의 배수분구로 구분하여 지표별 공간적 분포와 특성 분석을 통해 각 배수분구를 유형화하고, 유형특성에 따른 침수취약성과 잠재적 침수발생 위험성을 분석하여 침수위험성을 평가하였다. 유역의 특성을 대표하는 각종 지표의 서울시 내 공간적 분포를 분석한 결과, 지표별 공간적 분포 특성이 상이했으며, 지표별 최대/최소값의 차이가 수배에서 수백배까지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서울시 내외에 산포된 총 40개 기상청관측소의 2010년부터 2019년까지 시간강우자료를 이용하여 강우관련 지표들의 시공간적 분포를 분석한 결과, 연평균강우량, 여름철강우량, 일최대강우량 등에서 지역적으로 최대 수백 mm의 강우량 차이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역특성에 따른 서울시 침수위험성을 평가한 결과, 침수발생 및 피해에 불리한 유역의 공간적 취약성이 높은 배수분구로는 봉천1, 송파, 길동, 미아, 상계1 등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침수발생에 대한 잠재적 위험성이 높은 배수분구는 이문, 정릉, 제기1, 장안, 전농 등의 순으로 분석되었다. 침수발생에 대한 잠재적 위험성과 침수피해에 불리한 공간적 취약성이 모두 높아 침수위험성이 큰 배수분구는 상계1, 미아, 장위, 창동1, 동선, 수유2, 방학, 길동, 월계2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 PDF

A study on the Mitigation of Serious Accident to National Critical Infrastructure Using Safety Risk Index (안전위험지수를 활용한 국가핵심기반의 중대재해 경감에 관한 연구 )

  • Gang, Shin-Woo;Kim, Jung-Gon;Cheung, Chong-S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10a
    • /
    • pp.251-252
    • /
    • 2022
  • 국가핵심기반은 국가 운영을 위하여 사업의 중단 없이 연속적으로 운영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에너지관련 기관을 대상으로 재해를 예방하기 위하여 위험작업의 위험도 평가와 위험수준에 맞는 적절한 관리순찰 강화방안을 중심으로 개발된 일일안전지수 제도를 소개하고 그 효과성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그 결과 일일안전지수는 중대재해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일일안전지수제도는 다른 국가핵심기반에서도 적합하게 응용 적용하여 재해를 예방할 수 있다.

  • PDF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Safety Management on Container Terminal -Using Hazard Identification and Bow-tie Method- (컨테이너 터미널 안전관리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위험성 평가 및 보우타이기법이용 -)

  • Park, Sunghun;You, Ji-Won;Kim, Yul-Seong
    • Journal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 /
    • v.43 no.1
    • /
    • pp.57-63
    • /
    • 2019
  • It is time to study safety improvement on container terminals to maintain a high-quality service to customers' productivity and safety. The data analyzed was of the past 3 years accidents data from a container terminal in the Busan port. I especially tried to found out the equipment that had the highest number of accidents and what the main causes were. This study suggests the top hazards identified in the container terminal using risk assessment, Moreover, it seeks control measurements to prevent hazards by bowtie methodology.

Vulnerability Assessment and Risk Analysis for Watershed (도시하천 유역의 취약성 평가 및 위험도 분석)

  • Lee, Hoo Sang;Lee, Jea Joon;Heo, Jun He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469-469
    • /
    • 2015
  • 산업혁명 이후 인간사회의 산업화 및 도시화의 가속으로 지구온난화는 기후변화를 야기해 왔으며, 이로 인한 각종 부정적인 영향과 심각성은 날로 커져가고 있는 현실이다. IPCC(Intergoverment Panel on Climate Change)는 기후변화의 주범인 온실가스를 감축할 지라도 기후의 탄성 때문에 앞으로 수세기 이상 계속 진행될 것으로 전망하였으며, 기후변화 영향의 근원적 방지는 불가능하기 때문에 결국 수자원 관리 측면에서도 기후변화에 적응하기 위한 각종 적응전략 개발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IPCC, 2007). 또한, 극한강수의 발현비율이 도시 및 비도시 지역의 구분 없이 과거 30년에 비해 크게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추세는 수공구조물의 치수안전도 저하에 큰 영향을 준다. 우리나라는 그동안 하천, 유역 홍수저감 시설물과 댐 등 대형 수공구조물에 대한 안전성 평가를 주기적으로 수행해 왔으나 단순히 모니터링을 통하여 현재의 안전기준의 부합 여부만을 판단하는 수준에 그치고 있다. 장래 증가하는 홍수피해에 대처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극한강우 및 극한홍수시나리오를 기반으로 시설물 설계기준별 홍수 위험도와 취약성을 평가하고, 극한홍수 방어기준을 재설정하여 현재 설계기준을 제고할 필요가 있으며, 시설물별 안전도 평가와 위험도 저감계획 및 경제성 평가를 종합적으로 고려한 실행프레임워크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도림천 유역에 대하여 최적화된 도시유출모형을 통하여 기후변화가 도시유역에 미치는 유출영향을 분석하였으며, MCS(Monte Carlo Simulation)을 통한 극치수문사상의 적용 및 유출분석을 통한 하천제방의 취약성 평가와 위험도 분석을 실시하여 도시하천의 기후변화 영향을 정량적으로 표현하고자 하였다. 또한 기후변화에 따른 도시하천의 수문특성 변화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발생할 수 있는 극치 수문사상의 값을 반영한 설계기준 강화 수방시설 계획 등의 연구에 활용하며, 여러 가지 수문학적 불확실성에 의하여 가변 가능한 도시하천 유역의 취약성 평가 및 위험도 분석을 통한 기후변화 대응과 수공구조물 설계 및 수방전략 수립에 활용하고자 한다.

  • PDF

위험성 평가

  • Lee U-Bong
    • Proceedings of the Safety Management and Science Conference
    • /
    • 2006.04a
    • /
    • pp.571-592
    • /
    • 2006
  • PDF